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현대 신문의 이해

현대 신문의 이해

  • 장호순
  • |
  • 나남
  • |
  • 2012-03-05 출간
  • |
  • 384페이지
  • |
  • 210 X 297 X 30 mm /801g
  • |
  • ISBN 9788930086202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0,000원

즉시할인가

19,80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9,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현대 신문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가르쳐 주는
‘개념 있는’ 신문학 교과서

서재필, 장지연, 신채호…이들의 공통점은 무엇일까? 그것은 바로 민족의 독립을 위해 고군분투한 애국지사이자 언론인이었다는 점이다. 이들 외에도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일반적인 기자의 모습은 ‘지사형 지식인’이었다. 당대 기자들은 일제의 모진 위협에도 굴하지 않고 개인의 영달을 추구하기보다는 민족의 앞날을 고민하고 대중들을 선도했다. 그들은 물질적으로는 가난했지만 대중들에게 존경받는 선각자였으며 정의의 상징이었다.
100년이 흐른 오늘날, 언론계의 최대 이슈는 ‘일간신문사의 방송산업 진출’이다. ‘메이저’ 일간신문사들이 종합편성채널을 교차소유하는 것이 허용되며 뜨거운 논쟁이 벌어졌다. 신문과 방송이 결합되어 미디어 산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것이라는 긍정적 입장과 언론의 독과점 현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부정적 입장이 충돌하였다. 자본주의 사회에서 이제 신문사는 하나의 기업처럼 변모했고 기자는 ‘엘리트 기업인’처럼, 언론고시는 ‘엘리트 기업인이 되기 위한 통과의례’처럼 느껴진다.
과연 진정한 언론과 언론인의 모습은 어떤 것일까? 그리고 이런 것을 교과서에서 배울 수 있을까?《현대 신문의 이해》는 이러한 물음에 대한 해답을 시대와 사회라는 날실과 정치와 경제라는 씨실이 교차하는 지점에서 찾는다.
이 책은 우선 언론학 전공자를 위한 모범적 교과서이다. 지난 25년간 발행된 신문에 관한 논문과 저술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풍부한 예시와 사진ㆍ도표 등을 제시한 친절한 개론서이다. 총 14장으로 이루어진 이 책은 신문의 기능과 역사와 같은 기초적인 내용에서부터 취재나 디자인과 같은 실제적 내용까지 아우르고 있다.
저자는 먼저 신문의 정의와 기능, 다른 매체와 차별화되는 경쟁력인 정확성, 신속성, 다양성, 심층성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신문의 발생 배경을 기술ㆍ제도ㆍ문화ㆍ교육적 요인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세계 신문의 역사를 살펴본다. 더불어 한국 신문의 역사를 근대 이전, 구한말, 일제시대, 미군정기, 이승만ㆍ박정희ㆍ전두환 정권, 민주항쟁 이후로 구분하여 통시적으로 고찰한다. 그리고 디지털 시대인 오늘날에 인터넷 신문의 장점과 한계는 무엇인지, 뉴미디어를 어떻게 활용하고 이겨나가야 하는지 고민해 본다.
다음으로 신문을 산업적 측면에서 분석하여 신문산업의 현황, 특성, 구조 등을 고찰한다. 또한 정치와의 상호작용의 측면에서 민주주의에 기여하고, 부정부패를 감시하고, 사회갈등을 해소하며, 정책홍보에 기여하는 신문의 모습을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신문을 요소별로 분류하여 인적 요소인 신문독자와 신문기자의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기술적 요소인 취재ㆍ기사작성, 디자인, 광고제작 방법 등을 제시한다. 또한 신문에 영향을 미치는 외적 요소인 광고시장과 신문법제에 대해서 살펴본다.

이 책을 깊숙이 들여다보면 이 책이 단순히 전공지식만 가르치는 교과서가 아니라는 것을 깨닫게 된다. 이 책의 행간에는 언론에 대한 저자의 날카로운 비판과 조언이 숨어 있다. 영리한 저자는 드러내 놓고 목소리를 내는 것이 아니라, 글의 순서ㆍ비중ㆍ횟수를 조절하고 자신의 관점을 드러내는 예시와 사진을 제시함으로써 은연중에 자신의 생각을 전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저자가 첫 번째로 강조하는 것은 신문의 ‘공익성’이다. 신문은 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이지만 일반상품과는 다른 기능을 갖고 있다. 대부분의 상품이 구매 당사자에게만 효용가치가 있는 데 비해 신문은 구매 당사자 외의 모든 사회구성원에게 영향을 미친다. 신문이 사회의 문제점을 지적하고 이를 공론화하여 해결한다면 혜택을 입는 것은 사회 전체의 구성원들이다. 역으로 신문이 위축된다면 그로 인한 손실은 신문사에만 국한되지 않고 사회 전체에 돌아간다. 저자는 여러 장에 걸쳐 이러한 신문의 공익성을 역설하며 신문의 위기는 우리 사회 전체의 위기라는 경각심을 준다.
이처럼 신문은 공적 매체의 역할을 하므로 사회적 책임 또한 막중하다. 이에 저자가 두 번째로 강조하는 것은 신문이 가져야 할 사회적 ‘사명감’이다. 저자는 신문의 역사에서 구한말과 일제시대의 저항적 신문의 모습을 자세히 다룬다. 민족의 독립과 계몽을 위해 앞장섰던 지사적 기자들의 사례와 군사정권의 언론탄압에도 굴하지 않고 언론자유를 부르짖던 해직기자들의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언론자유를 외치다 해직된 진보적 기자들이 모여 창간한〈한겨레〉의 투명한 자본운용방식과 임원선출방식, 파격적인 내용과 형식, 그리고 권력과 자본에 대한 저항정신을 소개한다. 그러면서 군사정권 시기에는 정치의 논리로, 민주화 이후에는 자본의 논리로 움직이는 신문의 문제점을 지적한다.
마지막으로 저자는 새로운 뉴미디어시대에 신문이 지향해야 할 ‘자기혁신’에 대해 강조한다. 우리나라 신문은 오랫동안 정부와 기업의 지원 속에서 독과점체제를 형성하며 변화에 소극적이었다. 과거 신문간의 경쟁이 이루어졌을 때도 질적인 성장을 위해서 노력하기보다는 지면 증대나 사은품 증정과 같이 양적이고 소모적인 경쟁에 몰두했다. 이제 뉴미디어시대에 접어들면서 신문은 새로운 매체와 경쟁해야 한다. 그러려면 신문은 수준 높은 콘텐츠와 전략으로 승부하며 끊임없는 자구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이 책은 단순히 언론인이 되기 위한 지식을 제공하는 책이 아니다. 진정한 언론인이 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책이다. 언론인이 지녀야 할 ‘지식’과 ‘신념’의 두 마리 토끼를 잡은 이 책은 모든 예비 언론인들에게 추천할 만한 똑똑하고 ‘개념 있는’ 책이다.


목차


제1장 신문의 기능과 특성 13
1. 신문의 정의 13
2. 신문의 기능 14
3. 신문의 특성 19
4. 신문의 경쟁력 22
5. 신문의 종류 27

제2장 신문의 세계사 39
1. 신문역사의 변화요인 39
2. 세계 신문의 역사 45

제3장 한국신문의 역사 59
1. 근대 이전의 신문:〈조보〉와 민간조보 59
2. 개화기신문:〈한성순보〉,〈한성주보〉,〈한성신보〉 60
3. 개화기 신문:〈독립신문〉 64
4. 기타 구한말의 신문 68
5. 구한말의 신문경영 70
6. 일제시대의 신문 71
7. 미군정기의 신문 82
8. 이승만 정권 시기의 신문 84
9. 박정희 정권 시기의 신문 87
10. 전두환 정권 시기의 신문 91
11. 민주항쟁 이후의 신문 93

제4장 디지털시대의 신문 99
1. 신문과 뉴미디어의 경쟁 99
2. 인터넷신문의 등장과 확산 102
3. 인터넷신문의 정의 및 종류 103
4. 인터넷신문의 장점 109
5. 인터넷신문의 한계 111
6. 시민저널리즘:〈오마이뉴스〉 115
7. 포털뉴스 117
8. 스마트폰, 태블릿PC, SNS 120

제5장 신문과 독자 129
1. 세계의 신문 현황 129
2. 한국의 신문 현황 133
3. 신문독자 141

제6장 신문산업 155
1. 한국 신문산업의 현황 155
2. 신문산업의 특성 159
3. 한국신문 산업구조의 특성 166
4. 신문산업과 여론 다양성 174

제7장 신문과 민주주의 181
1. 선거민주주의에 기여하는 신문 181
2. 부정부패를 감시하는 신문 185
3. 사회갈등 해소에 기여하는 신문 190
4. 정책홍보에 기여하는 신문 196

제8장 신문기자 201
1. 신문기자 현황 201
2. 신문기자의 직업적 특성 204
3. 신문기자 조직의 특성 207
4. 신문기자 직업의 역사 211
5. 여성과 신문기자 220

제9장 신문과 뉴스 225
1. 뉴스와 인간 225
2. 뉴스와 공동체 227
3. 뉴스의 생산과정 230
4. 뉴스가치 232
5. 뉴스의 진실성 237
6. 진실보도 저해 요인 241

제10장 신문의 취재 247
1. 취재원 247
2. 취재수단 249
3. 취재원의 다양성 257
4. 정부 취재원 259
5. 기자와 취재원과의 관계 263
6. 뉴스통신과 신디케이트(News Agency & Syndicate) 264

제11장 신문기사 269
1. 신문기사의 종류 269
2. 신문기사의 구조 272
3. 신문기사 작성방식 275
4. 취재원의 명시와 인용 280
5. 신문기사의 소재 285
6. 신문기사의 논조 288
7. 신문의 칼럼 292
8. 시사만화 297
9. 독자투고 298
10. 오보와 정정보도 299

제12장 신문사진과 편집디자인 305
1. 신문사진 305
2. 신문의 편집디자인 314

제13장 신문과 광고 329
1. 신문광고의 현황 329
2. 신문광고의 특성 330
3. 신문광고의 효과 338
4. 신문광고의 역사 339
5. 한국 신문광고 시장의 특성 342
6. 신문 광고주의 영향력 346
7. 기사형 광고 348

제14장 신문법제 353
1. 신문등의 진흥에 관한 법률(신문진흥법) 353
2. 신문법 논쟁 356
3. 신문기능보장법에 대한 헌법재판소 판결 358
4. 권위주의 시대의 신문법제 362
5. 신문 지원제도 371
6. 유럽국가의 신문 지원제도 37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