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열린 사고와 표현

열린 사고와 표현

  • 김영주
  • |
  • 부산대학교출판부
  • |
  • 2017-06-22 출간
  • |
  • 569페이지
  • |
  • 181 X 256 X 24 mm /1108g
  • |
  • ISBN 9788973165384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75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75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부산대학교 교양교육원에서는 질문하는 능력과 학습 능력을 기르기 위해 2005년부터 ‘창의적 사고와 글쓰기’, ‘열린 생각과 말하기’라는 강좌를 개설해 왔다.
교육과정 개편에 따라 2017년부터는 ‘열린 사고와 표현’으로 통합하게 되었다. 그러나 글쓰기와 말하기를 통해 질문 능력과 학습 능력을 기르고자 하는 강좌의 취지는 그대로 살아 있다.
이 책은 크게 ‘이론편’과 ‘실전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론편에서는 글쓰기와 말하기와 관련한 기본적인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하였다. 실전편에서는 10개의 큰 주제를 두고 우리 시대의 문제의식을 담은 글을 모아서 배치했다. 특히 대학, 자본주의와 노동, 젠더에 역점을 두었다.
이 책은 교수가 가르치고 학생들이 배우기 위해 만든 책이 아니다. 오히려 교수와 학생들이 함께 수록된 글들을 읽고, 이해하고, 생각하고, 논제를 발굴하고, 토론하고, 글을 쓰는 일들을 함께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목차


책을 내면서

제1부 이론편
제1장 소통, 열린 사고, 표현
1. 소통이란 무엇인가
2. 소통은 어떻게 가능한가
3. 소통은 왜 실패하는가
4. 열린 사고란 무엇인가
5. 표현과 표절, 무엇이 다른가

제2장 표현의 기초
1. 글쓰기
1) 어떤 글을 쓸 것인가
2) 어떻게 글을 쓸 것인가
2. 말하기
1) 말하기의 중심은 콘텐츠다
2) 콘텐츠는 말을 넘어 전달된다.

제3장 표현의 실제
1. 학술적 글쓰기
1) 학술적 글쓰기란 무엇인가
2) 학술적 글쓰기 어떻게 할 것인가
2. 비평적 글쓰기
3. 토론
1) 토론의 정의와 형식
2) 토론의 실제

제2부 실전편
제 1장 대학과 청년문화
1. 대학과 학문의 탄생 123
1) 이 땅에서 학문하기 123
2) 대학의 죽음과 절망 사회 126
3) 대학과 학벌사회 127
2. 대학의 붕괴, 기업화 133
1) 자소서는 어떻게 ‘자소설’이 되는가 133
2) 시장, 이성, 대학의 삼위일체 134
3) 진리의 상아탑과 대학의 기업화 137
4) 대학 자본주의와 대학 공공성의 소멸 140
5) 지역과 대학의 선순환 균형 발전 145
3. 청년문화와 대항문화 151
1) ‘68 문화혁명’으로의 시간여행 151
2) 반문화의 탄생 157
3) 벌레가 되는 삶 158
| 더 읽을거리 | 163

제 2장 민족과 세계
1. 지역, 민족, 국가 167
1) 민족주의 167
2) 식민주의를 읽는 법: 문명-야만-폭력 171
3) 제국주의, 역사주의, ‘차이의 역사(학)’ 174
4) 동아시아의 민족주의적 고대사 서술 180
5) 불사의 공동체 184
6) ‘가난뱅이 타자’ 사냥하는 경찰 잔혹사 187
7) 우리 모두가 세월호였다 191
2. 세계시민사회를 향하여 193
1) 다문화 사회로 가는 상생의 지혜 193
2) 종교와 전쟁 195
3) X is for XENOPHOBIA 199
4) 차별의 종착점이 증오범죄다 200
5) 한반도의 평화와 세계시민사회 204
6) 스스로 다스리는 공동체 205
| 더 읽을거리 | 210

제 3장 기억과 역사
1. 기억과 기억투쟁 213
1) 기억의 정치, 역사로 변형된 기억 213
2) 홀로코스트를 어떻게 기억할 것인가 217
3) 역사는 심판할 수 있는가 221
4) 기억, 존중과 사랑 225
5) 다른 세상으로 나아가는 일-아픈 기억의 치유 227
2. 전쟁과 폭력 232
1) 우리는 포기하지 않는다 232
2) 우리는 무덤 위에 서 있다 233
3) 아우슈비츠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 237
4) 그것은 미친 살인의 축제였다 239
| 더 읽을거리 | 244

제 4장 민주주의와 인권
1. 민주주의란 무엇인가 247
1) 민주주의의 함정 247
2) 참여 민주주의의 정당성 251
3) 대중에게 권력 돌려주기 256
4) 고대 아테네의 제비뽑기 민주주의 259
5) 풀뿌리민주주의란 무엇인가 265
2. 인권 270
1) 불확실한 삶과 인권 270
2) 인권을 기준으로 바꾸는 세상 273
3) 고문과 도쿄선언 276
4) 우리는 모두 소수자다! 280
5) 어느 작가의 특별한 인권선언 283
| 더 읽을거리 | 287

제 5장 자본, 노동, 분배
1. 자본과 불평등 291
1) 기회의 불평등 vs 결과의 불평등 291
2) 개천에서 용 나면 안 되는 이유 295
3) 소비자 운동 297
2. 노동과 소외 301
1) 소외된 노동 301
2) 아빠, 그 삼촌은 왜 전철을 피하지 못했어? 303
3) 경쟁과 배제의 사회 308
4) 유럽 이민노동자들의 경험에 대한 기록 310
5) 게으름에 대한 찬양 314
3. 분배와 재분배 319
1) 복지국가: 좋은 삶인가, 의타적인 삶인가 319
2) 탈성장시대와 기본소득 323
3) 학생에게 임금을 329
| 더 읽을거리 | 332

제 6장 젠더와 차별
1. 차별과 혐오 335
1) 언어가 성별을 만든다 335
2) #여자들은 다 겪는다: 페미니스트들, 이야기를 다시 쓰다 337
3) 당신도 무례하다: 당신이 자행하는 여성혐오 342
4)‘여성혐오’라는 말의 번역론 344
2. 섹스와 폭력 347
1) 저는 오늘 꽃을 받았어요? 피해 여성이 피해 여성에게 주는 편지 347
2) 누구도 그것을 강간이라 부르지 않았다 348
3) 남자들만 모르는 성폭력 352
4) 캠퍼스는 더 이상 안전한 장소가 아니다 355
3. 섹슈얼리티 357
1) 섹슈얼리티는 왜 노동인가 357
2) 노출과 선정성 361
3) 젖꼭지에 자유를! 나는 페미니스트다 363
4) 귀요미: 고양이 발톱 369
5) 성매매, 법이 차마 부를 수 없는 이름 371
6) ‘낙태 금지법’ 대신 ‘사정 금지법’을 만들자 374
| 더 읽을거리 | 377

제 7장 예술과 대중문화
1. 예술과 사회 381
1) 기술복제시대의 예술작품 381
2) 문화 산업: 대중 기만으로서의 계몽 384
3) 텔레비전, 삐까부 세상 386
4) 아서 단토의 예술종말론 389
5) 예술가 개념의 혁신 392
2. 대중문화 397
1) 벽 속의 또 다른 벽 397
2) 노래는 탱크보다 위험한 우리의 무기 400
3) 디지털이 정서에 미치는 영향 2 ?외롭고, 낮고, 씁쓸한 404
4) 웃음과 놀이, 혹은 비예술에서 배우기: <무한도전>에 대한 몇 가지 생각 408
5) 마르크스, 프로이트, 그리고 봉준호 ?<설국열차>의 서사적 엔진 411
| 더 읽을거리 | 417

제 8장 소비사회와 욕망
1. 소비사회론 421
1) 생활수준을 결정하는 금력 421
2) 욕구의 이데올로기적 기원 424
3) 사치할 권리 429
2. 취향과 계급 433
1) 상징적 폭력 433
2) 트렌드의 정의와 역사 438
3) 명품과 짝퉁의 사회학 441
3. 육체와 권력 447
1) 비만을 초래한 범인은 식품산업인가? 447
2) 육체 연금술로 변신하는 몸 452
3) 현대성의 풍경: 육체 457
| 더 읽을거리 | 461

제 9장 과학, 기술, 생태
1. 과학과 기술 465
1) 과학철학은 민주주의의 이상을 코드화해야 하는가? 465
2) 죽음의 수용소에서: 나치의 인체 실험 470
3) 최후의 에너지 분수령 472
4) ‘호모 익스펙트롤’의 사회 476
5) 역감시와 시놉티콘 479
2. 탈핵과 미래사회 485
1) 우리나라에서 핵사고가 일어난다면 485
2) 한 사람의 거대한 권력 487
3) 3?11 이후의 지구적 아나키즘 493
4) 핵발전의 대안 495
5) 유럽, 탈핵 그후 498
3. 생태 500
1) 정의는 에너지 앞에서, 기후변화 앞에서 멈춘다 500
2) 지구 생태계와 공공의 이익 506
| 더 읽을거리 | 512

제 10장 생명과 윤리
1. 생명 515
1) 역사를 호흡하는 생명 515
2) 문제는 바이오 경제 517
3) 착취와 정의, 그리고 선택의 자유 521
4) 생물다양성이라는 자본 524
5) 육류의 신화: 육식주의를 정당화하기 528
6) 동물실험 537
2. 죽음 540
1) 죽어가는 자의 고독 540
2) 죽음의 존엄까지 짓밟는 나라 542
3) 칼을 쳐서 보습을 만들어야 할 때 543
4) 죽음이 삶을 후려칠 때 546
| 더 읽을거리 | 552

미주 55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