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붓다의 철학

붓다의 철학 - 중도, 그 핵심과 사상체계

  • 이중표
  • |
  • 불광출판사
  • |
  • 2018-08-27 출간
  • |
  • 420페이지
  • |
  • 130 X 270 mm
  • |
  • ISBN 9788974794439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6,1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6,1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붓다의 ‘중도철학’으로 알 수 있는 서양철학의 한계와
현대 철학의 한계를 넘어선 ‘붓다의 철학’!


1992년 처음 출간된 『아함의 중도체계』는 붓다의 근본 가르침에 가장 가깝다고 여겨지는 초기경전을 바탕으로 불교의 핵심 사상인 ‘중도(中道)’의 원류를 파헤친 책이다. 중도란 양극단의 모순 대립하는 사유로부터 벗어나는 것을 말한다. 이를 바꿔 말하면 ‘모순된 사유의 초월’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중도에 붓다 철학의 핵심이 담겨 있으며, 불교 사상의 근간을 이루는 4성제·8정도·12연기의 내용이 모두 포함되어 있다.

27년 전 난해한 국한문 혼용의 한문경전 번역이 주류를 이루던 당시, 알기 쉬운 현대어 번역과 치밀한 논리로 붓다의 중도 사상을 밝힌 『아함의 중도체계』는 발간 이래 30년 가까운 세월 동안 불교 이해에 목말라하는 많은 독자들의 지지와 사랑을 받아왔다. 이미 한국 불교학의 고전으로 자리 잡은 『아함의 중도체계』를 개정 보완하여 새롭게 엮은 『붓다의 철학』은 저자 필생의 연구 성과를 담아 초기경전 원전 해석의 내용을 대폭 강화했다.

이 책은 중도 해설을 중심으로 무엇이 진리이며 그 진리를 어떻게 인식할지에 관한 ‘인식론’, 12연기를 바탕으로 한 ‘존재론’, 4성제를 토대로 실천의 당위성을 논하는 ‘가치론’을 설명하고 있다.

『붓다의 철학』을 통해 붓다의 진의와 중도의 의미는 무엇이며, 서양철학과의 비교분석으로 현존하는 철학 제 문제를 풀 수 있는 ‘중도사상’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또한 단지 지식적인 접근만이 아닌, 수행이라는 실천의 측면에서 번뇌를 끊는 지혜와 모순된 사유를 초월하는 길로 우리를 인도한다. 이처럼 이론과 실천을 겸비하여 괴로움에서 벗어나는 방법을 제시한 것이 ‘붓다의 철학’이며, ‘중도철학’이라고 할 수 있다.

진리를 알기 위한 ‘인식론’과 세상의 구조를 설명하는 ‘존재론’
그리고 실천 목표인 ‘가치론’으로 붓다의 철학을 조망하다


‘중도(中道)’는 초기불교와 대승불교를 관통하는 불교의 핵심 사상이다. 중도는 초기불교경전인 『아함경』과 『니까야』에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나타나는데, 하나는 8정도(八正道)로 대변되는 실천 수행의 중도(中道)이고, 다른 하나는 12연기(十二緣起)의 철학체계로서의 중도이다. 이와 같이 붓다의 중도는 이론과 실천이라는 두 가지 측면의 중도가 하나의 사상을 형성하고 있다. 붓다는 이 중도의 바탕 속에 4성제(四聖諦)라는 철학체계가 있음을 천명했다.

저자 이중표 교수는 이러한 붓다의 사유를 서양철학의 주요 범주이기도 한 인식론·존재론·가치론적 입장에서 재조명한다. 진리의 접근법인 인식론은 연기설(緣起說)과 9차제정(九次第定)으로 설명하고, 세상이 어떻게 구성되었는지를 논하는 존재론은 5온(五蘊)·12처(十二處)·18계(十八界)로 풀이했다. 그리고 마땅히 실현해야 할 가치에 관해 탐구하는 가치론은 4성제를 기반으로 해석했다. 하지만 이는 단지 이해를 돕기 위한 구분일 뿐이다.

붓다의 가르침은 수행을 통해 올바른 인식을 갖추고 세상의 존재가 ‘허상(虛像)’임을 깨닫는 것이 중요하다. 그런 면에서 붓다의 철학은 ‘존재하는 것은 존재한다’라는 분별심에서 벗어나야만 제대로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붓다의 인식론, 존재론, 가치론은 카테고리의 구분이 아니라 하나로 회통한다는 사실을 인지해야 한다. 이 진리의 인지를 위해 붓다는 실천 수행체계를 제시했고, 각 수행 단계마다 향상되는 인식 과정을 본인의 체험을 바탕으로 면밀히 설했다. 이러한 체험적 인식론을 기반으로 세상의 구조를 이해하는 연기관(緣起觀)과 해탈의 길인 4성제를 체득하는 것이 붓다 철학의 핵심이다.

이 점은 존재론과 가치론을 별개의 영역으로 구분한 서양철학과 비교되는 부분이다. 저마다 다른 인식론으로 존재론과 가치론을 구분하며 대립하고 있는 양상이다. 『붓다의 철학』은 이러한 철학 제반의 문제들을 다루며 해결법을 제시한다. 이를 통해 우리에게 붓다가 말하는 해탈의 경지는 무엇인지 사유하게 하고, 번뇌를 일으키는 모순 대립의 생각에서 벗어날 수 있도록 유도한다


목차

독자에게
머리말

제1장 중도(中道)
Ⅰ. 붓다의 침묵
1. 기존의 해석
1) 소극적인 해석
2) 적극적인 해석
2. 붓다의 침묵과 관련된 중요 경전
1) 전유경(箭喩經, C?lam?lu?kya-sutta)
2) 청정경(淸淨經, P?s?dika-sutta)
3) 범동경(梵動經, Brahmaj?la-sutta)
3. 붓다의 침묵의 의의
Ⅱ. 중도의 내용과 체계
1. 당시의 외도사상(外道思想)
2. 붓다의 중도(中道)
1) 고락중도(苦樂中道)
2) 자작타작중도(自作他作中道)
3) 단상중도(斷常中道)
4) 일이중도(一異中道)
5) 유무중도(有無中道)
3. 붓다의 철학

제2장 인식론
Ⅰ. 붓다의 진리관
1. 붓다의 두 가지 인식설(認識說)
1) 지각적(知覺的) 인식설(認識說)
2) 증오적(證悟的) 인식설(認識說)
2. 붓다의 진리관(眞理觀)
Ⅱ. 붓다의 인식론
1. 중도의 자각
1) 고락중도(苦樂中道)의 자각
2) 유무중도(有無中道)의 자각
2. 9차제정(九次第定)과 7식주2처(七識住二處)
3. 9차제정(九次第定)과 12연기(十二緣起)
1) 색계(色界) 4선(四禪)과 12연기(十二緣起)
2) 제식연기설(齊識緣起說)의 의의
3) 4무색정(四無色定)과 무명(無明)의 자각
4) 멸진정(滅盡定)과 12연기(十二緣起)

제3장 존재론
Ⅰ. 붓다의 세계관
1. 의식이 있는 한 길 몸속에 있는 세계
2. 12입처(十二入處)의 의미
3. 12입처는 6근(六根)· 6경(六境)이 아니다
4. 붓다의 세계관(世界觀)
Ⅱ. 붓다의 존재론
1. 붓다의 존재론(存在論)
2. 의(意)와 법(法)의 관계
Ⅲ. 5온(五蘊)
1. 5온의 성립과정과 구조
1) 18계(十八界)의 성립과 6촉(六觸)의 발생
2) 5온의 질료(質料)
3) 5온의 순서와 구성
2. 5온의 의미
3. 5온과 연기설(緣起說)
4. 5온과 5취온(五取蘊)
Ⅳ. 12연기(十二緣起)
1. 12연기에 대한 기존의 해석
1) 삼세양중인과설(三世兩重因果說)
2) 무시간적(無時間的) 연기관(緣起觀)
2. 연기(緣起)의 의미
1) 연기(緣起)와 집(集)
2) 연기(緣起)와 법(法)
3. 두 계열의 연기설(緣起說)과 이들의 관계
1) 12입처(十二入處) 계열 연기설(緣起說)
2) 12연기(十二緣起) 계열 연기설(緣起說)
4. 12연기의 구조와 의미
1) 12연기의 구조
2) 유전문(流轉門)과 환멸문(還滅門)
3) 12지(十二支)의 의미

제4장 가치론
Ⅰ. 붓다의 가치론
1. 사실판단과 가치판단의 문제
2. 고락중도(苦樂中道)의 가치론적 의의
Ⅱ. 4성제의 구조와 의의
1. 4성제의 구조
2. 4성제의 의의
Ⅲ. 멸성제와 도성제의 관계
1. 멸성제(滅聖諦)와 도성제(道聖諦)의 관계
2. 8정도(八正道)의 구조
3. 정념(正念)과 정정(正定)
Ⅳ. 무아의 세계
1. 결박(結縛)과 해탈(解脫)
2. 무명(無明)과 명(明)
3. 유위(有爲)와 무위(無爲)
4. 생사(生死)와 열반(涅槃)
5. 무아(無我)의 세계
참고문헌

저자소개

저자 : 이중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