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1일차
[현대시] 김영랑, 「모란이 피기까지는」 / 김종길, 「고고」
[고전산문] 김만중, 「사씨남정기」
[극] 유치진, 「소」
2. 2일차
[고전시가] 홍순학, 「연행가」
[갈래 복합] 「자연적 시간과 문학적 시간」 / 조지훈, 「고풍 의상」 / 이수익, 「결빙의 아버지」
[현대소설] 이문구, 「관촌수필」
3. 3일차
[갈래 복합] 박두진, 「향현」 / 강은교, 「우리가 물이 되어」 / 박이문, 「눈」
[고전산문] 작자 미상, 「유충렬전」
4. 4일차
[현대시] 나희덕, 「그 복숭아나무 곁으로」
[고전산문] 작자 미상, 「전우치전」
[극] 채만식, 「제향날」
5. 5일차
[현대시] 박남수, 「아침 이미지 1」 / 김기택, 「풀벌레들의 작은 귀를 생각함」
[현대소설] 최일남, 「흐르는 북」
[고전산문] 작자 미상, 「적성의전」
6. 6일차
[고전시가] 정훈, 「탄궁가」
[현대소설] 이호철, 「큰 산」
[극] 차범석, 「불모지」
7. 7일차
1~6일차 출제 어휘 복습
8. 8일차
[고전시가] 신계영, 「전원사시가」
[현대소설] 채만식, 「미스터 방」
[고전산문] 작자 미상, 「토끼전」
9. 9일차
[갈래 복합] 이육사, 「강 건너간 노래」 / 김광규, 「묘비명」 / 「삶의 반영으로서의 시」
[갈래 복합] 주세붕, 「오륜가」 / 이곡, 「차마설」
[현대소설] 윤흥길, 「아홉 켤레의 구두로 남은 사내」
10. 10일차
[현대시] 김현승, 「플라타너스」 / 정지용, 「달」
[갈래 복합] 김승옥, 「무진기행」 / 김승옥, 「안개」
[고전산문] 작자 미상, 「숙향전」
11. 11일차
[갈래 복합] 김수영, 「구름의 파수병」 / 이강백, 「느낌, 극락같은」
[고전산문] 임춘, 「국순전」
12. 12일차
[현대시] 황지우, 「겨울-나무로부터 봄-나무에로」
[갈래 복합] 「고려 속요의 기원과 형성 과정」 / 작자 미상, 「동동」 / 작자 미상, 「가시리」
[고전산문] 작자 미상, 「창선감의록」
13. 13일차
[현대시] 윤동주, 「병원」 / 박목월, 「나무」
[현대소설] 전광용, 「꺼삐딴 리」
[고전산문] 작자 미상, 「금방울전」
14. 14일차
8~13일차 출제 어휘 복습
15. 15일차
[현대시] 고정희, 「상한 영혼을 위하여」
[갈래 복합] 작자 미상, 「춘향전」 / 작자 미상, 「춘향이별가」
[수필] 윤오영, 「봄」
16. 16일차
[고전시가] 남구만, 「동창이 밝았느냐」 / 위백규, 「농가」 / 정학유, 「농가월령가」
[갈래 복합] 정지용, 「조찬」 / 이태준, 「파초」
[현대소설] 허준, 「잔등」
17. 17일차
[고전시가] 신흠, 「방옹시여」
[현대소설] 임철우, 「눈이 오면」
[고전산문] 작자 미상, 「조웅전」
18. 18일차
[고전시가] 작자 미상, 「어이 못 오던다」 / 작자 미상, 「청천에 떠서」 / 작자 미상, 「정선 아리랑」
[현대소설] 박완서, 「나목」
[고전산문] 작자 미상, 「흥부전」
19. 19일차
[현대시] 김광균, 「와사등」 / 박용래, 「울타리 밖」
[갈래 복합] 이정환, 「비가」 / 이병기, 「풍란」
[현대소설] 염상섭, 「만세전」
20. 20일차
[현대시] 윤동주, 「또 다른 고향」 / 오세영, 「자화상 ? 2」 / 김기택, 「멸치
[갈래 복합] 「전쟁 소설의 성격」 / 작자 미상, 「박씨전」 / 박경리, 「시장과 전장」
21. 21일차
15~20일차 출제 어휘 복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