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국어의 재구조화 1

한국어의 재구조화 1

  • 임홍빈
  • |
  •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
  • |
  • 2018-07-19 출간
  • |
  • 1032페이지
  • |
  • 160 X 233 X 54 mm /1582g
  • |
  • ISBN 9788952120076
판매가

70,000원

즉시할인가

66,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66,5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이 책의 내용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것은 크게 두 가지이다. 하나는 현대의 문법 이론이 가지는 결함을 비판하고 그에 대한 대안을 제시하는 것이며, 다른 하나는 문장 구조 분석의 이론에 따라 한국어 문장의 통사 구조를 분석할 때, 그에 적용되는 재구조화에는 어떠한 것이 있고, 그 성격은 어떠한 것인가를 밝히는 것이다.
현대의 문법 이론으로 이 책에서 집중적으로 문제를 삼은 것은 Chomsky (1981, 1986, 1995)의 지배-결속 이론과 최소주의 이론의 바탕이 된, 몇 가지 전제와 실천적 가설이다. 생성 문법에 대하여 문제를 제기한 것은 제6장이다. 생성 이론의 가장 심각한 문제는 ‘단일 보충어 가설’과 같은 것이다. 생성 문법은 공공연히 혹은 암암리에 핵의 보충어는 단지 하나뿐인 것으로 보는 경향을 띤다. Larson(1988)에서는 이를 ‘단일 보충어 가설’로 명시하고 있다. 그러나 모든 핵이 하나의 보충어를 가진다는 것은 추상적인 관념론에 지나지 않는 것이며, 정확하게 말하면 허위론에 지나지 않는 것이다.
이 책에서 저자가 중시한 것은 ‘격 어휘론자 가설’과 ‘가변 중간 투사론’이다. 모든 격이 용언과 관련되는 것은 아니나, ‘격 어휘론자 가설’의 핵심은 관형격이나 호격을 제외하면, 대부분의 격은 용언의 어휘적 특성과 관련된다는 것이다. 주격이나 대격을 구조격이라 하여 어휘적 특성과의 관련이 없는 것처럼 제시하는 경향이 있으나, 주격이나 대격도 어휘적인 성격을 띠는 것임을 인정하지 않으면 안 된다. 대격은 타동사가 요구하는 격이니만큼, 그것을 어휘적인 격으로 생각하는 것은 결코 지나친 것이라 할 수 없다. 주격을 요구하는 것도 대부분의 용언이 가지는 특성이므로, 이 또한 어휘적인 특성이라 할 수 있다.
‘가변 중간 투사론’은 중간 투사를 가변적인 것으로 상정하는 것을 말한다. 중간 투사를 하나만 설정하는 것이 ‘단일 보충어 가설’이다. 그러나 보충어를 왜 하나만 설정하는가? 단일 보충어 가설은 아무런 근거도 없이 보충어를 하나만 설정하는 것이다. 이에 대하여, 용언이 가지는 필수적인 격 성분 혹은 기타 필수 성분의 수에 따라 중간 투사를 가변적인 것으로 설정하는 것이 우리의 ‘가변 중간 투사론’이다. ‘가변 중간 투사론’은 용언이 보충어를 가지지 않으면, 중간 투사를 설정하지 않는다. 용언이 보충어를 하나 가지면, 중간 투사는 하나만 설정하고, 보충어를 둘 요구하면, 중간 투사를 둘 설정하고, 보충어를 셋 요구하면, 중간 투사를 셋 설정한다. 보충어의 수에 따라 중간 투사도 하나씩 많아지게 된다. 용언에 따라, 중간 투사가 가변적인 것이 되는 것이다.
‘격 어휘론자 가설’과 ‘가변 중간 투사론’에 의하여, 개별적인 어휘적 요소가 가지는 통사적 특성이나 의미론적인 특성의 일부가 통사 구조에 반영될 수 있게 된다. 재구조화는 이러한 구조에 적용된다. 이러한 구조를 상정하지 않았을 때에는 ‘재구조화’의 예가 되지 않았던 구성도, ‘격 어휘론자 가설’과 ‘가변 중간 투사론’에 의하면, 재구조화의 성격을 띠기도 한다. 가령, ‘동생이 밥을 먹었다’의 ‘먹었다’를 동사로 보는 전통 문법이나 학교문법에 따르면, 이 문장에는 재구조화가 상정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논의에서와 같이 그 서술어를 어말 어미구 아래에 선어말 어미구가 오고, 다시 그 아래에 동사구가 오는 구조로 분석하면, ‘먹었다’를 하나의 ‘서술어’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의 성격을 띠는 것이다. 조사구에 대해서도 유사한 재구조화가 상정될 수 있다. 가령, ‘철수가’의 문법적인 범주는 ‘가’에 의하여 조사구가 되는 것이지만, 이것을 ‘명사구’로 분석하는 것은 재구조화를 적용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접근은 재구조화를 화자의 구조에 대한 직관적인 인식이 반영된 것으로 볼 수 있게 한다.

정리하면 이 책에서는 초창기 재구조화에 대해 검토를 하는 데서 출발하여 재구조화에 대한 변형적 접근과 기저적 접근을 비판하고, 이어 가상 구조에 의한 재구조화의 원리를 살펴보고 생성 문법의 패러다임과 그 결함을 지적한 뒤 이에 대한 대안으로 가변 중간 투사론의 작용과 이점을 설명한다. 이것을 마지막으로 서술어와 어미구의 재구조화 측면에서 그 실례를 확인한다.
이 책의 후속으로 같이 나오는 2권에서는 좀 더 깊이 들어가서 조사구와 무조사구의 재구조화 및 어휘 범주, 양태 표현, 형태음소적 측면에서 재구조화를 살펴보며 그 가역성을 검토한다.


목차


머리말

1. 서론
1.1. 연구의 목적
1.2. 연구의 필요성과 방법
1.3. 논의의 구성

2. 초창기 재구조화 논의에 대한 검토
2.1. 도입
2.2. 관용구 뭉치와 재구조화
2.2.1. 관용구 뭉치와 피동
2.2.2. Radford(1981)의 재구조화
2.2.3. 관용구 뭉치와 WH-이동
2.2.4. 관용구 뭉치와 어휘적 통합성
2.2.5. 느슨한 어휘적 통합성과 역재구조화
2.3. 연어 구성과 재구조화
2.3.1. WH-이동과 재구조화
2.3.2. 재구조화와 역재구조화
2.4. 마무리

3. 재구조화에 대한 변형적 접근 비판
3.1. 도입
3.2. Rizzi(1982)의 재구조화와 단일 동사 복합체의 문제
3.2.1. Rizzi(1982)의 재구조화
3.2.1.1. 도입
3.2.1.2. 재구조화 동사와 단일 동사 복합체
3.2.1.3. 재구조화와 접어 상승
3.2.1.4. 접어 상승과 성분성의 문제
3.2.1.5. 아주 작은 마무리
3.2.2. Choe(1988)의 Rizzi(1982) 비판
3.2.2.1. 도입
3.2.2.2. 보편적 원리의 문제
3.2.2.3. 통사적 동사와 어휘적 통합성의 문제
3.2.2.4. 재구조화와 결속 이론
3.2.3. Rizzi(1982)에 대한 부가적 비판
3.2.3.1. 도입
3.2.3.2. 어휘적 통합성에 대한 부가적 비판
3.2.3.3. 아주 작은 마무리
3.2.4. 작은 마무리
3.3. Burzio(1986)의 재구조화와 VP-이동
3.3.1. 도입
3.3.2. Burzio(1986)의 재구조화
3.3.2.1. 문제의 현상
3.3.2.2. VP-이동의 성격
3.3.2.3. VP-이동의 증거
3.3.3. Burzio(1986)의 재구조화에 대한 비판
3.3.3.1. 도입
3.3.3.2. VP-이동의 동기 결여
3.3.3.3. VP-이동과 임의적 구조와 범주 문제
3.3.3.4. 논항 정보와 투영 원리의 문제
3.3.3.5. VP-이동의 무위 적용 문제
3.3.3.6. VP-이동과 WH-요소
3.3.4. 작은 마무리
3.4. Choe(1988)의 범주 의존성과 재구조화
3.4.1. 도입
3.4.2. Choe(1988)의 핵에서-핵으로와 재구조화
3.4.2.1. 약의미 서술어와 범주 의존성
3.4.2.2. 재구조화와 범주 의존성 삼투
3.4.2.3. 로맨스어의 사동 구성과 재구조화
3.4.3. Choe(1988)에 대한 비판
3.4.3.1. 도입
3.4.3.2. Rizzi(1982)의 재구조화와의 차이 문제
3.4.3.3. 재구조화와 변형의 문제
3.4.3.4. 삼투(Percolation)의 문제
3.4.3.5. 재구조화 복합어의 성격 문제
3.4.3.6. 사동 구성과 재구조화 동사 구성의 변별 문제
3.4.3.7 재구조화와 장벽의 문제
3.4.4. 작은 마무리
3.5. 마무리

4. 재구조화에 대한 기저적 접근 비판
4.1. 도입
4.2. Zubizarreta(1982)의 평행 구조적 접근
4.2.1. Zubizarreta(1982)의 논리적 함의와 가상 구조
4.2.2. Zubizarreta(1982)의 평행 구조 분석
4.2.2.1. 문제의 현상
4.2.2.2. Zubizarreta(1982)의 Strozer(1976) 비판
4.2.2.3. Zubizarreta(1982)의 제안
4.2.3. Zubizarreta(1982)에 대한 비판
4.2.3.1. 양태의 수식 범위와 가상 구조 비판
4.2.3.2. 평행 구조의 문제점
4.2.4. 작은 마무리
4.3. Manzini(1983)의 재구조화 어휘 항목
4.3.1. 도입
4.3.2. 도출과 재구조화 구표지
4.3.2. Manzini(1983)에 대한 비판
4.3.3. 작은 마무리
4.4. Picallo(1985,1987)의 조동사 부가어 구조
4.4.1. 도입
4.4.2. Picallo(1985,1987)의 비재구조화 구조
4.4.3. Choe(1988)의 Picallo(1985,1987)에 대한 비판
4.4.4. Picallo(1985,1987)에 대한 부가적 비판
4.4.5. 작은 마무리
4.5. Cinque(2004,2006)의 기능 구조와 비재구조화
4.5.1. 도입
4.5.2. Cinque(2004,2006)의 재구조화 동사와 기능 구조
4.5.3. Cinque(2004)에 대한 비판
4.5.3.1. 기능핵의 과다 설정에 대한 비판
4.5.3.2. 기능핵의 효용성에 대한 비판
4.5.3.3. 어휘적 속성을 결여한 기능핵에 대한 비판
4.5.3.4. 기능핵 설정의 비일관성에 대한 비판
4.5.3.5. 단일절과 기능핵 뒤의 WH-요소 등에 대한 비판
4.5.3.6. 주어-동사 일치와 기능핵에 대한 비판
4.5.3.7. 부사 중출과 단일절 가설에 대한 비판
4.5.3.8. 기능핵의 고정적 순서에 기초한 단일절 가설 비판
4.5.4. 작은 마무리
4.6. 마무리

5. 가상 구조에 의한 재구조화의 원리
5.1. 도입
5.2. 연어 구성과 재구조화
5.2.1. 연어적 단위와 단일 동사의 차이
5.2.2. 재구조화 범주
5.2.3. WH-이동과 투명 동사 및 가상 구조
5.2.4. 작은 마무리
5.3. 로맨스어의 재구조화 동사 구성과 재구조화
5.3.1. 도입
5.3.2. 로맨스어의 재구조화 관련 동사 및 관련 현상
5.3.3. 로맨스어의 재구조화 논의들이 소홀히 한 것
5.3.4. 로맨스어의 재구조화와 가상 구조
5.3.5. Rizzi(1982) 및 Cinque(2004)의 문제와 가상 구조
5.3.6. 작은 마무리
5.4. 마무리

6. 생성의 패러다임과 그 결함
6.1. 도입
6.2. ‘생성’의 근원적 결함
6.2.1. 목적 없는 도출과 ‘미리 보기’
6.2.2. ‘배번 집합’과 ‘미리 보기’
6.2.3. ‘선택’ 및 ‘병합’과 ‘미리 보기’
6.3. 어휘적 정보의 경시
6.3.1. 어휘 항목의 분해와 파괴
6.3.2. 근거 없는 어휘적 실체의 상정
6.3.3. 어휘부 정보에 대한 몰이해
6.4. 논항 설정의 결함
6.4.1. 주어 논항 파악의 실패
6.4.2. 단일 보충어 가설의 허구
6.4.3. 보충어에 대한 다양성 파악의 실패
6.5. 격 설정의 결함
6.5.1. 격 여과의 결함
6.5.2. 구조격 설정의 결함
6.5.3. 격 배당과 DP 가설
6.6. 범주와 층위 설정의 결함
6.6.1. 엑스-바 이론의 층위와 지정어
6.6.2. DP(결정사구) 범주 설정의 결함
6.6.3. 층위의 문제
6.7. 마무리

7. 가변 중간 투사론의 작용과 이점
7.1. 도입
7.2. 통사 구조 분석 방법론
7.2.1. 격 어휘론자 가설과 가변 중간 투사론
7.2.2. 가변 중간 투사론의 이점
7.3. 마무리

8. 서술어와 어미구의 재구조화
8.1. 도입
8.2. 통사 분석과 기능적 해석 범주
8.2.1. 도입
8.2.2. 정밀 통사 분석과 재구조화
8.2.3. 작은 마무리
8.3. 서술어 구성과 재구조화
8.3.1. 도입
8.3.2. 재구조화에 의한 서술어
8.3.2. 어미 구조체와 동사-인상의 문제
8.3.3. 어미 구조체와 재구조화
8.3.4. 작은 마무리
8.4. 활용과 재구조화
8.4.1. 도입
8.4.2. 활용의 개념과 그 기술
8.4.2.1. 활용과 통사적 구조의 형태적 구조화
8.4.2.2. 학교문법의 활용에 대한 기술
8.4.2.3. 최현배(1930,1959)에서의 활용과 도움줄기
8.4.3. 활용 체계와 선어말 어미의 분석
8.4.3.1. 수직적 체계와 수평적 체계
8.4.3.2. 기본 활용 체계
8.4.3.3. 과거 시제 활용 체계
8.4.3.4. 미래 시제 활용 체계
8.4.3.5. 주체 존대 활용 체계
8.4.3.6. 화자 겸양 활용 체계
8.4.3.7. 현재 시제 활용 체계와 선어말 어미 ‘-느-’
8.4.3.8. 선어말 어미 ‘-더-’ 활용 체계의 검토
8.4.3.9. 선어말 어미 ‘-거-’와 활용 체계
8.4.3.9.1. ‘-거-’의 분포
8.4.3.9.2. 주시경(1910)의 품사와 ‘잇기’
8.4.3.9.3. 마에마[前間](1924)의 ‘완료’
8.4.3.9.4. 최현배(1937)의 ‘-거-’계 어미
8.4.3.9.5. 양주동(1942,1947)의 ‘현재 시상 조동사’
8.4.3.9.6. 고노[河野](1950)의 ‘강조 어간’
8.4.3.9.7. 이숭녕(1961)의 가상?조건
8.4.3.9.8. 허웅 외(1962) 및 허웅(1975)의 강의 및 강조?영탄법
8.4.3.9.9. 유창돈(1963,1964)의 강세?강조
8.4.3.9.10. 최태영(1965)의 가상?조건
8.4.3.9.11. 나진석(1971)의 ‘끝남상’과 ‘확인 도움줄기’
8.4.3.9.12. 고영근(1980,1981)의 ‘비타동사-타동사 가설’과 확인법
8.4.3.9.12.1. ‘비타동사-타동사 가설’과 과도한 예외
8.4.3.9.12.2. ‘-거-’와 고영근(1965,1981)에서의 확인법
8.4.3.10. ‘-거-’의 형태소 분석
8.4.3.10.1. ‘-거-’의 분리 가능성
8.4.3.10.2. 고영근(1981)의 형태소 분석 원리
8.4.3.10.3. 형태소 분석의 원리와 ‘-거-’
8.4.3.10.3.1. 형태소 분석의 원리적인 출발점
8.4.3.10.3.2. ‘-거지라’ 등의 ‘-거-’
8.4.3.10.3.3. ‘-거?’와 ‘-거-’
8.4.3.10.3.4. ‘-건?’ 등과 유일 형태소
8.4.3.10.4. 현대의 ‘-거-’와 중세의 ‘-거-’
8.4.3.10.5. ‘-거-’와 대상성의 의미 특성
8.4.3.10.6. ‘-거-’와 재구조화된 선어말 어미 ‘-아/어/야-’
8.4.3.10.7. ‘-거-’의 대상성 및 정태성과 완료성
8.4.3.11. 작은 마무리
8.4.4. 선어말 어미와 재구조화
8.4.4.1. 도입
8.4.4.1.1. 원리적인 형태소 분석과 재구조화
8.4.4.1.2. 중세어 아주높임 형태소 ‘-?-’
8.4.4.1.3. 중세어 예사낮춤의 ‘-닛가’와 예사높임의 ‘-?다’
8.4.4.1.4. 현대어 ‘-ㅂ니다/습니다’와 아주높임
8.4.4.1.5. 현대어의 예사낮춤 ‘-네, -데, -세’와 재구조화
8.4.4.2. ‘주어진 것’과 선어말 어미 ‘-니-’의 재구조화
8.4.4.3. 현재 시제 형태와 재구조화
8.4.4.4. 과거 시제 형태와 재구조화
8.4.4.5. 미래 시제 형태와 재구조화
8.4.4.5.1. 동명사 어미 ‘-ㄹ’과 미래 시제 형태 ‘-리-’
8.4.4.5.2. 미래 시제 형태 ‘-겠-’과 재구조화
8.4.4.5.2.1. ‘-겠-’ 기능의 다양성
8.4.4.5.2.2. ‘-겠-’의 발달과 재구조화
8.4.4.5.3. ‘-려고 하-’ 및 ‘-고자 하-’와 관련된 재구조화
8.4.4.5.4. 기타의 미래 시제 표시와 재구조화
8.4.4.6. 양태 표현의 재구조화된 선어말 어미
8.4.4.7. 작은 마무리
8.4.5. 어말 어미와 재구조화
8.4.5.1. 도입
8.4.5.2. ‘-느-’계 어말 어미의 재구조화
8.4.5.3. ‘-더-’계 어말 어미의 재구조화
8.4.5.4. ‘-거-’계 특수 어미의 재구조화
8.4.5.5. ‘-ㄴ’계 어말 어미의 재구조화
8.4.5.6. ‘-ㄹ’계 어말 어미의 재구조화
8.4.5.7. ‘-다’계 어미의 재구조화
8.4.5.7.1. 축약형 어미와 재구조화
8.4.5.7.2. 전달 대동사 ‘하-’
8.4.5.7.3. 축약형과 가상 동사 ‘*해-’
8.4.5.7.4. ‘-다나’ 등과 그 재구조화
8.4.5.7.5. ‘-다네’ 등과 그 재구조화
8.4.5.7.6. ‘-다느니’ 등과 그 재구조화
8.4.5.7.7. ‘-다니’ 등과 그 재구조화
8.4.5.7.8. ‘-다니까’ 등과 그 재구조화
8.4.5.7.9. ‘-다지’ 등과 그 재구조화
8.4.5.7.10. ‘-단다’ 등과 그 재구조화
8.4.5.8. 중간 마무리
8.4.5.9. ‘-아/어’계 어미의 재구조화
8.4.5.9.1. ‘-어서, -어도 -어야’의 동질성과 이질성
8.4.5.9.2. ‘-어서’와 관련된 문제
8.4.5.9.2.1. ‘-어’와 ‘-어서’의 단일 형태소적 접근
8.4.5.9.2.2. ‘-어서’에 대한 분리적 접근
8.4.5.9.2.3. ‘-어서’의 분리와 재구조화
8.4.5.9.2.4. ‘-어서’와 ‘-니까’의 의미와 문법
8.4.5.9.2.4.1. 도입
8.4.5.9.2.4.2. ‘-어서’와 ‘-니까’에 대한 기존의 논의
8.4.5.9.2.4.3. ‘-어서’와 ‘-니까’의 의미 차이와 통사 구조
8.4.5.9.2.4.4. 아주 작은 마무리
8.4.5.9.3. 연결 어미 ‘-어’와 ‘-어도’
8.4.5.9.3.1. 최현배(1937/1959)의 ‘-어도’
8.4.5.9.3.2. 허웅(1975)의 ‘-어도’
8.4.5.9.3.3. ‘-어도’의 분석과 재구조화
8.4.5.9.3.4. 아주 작은 마무리
8.4.5.9.4. 연결 어미 ‘-어’와 ‘-어야’
8.4.5.9.4.1. ‘-어야’에 대한 두 가지 접근
8.4.5.9.4.2. ‘-어야’에 대한 기존의 논의
8.4.5.9.4.3. ‘-어야’의 형태소 분석
8.4.5.9.4.4. ‘-어야’의 의미 분석과 재구조화
8.4.5.9.4.5. 아주 작은 마무리
8.5.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찾아보기
발간사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