新 민간경비론은,
민간경비회사의 경비원과 국가중요시설의 청원경찰, 공경비기관의 대통령경호원·경찰관·소방관·교도관 방호관, 국회경위, 군인 등의 지침서!
경비지도사 국가자격증 획득을 위한 필수 수험교재!
新 민간경비론은,
민간경비(사경비)와 공경비, 민간경비의 생성이론 및 분류, 민 간경비의 발전과정 및 국가별 경비제도, 한국의 민간경비제도, 민간경비의 조직원리와 경비위해요소 분석 등 민간경비의 이론을 기술!
민간경비의 계획 및 운영, 화재 및 재난예방과 비상대비, 컴퓨터 안전관리, 경비업무의 유형과 경비대책, 경비무술의 수련 등 민간경비의 실무를 고찰!
경비관련법의 발전과제, 민간경비제도의 확충, 국가중요 시설경비의 발전과제, 민영교도소의 발전과제, 산업보안경비의 발전과제 등 민간경비의 발전을 제시!
국민적 요구에 부응하고 4차 산업혁명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우수한 경비인력을 배출하고 경비기술을 개발하는 학문적 가치를 축적시키는 연구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경호경비학을 호위론, 경비론, 장비론, 경비환경론 등의 종합적인 학문영역으로 분류해볼 때, 호위론은 사람의 신체보호를 중심으로, 경비론은 생명 또는 재산보호를 대상으로 보다 합리적인 수단과 기계적인 기술 및 그 적용을 연구하는 종합적인 학문이라고 볼 수 있다.
경비론(민간경비론)의 대상은 경비의 개념 및 분류, 한국 및 외국의 경비제도, 경비의 조직, 시설경비·호송경비·신변보호·기계경비·특수경비 등의 경비작용, 경비무기 및 장비, 경비환경 등 제 관계에 있어서의 이론과 실무를 연구하는데 있다고 본다.
그러나 경비론(민간경비)의 학문적인 연구는 수험서 등 단편적 연구실적에 머무르고 있다 해도 과언이 아닌바, 본 新민간경비론을 연구하는데 있어서는 경비업법 해석학적 연구, 역사적 연구, 경험론적 연구 및 비교경비학적 연구를 동원하여 보다 체계적인 연구가 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이 책은 제1장 민간경비(사경비)와 공경비, 제2장 민간경비의 생성이론 및 분류, 제3장 민간경비의 발전과정 및 국가별 경비제도, 제4장 한국의 민간경비제도, 제5장 민간경비의 조직원리와 경비위해요소 분석 등 민간경비의 이론을 기술하였다.
그리고 제6장 민간경비의 계획 및 운영, 제7장 화재 및 재난예방과 비상대비, 제8장 컴퓨터 안전관리, 제9장 경비업무의 유형과 경비대책, 제10장 경비무술의 수련 등 민간경비의 실무를 고찰하였다.
또한 제11장 경비관련법의 발전과제, 제12장 민간경비제도의 확충, 제13장 국가중요시설경비의 발전과제, 제14장 민영교도소의 발전과제, 제15장 산업보안경비의 발전과제 등 민간경비의 발전을 제시하였다.
아무쪼록 국내·외 민간경비제도 및 실무를 총 망라한 이 책이 민간경비론을 배우고 있는 학생들의 교재와 경비업무를 집행하고 있는 민간경비회사의 경비원과 국가중요시설의 청원경찰, 공경비기관의 대통령경호원·경찰관·소방관·교도관·방호관, 국회경위, 군인 등의 지침서 그리고 경비지도사 국가자격증 획득을 위한 수험교재로써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 간절하다.
들어가는 말
4차 산업혁명의 미래사회에서는 상당히 많은 변화가 있을 것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