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연은 고된 서울 생활에 지쳐 빈껍데기만 남기 일보 직전에 고향 오성으로 돌아와, 할머니가 생전에 운영하던 오성 해뜰시장의 ‘해뜰찬’의 새로운 주인이 된다. 그동안은 이 악물고 최선을 다해 살았으니 이제는 하고 싶은 거 하고, 먹고 싶은 거 먹고, 자고 싶을 때 자면서 조금만 덜 최선을 다해 살기로 하고, 지금보다 아주 조금만 더 행복해지자는 목표를 세우고 마음의 여유를 찾아간다.
그런 그녀 앞에 나타난 이방인 도건우. 수연의 가게와 길 하나를 두고 마주보고 있는 카페 ‘그늘나무’를 운영하는 건우는 특유의 밝은 기운으로 수연에게 서슴없이 다가온다. 매사에 유연하고 긍정적인 건우의 모습은, 수연이 되고 싶었던 사람의 모습이기도 했다. 한편, 수연의 할머니가 생전에 친 손자처럼 아끼던 건우는, 할머니로부터 수연에 대한 이야기를 많이 들어왔기에 그녀를 처음 본 순간부터 낯설지가 않았다.
할머니가 세상을 떠난 후, 그 빈자리를 말없이 메우며 괜찮은 척, 아무렇지 않은 척 하는데 이골이 난 듯한 그녀가 안쓰러웠다. 마음껏 울지도 못하는 그녀에게 울어도 된다고 말해준 것도, 그녀를 위로해 준 것도 그였다. 서로에 대한 관심은 호기심이 되고, 호기심은 호감이 된다. 서로에 대해 알아가는 동안 하루가 다르게 자라가는 마음은 봄날의 선물이 되어 잊고 지낸 설렘을 가져다준다. 사랑을 받아 본 적이 없어서 사랑이 무엇인지 알지 못하던 건우는 수연은 만나 사랑을 배우고, 수연은 자신의 주변 인물들이 겪는 사랑과 이별을 지켜보며 사랑의 ‘본질’에 대해 깨닫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