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재일한인의 생활사이야기와 문학

재일한인의 생활사이야기와 문학

  • 이헌홍
  • |
  • 부산대학교출판부
  • |
  • 2014-10-08 출간
  • |
  • 415페이지
  • |
  • 규격外
  • |
  • ISBN 9788973164844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책은 재일한인 생활사이야기의 특징적 모습을, 떠돌이로 내몰린 사람들의 고난과 정착의 소망, 망향의 한과 귀환 의지, 분단의 중첩성과 통일의 염원, 자기정체성 모색 활동으로서의 뿌리 찾기, 공생지향에 따른 세대 간의 갈등과 소외, 혼인 및 교육에 얽힌 결핍과 대립갈등의 현실 등으로 나누어 그 형상적 구조와 의미를 구체적으로 살펴보았다. 이에 곁들여 재일한인의 우리말 종합월간지로서 통권 177호까지 일본 동경(東京)에서 간행된 바 있는 ?한양(漢陽)?에 수록된 소설과 수필 작품의 목록을 작성하여 부록으로 첨부하였다.


목차


제1장 재일한인, 생활사이야기, 재일한인문학
1. 용어 검토와 개념 정리 13
2. 관련 연구 개관과 문제 제기 19

제2장 재일한인 생활사이야기 관련 자료와 주요 내용
제1절 재일한인 생활사이야기 관련 자료의 개괄적 검토 26
1. 구술 문헌 자료 26
2. 자전적 술회 자료 31
3. 구술 녹음 자료 33
4. 비디오테이프 자료 35
5. 설문조사 자료 41
6. 기타 자료 43
제2절 재일한인 생활사이야기의 주요 내용 44
1. 쫓겨나거나 끌려가는 사람들 44
2. 떠돌이 신세 46
3. 차별의 현실과 살아남기 48
4. 취학과 교육의 두 갈래 49
5. 귀환의 꿈과 망향의 한 51
6. 혼인에 얽힌 결핍과 갈등의 현실 52
7. 분단의 중첩성과 통일의 염원 53

제3장 재일한인 생활사이야기의 서사적 양상과 의미 56
제1절 내몰린 사람들의 비극, 이산의 아픔과 망향의 한 56
1. 글머리 56
2. 내몰린 사람들의 한계상황과 생존 현실 59
2.1. 빼앗기고 쫓겨나는 과정 61
2.2. 떠돌이의 비애와 살아남기 : 《방랑전(放浪?)》 67
3. 가족 이산의 비극과 재회의 꿈 73
3.1. 재일 분단가족과 망향의 중첩성 : 《고향 찾아 반세기》 74
3.2. 재일가족과 귀환가족, 그 망향의 거리: 《우리 집 삼대(わが家の三代)》 80
4. 망향의 소망과 낯선 고향 : 《세 자매》 86
5. 가족의 결별과 비탄 통곡의 현실 91
5.1. 귀환 길에 드리운 검은 그림자 : 《곡(哭)》 92
5.2. 밀항자의 처지와 법의 사각지대: 《아버지와 아들》, 《낙일(落日)》 95
6. 아픔의 공유와 재결합의 꿈 99
6.1. 이산가족 찾기와 동포애 : 《장마철》 100
6.2. 재일 3대 가족의 소통과 다짐 : 《제주의 여름(チェジュの夏)》 103
7. 마무리 107
제2절 떠돌이의 고난과 정착의 소망 111
1. 글머리 111
2. 자료 검토 및 텍스트 선정 113
3. 타국살이의 고난과 귀향의 꿈 118
3.1. 미귀환 동포에 뻗치는 수탈의 마수 : 《탈피(脫皮)》 119
3.2. 유력자의 횡포에 허덕이는 생존권 : 《금부처》 122
4. 생존공간으로서의 일본, 그 끝없는 도전 125
4.1. 생존의 길을 찾아 저 너머의 세계로: 《통나무 다리(丸木橋)》 126
4.2. 생존공간의 변덕과 불굴의 도전: 《쓰레기 처리장(ゴミ捨て場)》 129
5. 마무리 133
제3절 재일한인마을 이야기의 대비적 모습 135
1. 글머리 135
2. 공화국 공민의 민족 이데올로기와 재일의 현실 138
2.1. 우리말 교육과 조선의 넋 : 《할머니》 141
2.2. 이데올로기 선전활동의 허와 실 : 《삐라 뿌린 날》 143
2.3. 조선학교 취학과 현실적 난관 : 《아빠》 146
2.4. 조직 활동과 이데올로기의 한계 : 《동포동네》 150
3. 대한민국 현실에의 관심과 정체성 갈등 153
3.1. 이데올로기 선전의 허상과 그 희생양: 《희락원》의 첫째 삽화 156
3.2. 재일 2?3세의 정체성 모색과 갈등 : 《희락원》의 둘째 삽화 161
3.3. 차별, 비하의 언동과 다툼의 현장 : 《희락원》의 셋째 삽화 166
3.4. 공생지향과 동화, 그 대립 갈등의 현실: 《희락원》의 넷째 삽화 168
4. 마무리 172
제4절 소속?안정의 욕구, 그 억압 현실과 좌표 설정의 고뇌 174
1. 글머리 174
2. 민족의식의 당위적 주장과 그 한계 176
2.1. 귀화 종용의 현실과 민족혼의 부름 : 《석등(石燈)》 176
2.2. 민족의식의 관념성과 대안 부재의 한계: 《망향(望鄕)》, 《지도(地圖)》 180
3. ‘허공에 뜬 존재’의 뿌리 찾기와 ‘재일’의 자각 184
3.1. 자기정체성 모색과 뿌리 찾기: 《산 밑의 마을》, 《해후(邂逅)》 184
3.2. 분단을 넘어 적극적 능동적 ‘재일살이’로 : 《소나기(驟雨)》 190
4. 마무리 194
제5절 재일한인 교육 문제의 소설적 형상과 의미 196
1. 글머리 196
2. 재일한인 교육의 문제점 및 관련 소설 작품 199
3. 민족학교 취학의 난관과 극복 의지 206
3.1. 아동과 부모간의 거리, 그 극복 노력의 안간힘 : 《불안》 외 207
3.2. 교육목표, 교육비, 사회진출의 불리 현실: 《딸과 어머니와 눈동자》 외 210
4. 조직의 목표와 희생적 교육활동 215
4.1. 이념적 편향성과 강요된 주제의식 : 《초석》 215
4.2. 참스승의 모습, 이타적 교육활동 : 《봄》 219
4.3. 조선학교 교육에 강요되는 가족이산 : 《어머니의 심정》 외 222
5. 학교생활과 적응 문제 226
5.1. 일본학교에서의 왕따와 대안으로서의 조선학교: 《소년의 꿈》 227
5.2. 편입생의 부적응과 조선학교 생도들의 자발적 지원: 《진달래》 229
6. 민족교육의 영향과 파급효과 232
6.1. 우리말을 통한 민족 동질성의 확인 : 《우리말의 시간》 233
6.2. 학생사랑, 조국사랑의 교육자상 : 《새빨간 입술연지》 235
6.3. 조선노래, 조선말이 최고의 선물 : 《말년》, 《선물》 237
7. 마무리 239
제6절 혼인에 비친 결핍 현실의 상징과 그 탈출구 242
1. 글머리 242
2. 혼인에 내재된 결핍 현실과 그 탈출구 247
2.1. 결핍의 심화와 보이지 않는 출구 : 《낙일(落日)》 248
2.2. 재일 1세의 결핍과 출구의 차세대 : 《결혼식 날(結婚式の日)》 254
2.3. 자력 획득 출구의 빛과 그림자 : 《뱀과 개구리》 260
2.4. 바다 건너 출구의 벽과 협로 : 《순이의 결혼(スニの結婚)》 264
3. 마무리 271
제7절 혼인에 담긴 갈등과 거리 혹은 소외 274
1. 글머리 274
2. 혼인에 얽힌 갈등과 거리 혹은 소외 277
2.1. 세대 간의 갈등과 거리 : 《울타리 밖으로》 279
2.2. 세대교체와 구세대의 소외: 《타향에서 생각하는 고향(遠くにありて、思うもの)》 288
2.3. 주류에서 배제된 소수자의 소외 : 《결혼행진곡(結婚行進曲)》 298
3. 마무리 306
제8절 민족의식과 통일의 염원 309
1. 글머리 309
2. 재일한인의 분단 현장, 그 상징으로서의 이카이노(猪飼野) 311
3. 민족의식에서 통일의 염원으로 315
4. 마무리 320
제9절 재일한인 생활사의 수필문학적 형상과 의미 322
1. 글머리 322
2. 재일한인 수필 문학 자료의 개관 324
3. 이주체험과 망향의식 331
3.1. 타국살이의 고난과 떠돌이 정서 331
3.2. 고향에 대한 그리움과 생존 의지 339
4. 정체성 모색과 실존적 재일 인식 345
4.1. 관념적 민족의식과 당위성의 설파 347
4.2. 정체성 모색과 경계성의 인식 356
5. 마무리 365

참고문헌
1. 자료 367
2. 연구 저서 및 논문 369
부 록
1. 『漢陽』에 실린 소설 작품 목록 374
2. 『漢陽』에 실린 수필 작품 목록 38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