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2019 시사읽기

2019 시사읽기

  • 유레카편집부
  • |
  • 유레카엠앤비
  • |
  • 2018-07-10 출간
  • |
  • 400페이지
  • |
  • 130 X 190 X 25 mm /412g
  • |
  • ISBN 9788992522410
판매가

16,000원

즉시할인가

14,4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4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시사 이슈, 지원자의 지식과 응용력 측정

대입과 입사에서 면접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다. 대입의 경우 내신과 수능 변별력이 떨어져서이고, 기업에서는 창의적이고 합리적인 소통이 가능한 인재 선별을 위한 검증된 방법으로 여기기 때문이다. 공기업과 사기업 모두 면접뿐 아니라 팀별 토론 등을 확대 시행한다는 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수험생이나 취준생에게 면접의 압박은 거의 공포에 가깝고 면접 준비도 꽤 까다롭다. 우리 교육의 여건상 자신의 생각을 논리적으로 펼치는 훈련이 일상적으로 이루어지지 않은 터라 면접관 앞에서 일목요연하게 자기 견해를 말하기가 생각보다 쉽지 않다.
그렇다면 면접에서 시사의 비중은 얼마나 될까? 수량적으로 따진다면 절대적이지 않을 수도 있다. 지원자의 전공, 성취, 스펙, 인성 중심의 질문이 비중이 더 클 것이다. 하지만 염두에 둬야 할 게 있다. 지원자 개인에 관한 질문은 오랫동안 스스로 준비해온 것이고, 그래서 경쟁자들 사이의 실력 차가 두드러지지 않는다.
하지만 시사 이슈에 관한 질문의 경우는 좀 다르다. 관련 내용에 대한 생각을 자신 있게 말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정확한 내용 숙지가 필수다. 제대로 준비하지 않은 경우 엉뚱한 대답을 하거나 입도 뻥긋하기 어렵다.
면접에서 시사 이슈가 빠지지 않는 이유가 뭘까? 지원자의 지식과 응용력을 측정하기 좋은 잣대이기 때문이다. 한편 최근에는 시사 이슈 자체에 대한 질문보다는 확장된 물음을 던진다. 시사 이슈를 바탕으로 지원자의 전공, 혹은 업무와 어떻게 연관되는지, 이에 대해 어떤 비전을 갖는지 묻는 식이다.
예를 들면 사회계열 전공자에게는 ‘재판 중계’와 관련해 인권과 알권리 중 무엇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를 물을 수 있고, 미디어 관련 전공자에게는 페이스북의 ‘가짜 뉴스’ 확산 논란에 어떻게 대처할 것인지 질문할 수 있다.
임용 면접에서는 고등학생의 ‘현장 실습’을 어떻게 생각하는지나, ‘선거연령 하향’에 대한 생각을 물을 수 있다. 입사 면접에서는 말할 것도 없다. 사회 전반의 주요 이슈는 개인뿐 아니라 기업환경에 상당한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이와 관련해 지원자가 어느 정도의 사고력을 갖추고 있는지는 중요한 평가 지점이다.
《2019 시사읽기》는 정치·사회 전반의 핫이슈와 주요 외신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인문교양매거진 <유레카>의 뉴스 전문과 함께 풍부한 해설, 중요 용어를 첨부했다. 또한 ‘실전! 시사면접’이 추가되었으니 대입 수험생들은 주목하길 바란다. 실제 대학에서 시사문제를 어떻게 다루는지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필요한 항목이나 키워드는 색인에서 찾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도 염두에 두길 바란다.


목차


001 시사 포커스 2018 남북정상회담, 한반도에 깃든 평화, 번영, 통일의 숨결
002 시사 포커스 댓글 여론 조작, 드루킹이 문제? 결국은 네이버
003 스크린 위의 포식자, ‘어벤져스3’ 스크린독과점
004 무상 비닐봉투·유색 페트병 사라진다
005 우주 선진국의 화성탐사 경쟁 다시 불붙다
실전! 시사면접 통일, 해야 하나?

006 시사 포커스 잇따르는 자율주행차 사고, 점검해야 할 것들
007 “쓰레기 안 사요”, 재활용쓰레기 대란
008 국내 1호 AI변호사 유렉스, 대형로펌에 취직하다
009 선거연령 만 18세로, 국회 파행은 선거법 개정의 걸림돌
010 페이스북 개인정보 유출 파문, 가시화된 빅데이터의 그늘
011 시리아 사태 ‘신냉전’으로 치닫나, 한반도에 미칠 영향은
실전! 시사면접 인간의 기억은 왜곡될 수 있을까?

012 시사 포커스 남북관계 훈풍, 한반도 평화의 봄 오려나
013 뇌물·배임·횡령 등 혐의투성이, 이명박 검찰 소환조사
014 더 가까워진 인구절벽, 합계출산율 1.05명, 역대 최저
015 역대 최대 규모 평창 패럴림픽, 하지만 남은 문제들
016 미투 대항책으로 ‘펜스룰’? 여성을 배제하는 또 다른 혐오 방식
017 총을 총으로? ‘교사 총기 무장’ 내놓은 트럼프

018 시사 포커스 비트코인, 어떻게 규제해야 하나
019 평창 ‘남북단일팀’, 성숙한 논의로 평화로 가자
020 서지현 검사 성추행 사건 폭로, 검찰조직 내 성범죄 사실에 ‘경악’
021 학벌·부모·인맥 채용비리, 흙수저는 들러리
022 독일 자동차 배기가스 인체실험, 나치의 악몽 떠올라
023 중국, 첫 ‘영장류’ 복제 성공, 복제 원숭이 ‘중중’과 ‘화화’
실전! 시사면접 다문화, 동화 혹은 공존

024 시사 포커스 위험한 파급력, 가짜 뉴스
025 고의로 성능 저하? 애플 ‘배터리 게이트’
026 연세대, 정년퇴직 청소 노동자, 파트타임 근로자로 대체
027 한일 위안부 합의, 다시 도마 위에
028 법률의 사각지대, 크레인 사고
029 불법유통사이트 활개, 눈물 흘리는 웹툰산업
실전! 시사면접 인공지능은 인류를 멸망시킬 것인가?

030 시사 포커스 트럼프의 ‘예루살렘 선언’, 반미, 반이스라엘 후폭풍
031 ‘문재인 케어’, 재정은? 복지의 길인가 포퓰리즘 정책인가
032 위험에 노출된 아이들, 조기취업형 현장실습 논란
033 혼전 거듭하는 파리바게뜨, 제빵기사 불법파견
034 고령사회의 그늘, 노인빈곤에 노인차별까지
035 미국 ‘망 중립성 원칙’ 폐지, IT기업, 소비자 반발 거세
실전! 시사면접 문화변동과 문화지체

036 시사 포커스 ‘품위 있는 죽음’, 존엄사법 시범시행
037 한반도 다시 흔들, 포항 규모 5.4 지진 발생
038 반려견 돌발행동 ‘위험수위’, 재정비 시급한 동물보호법
039 신고리 공론화, ‘숙의 민주주의’ 첫 실험
040 IP 카메라 해킹, 해킹은 간단, 보안은 허술
041 낙태죄 폐지 청원 20만명 돌파, 낙태죄 사라질까
실전! 시사면접 기계의 발달과 인간의 삶

042 시사 포커스 문화예술계 ‘데스노트’, 블랙리스트 파문
043 라스베이거스 총기난사, 총기규제 강화에 불 지필까
044 중국 ‘만리방화벽’, 인터넷 철벽 통제
045 무릎 꿇은 엄마들, 강서구 특수학교 신설 논란
046 일런 머스크 신형 로켓 개발, 화성 식민지 앞당긴다
047 소방청 독립, 소방관 처우 개선 시급하다
048 지문·홍채인식 이어 얼굴인식, 아이폰 X 보안 문제 없을까
실전! 시사면접 GMO, 찬성 혹은 반대

049 시사 포커스 위험한 화학물질, 케미컬포비아 확산
050 세컨더리 보이콧, 북핵 저지하려나
051 소년법 폐지, 청소년 잔혹 범죄 해결책 될까
052 5·18 특별조사단, 진상규명 착수
053 ‘무한도전’이 결방한 이유, MBC·KBS 총파업
054 불편한 한국영화, 여성혐오 논란
실전! 시사면접 빅데이터와 성범죄자 신상공개

055 시사 포커스 50년간 닫힌 헌금통, ‘종교인 과세 2년 더 유예’ 발의
056 어디서든 나를 보는 시선, 몰카 범죄, 대책은 미비
057 점점 빠르게, 초·중·고 임용절벽
058 카카오뱅크 출시, 인터넷전문은행 영업 본격화
059 재판 중계, 알권리와 인권 둘 다 챙겨야
060 연명의료결정법, 죽음도 인권의 영역으로
실전! 시사면접 다수를 위해 개인이 희생해야 하는가?

061 시사 포커스 탈원전 가능할까, 신고리 5·6호기 STOP
062 자사고·특목고 폐지라는 뜨거운 감자
063 사진·학력 안 돼! 공공기관 블라인드 채용
064 사병월급 오르고, 복지는 확대되고
065 강화된 동물법, ‘강아지 공장’ 사라진다
066 의료용 대마, 합법화 마땅한가
실전! 시사면접 지구온난화, 우리는 무엇을 할 수 있을까?

067 시사 포커스 4대강 6개 보 상시 개방, 녹조 해법 되려나
068 미국 트럼프, 파리기후협약 탈퇴 선언
069 양심적 병역거부, 대체복무 길 열릴까
070 ‘검은 돈’ 오명 비트코인
071 통신사 vs 콘텐츠, ‘망중립성’ 논쟁
072 독일 스위스 벨기에, 원전 없다
실전! 시사면접 프라이버시, 잊혀질 권리를 허하라

도서소개

『이기는 면접을 위한 2019 시사읽기』가 올해도 어김없이 출간되었다. 2017년 7월부터 2018년 6월까지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 전반의 이슈를 충실히 해설했다. 올해 초 온나라를 들끓게 했던 남북정상회담부터 드루킹, 동물보호법, 페미니즘, 4대강, 망중립성, 자율주행차 같은 굵직굵직한 이슈 71개를 선별해서 다뤘다. ‘시사 포커스’의 내용이 다채로워졌다. 깊이 있는 해설과 관련 지식이 면접 대비에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기존 시사상식을 소개한 책이 단순히 지식의 습득을 위한 것이라면 『이기는 면접을 위한 2019 시사읽기』는 이슈에 대한 정확한 지식을 제공하고 독자가 이슈에 대해 소신 있는 입장정리를 할 수 있도록 돕는다. 시사 교양 전반에 대한 일반인의 이해를 돕는 한편, 특목고 입시와 대입, 취업 면접을 앞둔 입시생과 구직자에게는 꼭 필요한 필독서가 될 것이다.

『2019 시사읽기』는 정치·사회 전반의 핫이슈와 주요 외신을 깊이 있게 다루고 있다. 인문교양매거진 〈유레카〉의 뉴스 전문과 함께 풍부한 해설, 중요 용어를 첨부했다. 또한 ‘실전! 시사면접’이 추가되었으니 대입 수험생들은 주목하길 바란다. 실제 대학에서 시사문제를 어떻게다루는지 가늠할 수 있을 것이다. 덧붙여 필요한 항목이나 키워드는 색인에서 찾아 내용을 확인할 수 있다는 것도 염두에 두길 바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