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편] 행정심판법
Note 01 행정쟁송법의 개념
Note 02 행정심판의 개념, 종류
Note 03 거부처분취소심판의 가능성, 고지제도
Note 04 행정심판의 대상과 당사자, 행정심판청구기간
Note 05 행정심판청구제출절차, 가구제, 행정심판의 재결
Note 06 행정행위의 효력, 행정소송의 종류
[제2편] 행정소송법
Note 07 행정소송의 한계
Note 08 취소소송의 개념, 행정소송법의 체계, 행정행위와 처분의 관계
Note 09 취소소송의 대상인 처분
Note 10 취소소송의 대상인 적극적 처분, 거부처분
Note 11 취소소송의 대상인 처분에 대한 개별적 검토
Note 12 취소소송의 대상인 재결
Note 13 재결주의, 재결취소소송의 특수문제
Note 14 이의신청과 행정심판의 관계, 개인적 공권, 취소소송의 4유형론, 원고적격
Note 15 원고적격의 확대
Note 16 권리보호필요성
Note 17 행정소송법 제12조 제2문
Note 18 피고적격
Note 19 소송참가
Note 20 재판관할, 행정심판전치
Note 21 제소기간
Note 22 관련청구소송의 이송과 병합
Note 23 소의 변경
Note 24 집행정지의 요건
Note 25 집행정지의 대상과 효력, 가처분, 행정심판법상 임시처분
Note 26 취소소송의 심리
Note 27 처분의 위법성 판단기준시, 처분사유의 추가·변경
Note 28 판결의 기속력
Note 29 재결의 기속력
Note 30 입증책임, 취소소송에서 판결의 종류와 효력
Note 31 종국판결 이외의 취소소송의 종료사유
Note 32 무효확인소송에서 즉시확정의 이익, 부작위위법확인소송에서 부작위
Note 33 부작위위법확인소송의 제소기간·소의변경·심리범위, 당사자소송의 종류
Note 34 형식적 당사자소송, 항고소송과 당사자소송의 관계, 민중소송과 기관소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