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고운 최치원의 시문학

고운 최치원의 시문학

  • 고운국제교류사업회
  • |
  • 문사철
  • |
  • 2011-10-10 출간
  • |
  • 383페이지
  • |
  • 152 X 223 X 30 mm
  • |
  • ISBN 9788993958300
판매가

30,000원

즉시할인가

27,0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7,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지난 시기 최치원의 문학은 이중고를 겪으면서 연구되어 왔다. 하나는 오늘날 전하는 저술보다 인멸된 저술이 더 많다는 점이요, 다른 하나는 최치원의 문장이 실없이 난삽하기만 하다는 평가 때문이었다. 『동문선』을 찬집(纂輯)할 때 총재관(總裁官)이었던 서거정(徐居正: 1420∼1488)은 “『계원필경집』에는 해득하지 못할 곳이 많다. 당시의 기습(氣習)이 이와 같았거나, 동방의 문체가 고아(古雅)하지 못해서일 것이다”고 하였고, 또 “지금의 관점에서 보건대, 최치원의 문장은 괴이하고 난삽하여 천하를 움직일 만한 것이 못된다”고 평가하였다. 당시 중국에서 일세를 풍미하던 사륙변려체를 그대로 답습한 몰개성적(沒個性的)인 것으로, 회삽난해(晦澁難解)하기만 하다는 것이었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 비갈문자(碑碣文字)의 효시요 신라 한문학의 중요 유산인 『사산비명』마저도 『동문선』에 실리지 않는 대우를 받기에 이르렀다.
근세의 단재(丹齋) 신채호(申采浩: 1880~1936)는 최치원을 ‘일개 한문졸업생(漢文卒業生)’ 또는 ‘소도세공(小刀細工)의 하품재자류(下品才子類)’에 불과하다고 하면서 더욱 혹독한 평을 가하였다.

오늘에 와서는 사정이 많이 달라졌다. 『계원필경집』은 중국 학자들이 더 연구에 열을 올릴 정도다. 이 책이 신라의 대당교섭사(對唐交涉史)는 물론, 황소(黃巢)의 난을 전후한 시기 당나라의 정세(情勢)를 연구하는 데 매우 중요한 자료이기 때문이다. 한 학자는 『계원필경집』이 당나라 실록(實錄)에 빠진 내용을 보완할 수 있는 중요 사료가 된다고 평하기도 한다. 한편으로 ‘고운문(孤雲文)의 정수(精髓)’로 일컬어지는 『사산비명』이 가치를 인정받은 결과, 신라 선종사(禪宗史) 및 최치원의 철학사상을 연구하는 학자가 이어지고 있다. 그동안 우리가 최치원을 오해하여 왔던 것은 그의 의식의 저변에 동인의식(東人意識)과 동문의식(同文意識) 두 개의 축이 서로 모순 없이 자리 잡고 있음을 잘 알지 못했기 때문이다. ‘뿌리 있는 국제인’이 되기를 염원했던 최치원의 주체적인 사고와 열린 자세는 현대인들에게 어떤 것이 제대로 된 국제화요 현대화인지 일깨우는 바 크다.

오늘날 최치원의 문학 연구는 시문 쪽이 주를 이루고 있다. 최치원 문학의 진수가 산문에 있음에도, 시문 위주로 진행되어온 것은 최치원의 사륙변려문이 갖는 광박(廣博), 심오함에 질린 연구자들의 회피적 태도에도 원인이 있다고 본다. 이번 총서에는 작가론 3편, 문학사에서의 위상 2편, 문학과 사상 3편, 고운시의 특성 4편 등 모두 12편의 논문을 실었다. 작가론과 관련하여, 작가로서의 고운의 인간과 문학에 대해 서경보(徐鏡普)·조동일(趙東一)·최신호(崔信浩) 교수와 같은 중망 있는 분들이 선도적 구실을 해준 것이 돋보인다. 이어 고 김철준(金哲埈) 교수가 역사학자의 관점에서 최치원의 위상을 논하고, 심경호(沈慶昊) 교수가 동아시아 문학과 최치원의 문학을 연결시켜 그의 위상을 논한 것도 눈여겨 볼 만하다. 문학과 사상이 둘이 아니라는 측면에서 양자를 아울러 보려 한 김중렬(金重烈)·양광석(梁光錫) 두 분 교수의 논고는 최치원 문학 연구에 길잡이가 될 것으로 믿는다. 최치원 문학에 나타난 현실인식을 살핀 이구의(李九義) 교수의 논문은 최치원의 글을 ‘소도세공(小刀細工)’으로 매도하였던 신채호류의 평가를 극복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시 부문의 연구는 산문에 비해 풍성한 편이지만 추리고 추려 4편을 엄선하였다. 한국 한시 연구의 대가인 송준호(宋寯鎬) 교수의 「최고운 시의 사상구조(詩想構造)」가 최치원 시 연구에서 하나의 틀을 제공하였음을 알 만한 사람은 안다. 또한 최치원의 불교시에 주목한 강석근 교수의 글, 최치원 시의 ‘우의성(寓意性)’을 다룬 김영봉 박사의 글, 최치원 서정시에 나타난 소외의식(疏外意識)을 살핀 정종대(鄭宗大) 교수의 글 역시 근래 연구 성과 가운데 주목할 만 것들이라고 생각한다. 다만 산문에 대한 인식의 전환이 필요함은 연구자들의 공통된 생각일 것이다.


목차


책머리에 드리는 말씀
서언

제1부 작가론
01. 한국문화 작가론: 최치원론
02. 최치원룬
03. 최치원론

제2부 고운의 문학사상과 문학사에서의 위상
04.최치원과 동아시아 문학
05.신라 하대 한문학의 경향과 최치원
06.최치원의 문학사상
07.최고운의 사상과 문학
08.최치원 문학에 나타난 현실인식

제3부 고운시의 특성과 시의식
09.최고운 시의 시상구조 그 몇 가지 특색
10.최치원의 서정시에 나타난 소외의식
11.최치원 시의 "우의성"寓意城"에 대한 일고찰
12.고운 최치원의 불교시 재론

제4부 중문개요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