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호실로 가다』는 2017년 가을 tvN에서 방영된 드라마 <이번 생은 처음이라>에 소개되어 많은 독자들의 사랑을 받은 도리스 레싱의 책이다. 이 책은 정희진, 이다혜, 최은영 등의 학자, 비평가, 소설가 들이 추천한 도리스 레싱의 단편소설집이다. 1919년 페르시아(현 이란)에서 태어나 2013년 타계한 여성 작가 도리스 레싱은 『19호실로 가다』를 비롯하여 여성이 일상에서 겪는 불안과 억압을 그린 많은 작품을 남겼다.
단편 「19호실로 가다」는 1963년에 처음 발표된 작품으로, 1970년대 이후 좀더 보편적이 될 페미니즘적 사유들을 한발 앞서 예견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19호실로 가다」와 같은 작품이 여전히 독자들에게 커다란 공감을 얻고 있다는 사실은 무엇을 의미할까? 그것은 레싱이 1960년대에 발표한 작품 속에서 포착한 삶의 불안, 특히 여성의 불안하고 억압된 삶의 조건들이 오늘날에도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는 의미일 것이다.
레싱의 작품 중에는 페미니즘의 시선으로 독해가 가능한 작품들이 많기는 하지만, 후기의 레싱은 우주과학, 생물학, 물리학 등에서 직접적인 영감을 받은 여러 편의 과학소설 및 판타지 소설을 썼고, 제국주의, 식민주의 문제와 오늘날과 같은 고령화 사회에서 누구나 고민할 수밖에 없는 노인에 대한 차별, 특히 자신과 같은 여성 노인의 삶 등 다양한 주제를 열정적으로 탐험했던 작가이다. 그녀가 작품 속에서 다룬 주제를 나열하는 것만으로도 세간의 시선에 흔들리지 않고 자신이 직면한 문제를 깊이 고민하는 곧은 지성의 힘이 느껴진다. 오늘날까지 레싱이 작품이 독자들에게 널리 사랑받고 있는 이유, 또 나아가 2007년에 레싱이 노벨상을 받을 수 있었던 원동력이 바로 여기에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