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 탄생이후 우리는 수많은 동물들과 공존하며 살아왔다. 진화론에 의하면 동물 중 일부가 오랜 진화를 거듭한 끝에 현생인류의 조상이 되었다고 판단한다. 하지만 동물들 특히 야생동물은 생존에 있어 인간과 적대적 관계에 놓여 있던 때가 많았다. 다른 야생동물들에 비해 인간은 자신을 방어할 무기가 없었다. 어쩌면 지구상 최약체에 위치해 있었을 지도 모른다. 하지만 지금의 인간은 지구상에서 유일하게 단일 종으로 우점종의 위치에 있다. 야생동물을 길들여 가축으로 활용하고 애완동물로 집에서 함께 생활할 정도로 발전했다. 그런데도 아직 인간에게 야생동물은 공포의 대상이기도 하다.
현대의 인간들은 다양한 지식과 경험을 중시하는 문명과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 중 하나가 동물에 대한 호기심이다. 그 호기심이 개와 고양이 같은 반려동물문화로 발전한 것이다. 그런데 가족과 같은 개념의 반려동물에 대한 사랑이 다른 동물들에게도 적용되고 있다. 특히 어린이들은 각종 동물에 대한 사랑과 호기심이 대단하다. 그런 이유로 주말이면 가까운 동물원에 아이를 동반한 가족들의 나들이가 붐빈다.
호랑이, 코끼리, 기린, 곰, 뱀, 앵무새 등 신기한 동물들을 눈앞에서 보는 순간의 그 감동은 평생 잊지 못할 추억으로 남게 됩니다. 관람객이 동물들을 보면서 미소 짓는 그 모습을 바라보면서 뿌듯함을 느낍니다. 이것이 바로 동물원으로 많은 사람들이 오게 하는 힘이기 때문이지요.
그런데 동물원은 단순히 신기한 것을 보여주는 곳만이 아닙니다. 우리에게 행복을 주는 동물들을 위해서 우리가 할 일은 무엇인지 느끼고, 행동하도록 하는 곳입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동물원의 탄생에서부터 미래의 모습까지 살펴볼 필요가 있습니다.
동물원은 사실 슬픈 역사를 가지고 탄생했습니다. 마음대로 동물들을 잡아서 좁은 철창 우리에 가두어두고 억지로 쇼를 하게 만드는 등 사람들만 즐거웠던 시절이 있었습니다.
('저자의 말' 중에서)
동물원은 야생동물을 한꺼번에 보여주기 위해 만들어졌다기 보다는 왕과 귀족들처럼 힘과 권력, 자본이 있는 사람들이 자신의 힘과 권력과 돈을 다른 사람들에게 과시하기 위해서 만들어 졌다. 또한 그들만의 재미있는 취미 생활을 즐기기 위해서 다른 권력자들이 가지고 있지 않은 좀 더 희귀한 동물을 수집하기 시작했다. 그 동물들을 모아둔 곳이 현대의 동물원으로 발전했다.
현대 동물원이 탄생하던 초기에는 ‘동물구경’을 시켜주고 돈을 받는 사람들이 생겨나면서 돈벌이 수단으로 야생동물들이 이용되었다. 당연히 밀렵이 성행하게 되었고, 돈을 주고 사고파는 일이 생겼다. 그래서 세계 많은 곳에서 야생동물들이 멸종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더 중요한 것은 동물들을 돈을 주고 사고팔다보니 생명을 하찮게 여기게 되었다. 더 나아가 남획으로 동물들이 잘 잡히지 않자, 동물원의 장사꾼들은 아프리카나 외딴섬 등에 살고 있는 원주민들을 동물원에서 전시하게 되었다. 그 당시 서구 백인들 보다 문명화가 덜 된 원주민들을 동물처럼 전시한 것이다.
현대문명은 산업화에 의한 물질의 발달을 바탕으로 하지만 그 바탕에는 생명과 자연이 존재해 있음을 뒤늦게 깨닫고, 동물들의 생명도 소중함을 알게 되었다. 자연의 훼손을 곧 인류의 멸망과 관련이 있음을 깨닫게 되었다.
현대의 동물원들은 비로소 ‘동물권’과 ‘동물복지’에 대한 고민을 하게 되었다. 동물원에서 돌고래쇼를 없애고, 야생에서 잡은 동물은 고향으로 돌려보내고, 동물원 동물들이 최대한 편안한 삶을 누리기 위해 시설물도 최대한 동물원동물이 살던 고향의 환경에 맞도록 바꾸어주고 있다. 동물원동물과 인간이 함께 살 수 있는 방법에 대해 고민을 하고 있는 것이다.
애리조나-소노라사막 박물관은 소노라 사막에 자리 잡고 사는 동물과 그곳에서 자라는 식물을 보호하고 전시하고 있어. 사막을 보호하자는 캠페인을 하고, 2005년에 세운 사막연구센터를 통해 사막에 모여 사는 식물들을 연구해. 그런데 특이한 것은 전시 동물의 90%는 야생에서 구조된 동물들이라는 거야. 그리고 그 동물들이 사는 공간을 최대한 자연과 비슷하게 꾸며 놓았다고 해.
저지동물원은 영국 땅인 저지섬에 있는 작은 동물원인데 ‘멸종위기 보존 사업’을 위해 설립된 곳이야. 멸종위기 동물을 번식시켜 야생으로 돌려보내기 위한 곳이지. 멸종되었다고 알려진 멧돼지 피그미호그를 비롯해 아이아이원숭이 등 190여종의 동물이 살고 있어.
(/ p.84)
이제 현대의 동물원은 동물을 전시하는 것에서 벗어나 멸종 위기 동물을 보전하고 자연으로 다시 돌려보내는 역할을 해야 한다. 그러기위해서는 동물학대나 나쁜 사육환경을 생태적 환경으로 바꾸어야 한다. 돈을 목적으로 동물을 사고팔고 아프리카 원주민을 전시하고, 생명의 소중함을 무시하던 동물원이 아니라 동물과 인간이 함께 행복하고 즐거울 수 있는 동물원이 되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