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ㄱ
가객(歌客) 69
가곡(歌曲) 70
가극 71
가나조시(仮名草子) 72
가독성(可讀性, Legibility/Readability) 73
가면극 73
가무희(歌舞戱) 74
가문소설(家門小說) 76
가부장제(家父長制, Patriarchy) 77
가부키(歌舞伎) 78
가사(歌辭) 79
가상(假想, Illusion) 80
가상세계 ☞ 가상현실 81
가상현실(假想現實, Virtual reality) 82
가설(假說, Hypothesis) 82
가설무대, 이동무대 ☞ 무대 83
가와 조쿠(雅와 俗) 83
가요(歌謠) 84
가인(歌人) ☞ 가객(歌客) 85
가전(假傳) 85
가전체문학(仮傳體文學) 86
가정비극(家庭悲劇, Domestic tragedy) 87
가정소설(家庭小說, Domestic fiction) 88
가족 로맨스(Family romance, 독 Familienroman) 89
가족(家族, Family) 90
가족사소설(家族史小說) 91
가족주의(家族主義) 92
가치(價値, Value) 93
가치관(View of value) ☞ 가치 93
가치다원론(價値多元論) 94
가치합리적 행위(價値合理的 行爲) 94
가학증/피학증 ☞ 사디즘/마조히즘 95
가행(歌行) 95
가행체(歌行體) ☞ 가행(歌行) 96
각색(Adaption) 96
각운(脚韻, Rhyme) 97
간접제시(間接提示, Dramatic characterization) 98
간주관성 ☞ 상호주관성 99
갈등(葛藤, Conflict) 99
갈등이론(葛藤理論, Conflict theory) 100
감각(sense) 101
감상 ☞ 감상주의 103
감상소설(感傷小說, Sentimental novel) 103
감상적 오류(感傷的 誤謬, Pathetic fallacy) 104
감상주의(感傷主義, Sentimentalism) 105
감수성(感受性, Sensibility,
프 Sensibilité, 독 Empfindsamkeit) 106
감정(感情, Feeling, Emotion) 106
감정의 구조(Structure of feeling) 107
감정이입(感情移入, Empathy,
프 Objectivation du moi, 독 Einfühlung) 108
갑골문(甲骨文) 109
강단이론(講壇理論) 111
강담(講談)/강담사(講談師) 111
강담사 ☞ 강담 113
강박(强迫, Compulsion, 독 Zwang) 113
강서시파(江西詩派) 114
강신 ☞ 빙의 115
강창(講唱) 115
강창사 ☞ 강창 118
강호파(江湖派) 118
개념미술(槪念美術, Conceptual art) 119
개념시(槪念詩, 독 Begriffsdichtung) 120
개방시(開放詩, Open poetry) 120
개성(個性, Individuality,
프 Individualité, 독 Individualität) 121
개연성(蓋然性, Probability) 122
개인(個人, Individul, 프 Individu, 독 Individuum) 123
개인주의(Individualism,
프 Individualisme, 독 Individualismus) 124
개화기소설 125
객관론적 비평(Objective criticism) 126
객관비평 ☞ 객관론적 비평 126
객관적 상관물(客觀的 相關物, Objective correlative) 127
객관적 정신(客觀的精神, Objectiver geist) 127
객관화(客觀化)/주관화(主觀化) 128
거대서사(Master Narrative/Grand Recit) 129
거리(Distance) 130
거세불안(Castrationfear, 독 Kastrationsangst) 131
거울(Mirror) 132
거울단계(Mirror stage) 133
건달소설 133
건안칠자(建安七子) 135
건안풍골(建安風骨) 136
검열(檢閱, Censorship, 프 Censure, 독 Zensur) 137
게사쿠(戯作) 138
게송(偈頌) 139
게이 비평(Gay criticism) 140
게이/레즈비언 ☞ 동성애 141
게이해방운동(Gay liberation movement) 141
격자(格子) 142
격조설(格調說) 142
견책소설(譴責小說) 144
결말(dénouement) 145
결정론(Derterminism) 146
결정불능성(決定不能性) 147
결핍(缺乏, Deprivation) 148
경극(京劇) 149
경기체가(景幾體歌) 151
경릉파(竟陵派) 152
경이감(驚異感) 153
경학(經學) 154
경향문학(傾向文學, Tendezdichtung) 155
경험(經驗, Experience, 프 Expérience, 독 Erfahrung) 156
경험론(經驗論)☞ 경험주의 157
경험주의/경험론(經驗主義/經驗論, Empiricism,
프 Empirisme, 독 Empirismus) 157
계급(階級, Class, Klasse, Classe) 158
계급문학(階級文學, Proletarian literature) 159
계급의식(階級意識, Class consciousness,
독 Klassenbewusstsein, 프 Conscience de class) 160
계급투쟁(階級鬪爭, Class struggle,
프 lutle des classes, 독 Klassen kampf) 161
계몽(啓蒙, Enlightenment) 162
계몽주의(啓蒙主義, Enlightenment) 162
계몽사상 ☞ 계몽 164
계보학(系譜學, Genealogy) 164
계어(季語) 165
계열체(Paradigme)/통합체(Syntagme) 166
계층(階層, Stratum) 167
고고학(考古學, Archaeology) 168
고단(講談) 168
고딕(Gothic, Gothique, Gotik) 169
고딕소설(Gothic fiction, Gothid novel) 170
고문(古文) 171
고백(Confession) 172
고백체(告白體) 173
고시19수(古詩十九首) 174
고음파(苦吟派) 175
고잔분가쿠(五山文學, Gozan literature) 176
고저율(高低律)/장단율(長短律) 177
고전문학(古典文學) 178
고전(古典, Classic, 독 Klassik) 179
고전주의(古典主義,
Classicism, 프 Classicisme, 독 Klassizismus) 179
고증학(考證學) 180
고착(固着, Fixation, 독 Fixierung) 182
고체시(古體詩) 182
고칸(合巻) 184
고토다마신코(言靈信仰) 184
곡언법(曲言法, Litotes) 186
골계(滑稽, The comic,
프 Le comique, 독 das Komische) 187
곳케이본(滑稽本) 188
공(空, Abgrund) 189
공/사(公/私, The official 또는 The public/The private,
독 das OIffizielle das Öffentliche/das Private) 191
공간(Space) 192
공감각(共感覺, Synesthesia,
프 Synesthésie, 독 Synästhesie) 192
공공영역(公共領域 또는
公衆領域, Public sphere, 독 Öffentlichkeit) 194
공동창작 195
공동체(共同體, Community) 196
공리주의(功利主義) 197
공백(Gaps) 198
공산주의(共産主義, Communism,
프 Communisme, 독 Kommunismus) 199
공상 ☞ 판타지 200
공상과학소설(空想科學小說, SF :science fiction) 200
공시/표시, 내포/외연(內包/外延,
Connotation/Denotation) 201
공시태(Synchronie)/통시태(Diachronie) 201
공안소설(公案小說) 203
공안파(公安派) 204
공예 ☞ 예능 205
공통감각(共通感覺, Common sense) 205
공포소설(恐怖小說, Horror fiction) 206
공포와 연민(恐怖와 憐憫, 라 Eleos & Phobos) 207
공포증(Phobia) 208
과거(科擧) 209
과도대상 ☞ 이행대상 209
과도현실(過度現實, Hyperreal) 210
과잉(초과) 211
과장(誇張) 212
과학(科學, Science, 프 Science, 독 Wissenschaft) 213
과학환상소설 214
관객 215
관념론 미학 216
관념론(觀念論, Idealism) 217
관념시(觀念詩) 218
관능주의 ☞ 데카당스 220
관례 ☞ 관습 220
관료제(官僚制, Bureaucracy) 220
관습(慣習, Convention) 221
관용(tolerance) 222
관점 ☞ 시점 223
관조(觀照, Contemplation) 223
광고(廣告) 224
광기(狂氣, Madness, 프 Folie) 225
광대 226
교감(Correspondence) 227
교겐(狂言) 229
교양(Bildung) 230
교양소설(Bildungsroman, Erziebungsroman) 231
교육소설 ☞ 교양소설 232
교조주의 ☞ 도그마 232
교차편집(Cross cutting) 232
교카(狂歌) 233
교향시(交響詩, Symphonic poem) 233
교훈시(敎訓詩, Didactic poetry) 235
교훈주의(Didacticism) 237
구문론(構文論, Syntax) 238
구비문학 239
구사조시(草双紙) 241
구상(構想) 242
구상력(構想力, Imagination,
프 Imagination, 독 Einbildungskraft) ☞ 구상 243
구상예술/추상예술 243
구성주의(構成主義, Constructivism) 244
구술성/문자성(口述性/文字性, Orality/Literacy) 245
구어/구어체(口語/口語體, Colloquial language) 246
구어체(口語體) ☞ 구어 246
구전문학 ☞ 구비문학 246
구조(構造, Structure) 246
구조인류학(構造人類學) 248
구조주의(Structuralisme) 250
구체시(具體詩, Concrete poetry) 251
구체적인 것/추상적인 것 253
구체화(具體化) 254
국가(國家, Nation) 255
국문(國文, The national language) 256
국문학(國文學, The study of the Korean literature) 257
국민(國民, Nation, Subject, 프 Nation, 독 Nation) 258
국민국가(國民國家, Nationstate, 독 Nationalstaat) ☞ 민족국가 259
국민문학(國民文學, National literature) 259
국민문학(일본) 260
국수주의(國粹主義, Chauvinism,
프 Chauvinisme, 독 chauvinismus) 261
국가주의 國家主義, Nationalism,
프 Nationalisme, 독 Nationalismus) 261
국어(國語, The national language, The Korean language) 262
국어학(國語學, The study of the Korean Language) 263
국제주의(國際主義, Internationalism) 264
국학(國學, Korean studies) 266
국학(일본) 266
군국주의(軍國主義, Militarism) 267
군담소설(軍談小說) 269
굿 270
궁사(宮詞) 270
궁정문학(宮庭文學, Court literature) 271
궁체시(宮體詩) 272
권력(權力, Power) 272
권력에의 의지(Wille zur Macht) 273
권력지식 ☞ 권력 274
권리(權利, Right) 274
권선징악(勸善懲惡) 275
권위(權威, Authority) 276
귀납/귀납법(歸納, Induction) 277
귀족(貴族, Nobility) 278
귀향문학, 귀향소설(歸鄕文學) 280
규범(規範, Norm) 280
그노시즘(Gnosticism) 281
그라마톨로지(Grammatologie, Grammatology) 283
그럴듯함(Vraisemblance) ☞ 개연성 284
그로테스크 284
그로테스크 리얼리즘 286
그림소설 287
그림시 288
그림자 노동(Shadow Work) 289
극(劇) ☞ 희곡 290
극시(劇詩, Dramatic poetry) 290
극작술 291
극장(劇場) 292
근경(根莖) ☞ 리좀 293
근대문학(近代文學) 293
근대의 초극 294
근대적 자아(近代的 自我, Modern self) 295
근대화(Modernization) 296
근원적 나르시시즘 ☞ 나르시시즘 297
근체시(近體詩) 297
근친상간(近親相姦, Incest, 독 Inzest) 298
글/글쓰기(Writing) 299
금기 ☞ 타부 300
금욕주의(禁慾主義, Asceticism) 300
급진적 페미니즘(Radical feminism) 301
기가쿠(伎樂) 302
기계(機械, Machine) 302
기교(技巧) 303
기기가요(記紀歌謠) 304
기능(Function) 305
기능전환(機能轉換) 306
기대지평(Horizon of expectations,
독 Erwartungshorizont) 307
기독교문학(基督敎文學, Christian literature) 307
기록문학 ☞ 르포르타주 309
기록소설 ☞ 다큐멘터리 309
기록주의 309
기리설(肌理說) 310
기법(技法, Technique) ☞ 기교 311
기뵤시(黄表紙) 311
기사문학(騎士文學, 독 Dichtung des Rittertums) 311
기사적, 궁정적 문학 ☞ 기사문학 313
기상(氣象) 313
기생(妓生) 313
기성품 예술(旣成品 藝術) 314
기술(技術, Technology) 315
기술학(記述學, Descriptive aesthetics) 316
기승전결(起承轉結) 317
기시감(旣視感, 프 Dejavu) 317
기억(記憶) 318
기운생동(氣韻生動) 319
기지(機智, Wit) 320
기표(記標, Signifiant)/기의(記意, Signifié) 320
기하학(幾何學, Geometry) 321
기행문(紀行文) 322
기호(記號, Sign, 프 Signe, 독 Zeichen) 323
기호론(記號論, Semiology) ☞ 기호학 324
기호적 약호(記號的 略號) 324
기호태/상징태(記號態/象徵態) ☞ 세미오틱/쌩볼릭 325
기호학(記號學, Semiotics,
프 Semiotique, 독 Semiotik) 325
기호학적 사각형(記號學的 四角形, Semiotic rectangle) 326
긴장(緊張, Tension) 327
❚ㄴ
꿈(Dream) 328
나르시시즘(Narcissism, 독 Narzißmus) 329
나오키상(直木賞) 330
낙관주의(樂觀主義, Optimism) 331
낙원의식 ☞ 유토피아 332
낙이불음 애이불상(樂而不淫 哀而不傷) 332
난해성(難解性, Obscurity) 333
남근(男根, Phallus, 독 Penis) 334
남근선망(男根羨望, Penis envy, 독 Penisneid) 335
남근중심주의(男根中心主義, Phallocentrism) 336
남성성(Masculinity) 337
남성학(Mens Studies) 338
남희(南戱) 339
낫푸(NAPF) 341
낭만적 아이러니(Romantic irony) 342
낭만주의(Romanticism) 343
낯설게 하기(Defamilarization) 344
내간(內簡) 345
내면성(內面性) 346
내성소설 347
내용(內容, Content) 349
내용ㆍ형식 논쟁 350
내재적인 것(The immanent)/초월적인 것(The transcendence) 351
내적 거리(內的 距離) 352
내적 독백(內的 獨白, Interior monologue) 353
내투사(Introjection) ☞ 투사 354
내포/외연(內包/外延, Connotation/Denotation,
프 Compréhension/Extension, 독 Inhalt/Extension) 354
내포독자(Implied reader, 독 der implizierte Leser) 355
내포작가(Implied author) 356
네 가지 담론들(Four discourses) 357
네그리튀드(Negritude) 358
네오 리얼리즘(Neo realism) 359
네트워크 사회 360
노동(勞動, Labour, 프 Travail, 독 Arbeit) 361
노동문학(勞動文學) 361
노래 362
노블(Novel) 363
노에마(Noema)/노에시스(Noesis) 364
노오(能, Nō, Noh) 365
노이즈(noise) 366
노장사상(老莊思想) 368
노출증(Exhibitionism)과 관음증(Voyeurism) 369
녹색혁명(綠色革命, Green revolution) 369
논리실증주의(論理實證主義, Logical positivism) 370
논리학(論理學, Logic) 371
논변(論辯) 373
논시시(論詩詩) 373
논증(論證) 374
논픽션(Nonfiction) 375
놀이(Play) 376
농민소설(農民小說) 377
농촌계몽운동 ☞ 브나로드 378
농촌문학/농민문학 378
누벨바그(프 Nouvelle vague) 380
누보로망(Nouveau roman) 381
뉴 아메리칸 시네마(New American cinema) 382
뉴에이지 역사소설 383
뉴 웨이브(New wave) 384
뉴미디어 ☞ 멀티미디어 385
뉴크리티시즘(新批評, New criticism) 385
느낌구조(Structure of Feeling) 386
니힐리즘 387
닌교 조루리(人形浄瑠璃)/분라쿠(文楽) 387
닌조본(人情本) 388
닛키(日記) 389
❚ㄷ
다 체 392
다다이즘(Dadaism, 프 Dadaisme, 독 Dadaismus) 393
다문화주의(Multiculturalism) 394
다성(多聲, Polyphony, 러 Polifoničnost) 395
다성적(多聲的, Polyphonic) 395
다성적 소설(多聲的 小說, The polyphonic novel) 395
다수성(multiplicity) 395
다원주의 396
다의성(多義性, Ambiguity) ☞ 애매성 397
다중/다중성(multitude/multiplicity) 397
다큐멘터리(Documentary novel) 397
다학제적 접근 398
다형도착(多形倒錯) 399
단시(Epigram) 399
단자 ☞ 모나드 401
단카(短歌) 401
단편서사시(短篇敍事詩) 401
단편소설(Short story) 403
단편화(斷片化) ☞ 파편화 404
닫힌 텍스트/열린 텍스트 404
담론(談論) 405
당성, 노동계급성, 인민성 406
당송고문운동(唐宋古文運動) 407
당송파(唐宋派) 409
당송팔대가(唐宋八大家) 410
당파성(黨派性) 411
대단원(大團圓) 412
대력십재자(大曆十才子) 412
대리만족(代理滿足) 413
대리보충 414
대립적 비평 415
대사(臺詞, 臺辭) 415
대상(對象, Object) 416
대상관계(Object relation, 독 Objektbeziebung) 417
대서사 ☞ 거대서사 418
대안영화 418
대음희성(大音希聲) 419
대중 문학(大衆文學) 420
대중(Mass, 大衆) 421
대중극 422
대중매체(大衆媒體) 423
대중문화(Popular culture) 424
대중예술(大衆藝術) 425
대중적 환상(大衆的 幻像) 426
대중화론(大衆化論) 427
대체현실 428
대표 ☞ 재현 429
대하 소설(大河小說, 프 Romanfleuve) 429
대학(大學, University) 430
대항문화(對抗文化) 431
대화(對話, Dialogue, 러 Dialog) 432
대화적(對話的, Dialogic, Dialogical) 432
대화주의 (對話主義, Dialogism, 러 Dialogizm) 432
대화론(對話論, Dialogics) 432
댄디(Dandy) 434
데자부 ☞ 기시감 435
데카당스(프 Décadence) 435
데카르트주의(Cartesianism) 435
도가니(Melting Pot) 436
도교(道敎) 437
도교(道敎)와 문학(文學) 438
도구적 이성(道具的 理性, Instrumental reason) 440
도덕(道德, Morality, 프 Moralité, 독 Sittlichkeit) 441
도덕극(道德劇, Morality play) 441
도덕적 자율성(道德的 自律性, Moral autonomy) 442
도미노(Domino) 444
도상(圖像, Icon) 445
도상학(圖像學, Iconography) 446
도성문지(道成文至) 447
도시문학(都市文學) 448
도시성 450
도시화(都市化, Urbanization) 452
도식(圖式, Schema) 453
도착(倒着, Perversion, 독 Perversion) 454
도학(道學) 455
독백(獨白, Monologue) 456
독사(Doxa) 457
독자(讀者) 457
독자반응비평 458
독직(瀆職, Misprision) 459
독창성(獨創性, Originality, 프 Originalité, 독 Originalität) 460
돈황가사(敦煌歌辭) 461
돈황문학(敦煌文學) 463
동기부여(Motivation) 464
동도서기(東道西器) 465
동반자문학(同伴者文學) 466
동성애(同姓愛, Homosexuality, 독 Homosexualität) 467
동성애비평(同性愛批評) 468
동성파(桐城派) 469
동시(童詩) 470
동심설(童心說) 471
동양, 동양학, 동양주의 472
동위태(同位態, Isotopy) 473
동일시(同一視, Identification, 독 Identifizierung) 474
동일화 ☞ 동일시 475
동정(同情, Sympathy, 프 Sympathie, 독 Sympathie) 475
동학(東學) 476
동화(童話, Fairy tale) 476
동화(同化)/투사(投射) 477
두운(頭韻, alliteration) 478
드라마(Drama) ☞ 희곡 479
드라마적인 것/서사적인 것 479
드라마투르기(Dramaturgy) 480
드러난 화자 481
등장인물(Character) 482
디스토피아 ☞ 반유토피아 483
디아노이아(Dianoia) 483
디아스포라 484
디에게시스(Diegesis) ☞ 미메시스/디에게시스 485
디오니소스적인 것/아폴론적인 것 485
디카시(디카詩, digital camera詩) 486
딜레탕트 ☞ 댄디 487
딥 포커스(Deep focus) 487
딱지본(육전소설) 488
뜻겹침 ☞ 애매성 489
❚ㄹ
라이트 모티프(Leitmotif, 주도동기) 490
라이프 스타일(Life style) 491
라쿠고(落語) 492
라프(RAPP) 493
랑그(Langue)/파롤(Parole) 494
러시아 형식주의 495
러시아소비에트 미학 496
레닌주의(Leninism) 497
레디 메이드 ☞ 기성품 예술 498
레이이단(靈異譚) 498
레제 드라마 499
레즈비언 비평(Lesbian criticism) 500
레즈비언 연속체(Lesbian continuum) 501
렌카(連歌) 502
로고스(Logos) 503
로고스중심주의(Logocentrism) 504
로마네스크(Romanesque, 프 Romanesque, 독 Romantik) 505
로망스(Romance) ☞ 로맨스 506
로맨스(로망스, Romance) 506
로에이(朗詠) 507
로코코(Rococo, 프 Rococo, 독 Rokoko) 508
롱 테이크(Long take) 509
룸펜 프롤레타리아(Lumpenproletariat/Lumpen Proletarian) 510
르네상스 510
르네상스기 문학 및 예술이론 512
르상티망(프 Ressentiment) 513
르포 ☞ 르포르타주 514
르포르타주(르포, Reportage) 514
리듬(Rhythm) 515
리리시즘(Lyricism, 프 Lyrisme, 독 das Lyrische) 516
리비도(Libido) 517
리얼리즘(Realism, Réalisme, Realismus) 518
리얼리티(Reality, Réalité, Realität) 520
리얼리티의 환상(Illusion of reality) ☞ 현실의 환상 520
리좀(Rhyzome) 521
❚ㅁ
마당 523
마당극 524
마당놀이 525
마르크스주의 비평(Marxist criticism) 526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 사회주의 페미니즘 527
마르크스주의(Marxiam, 프 Marxisme, 독 Marxismus) 527
마술적 리얼리즘(Magic realism) 528
마스크 ☞ 가면극 529
마오주의(Maoism) 529
마코토(まこと) 530
마쿠라코토바(枕詞) 530
막 531
만가(挽歌) 532
만당시파(晩唐詩派) 532
말소(Erasure) 533
말장난(Signifyin(g)) 534
말하기/보여주기 535
매개(媒介, Mediation, 프 Médiation, 독 Vermitittelung) 536
매너리즘(Mannerism, 프 Maniérisme, 독 Manierismus) 537
매스 커뮤니케이션(Mass communication) 538
매스콘어(Mascon Words) 539
매스터 쇼트(Master Shot) 539
매카시즘(McCarthysm) 540
맥락비평(脈絡批評, Contextual criticism) 541
멀티 미디어(Multimedia) 541
메타비평(Metacriticism) 542
메타소설 ☞ 메타픽션 543
메타시(Metapoetry) 543
메타언어(Metalanguage) 544
메타 역사(Metahistory) 545
메타텍스트성(Metatextualism, 프 Métatextualité) 545
메타포(Metaphor) ☞ 은유 546
메타픽션(Metafiction) 547
메토니미(Metonymy) ☞ 환유 548
멜로 드라마 548
멜로드라마 영화(Melodramatic movie) 548
명명하기 550
모나드(Monad) 550
모노 드라마 551
모노가타리(物語) 552
모노노아와레(もののあはれ) 553
모더니즘 문학 553
모더니즘 문학(일본) 555
모더니즘(Modernism) 556
모던 걸(Modern girl) 557
모드(Mode) 558
모방(模倣, Imitation, 프 Imitation, 독 Nachamung) 559
모방론적 비평(模倣批評) 560
모방비평 ☞ 모방론적 비평 560
모사(模寫) ☞ 모방 560
모성(母性, Motherhood) 560
모순(矛盾, Contradiction) 562
모순어법(矛盾語法, Oxymoron) 563
모시서(毛詩序) 563
모의(模擬) ☞ 시뮬라시옹, 시뮬레이션 564
모티프(Motif, Motive) 564
모험소설 566
목가시(牧歌詩, Pastoral) 567
목소리(Voice) 567
목적론(目的論, Teleology) 569
목적문학(目的文學) 570
목적의식론(目的意識論) 571
몰개성의 원리(沒個性의 原理) 571
몰입(Immersion) 572
몸(身體, 肉體, Body) 573
몽상(夢想) 574
몽유록(夢遊錄) 575
몽타주(Montage) 576
묘사(描寫, Description) 577
묘오(妙悟) 578
무가(巫歌) 579
무당(巫堂) 580
무대(舞臺) 581
무련시(A poem form) 582
무목적의 합목적성(無目的의 合目的性) 582
무신론(無神論, Atheism) 583
무언극(無言劇, Pantomime) 584
무운시(산문시)(無韻詩, Blank verse) 585
무위(無爲) 586
무의식(無意識, The Unconscious, 독 das Unbewußte) 587
무저항주의(無抵抗主義, Nonviolent resistance) 589
무정부주의(無政府主義, Anarchism,
프 Anarchisme, 독 Anarchismus) 589
무크운동(Mook 運動) 590
무협소설 ☞ 무협지 591
무협지(武俠誌) 591
문(文) 592
문기설(文氣說) 593
문단(文壇, The literary world) 594
문도합일(文道合一) 595
문명(文明, Civilization, 프 Civilisation, 독 Zivilisation) 595
문명개화(文明開化, Civilization, Enlightenment) 597
문부(文賦) 598
문어(文語)/문어체(文語體) 599
문예(文藝, 독 Dichtung) 600
문예비평(文藝批評, Literary criticism,
프 Critique litéraire, 독 literarische Kritik) ☞ 문학비평 600
문예사조(文藝思潮) 600
문예학(文藝學, Science of literature,
프 Littér ature, 독 Literaturwissen schaft) 602
문이관도(文以貫道) 602
문이재도(文以載道) 603
문인(文人) 604
문장(文章, Sentence) 605
문장경국지대업 불후지성사(文章經國之大業 不朽之盛事) 605
문제극(問題劇, Problem plays) 607
문제적 주인공(問題的 主人公, Problematic individual) 608
문제틀(Problematic) 609
문질(文質) 610
문질빈빈(文質彬彬) 611
문채(文彩, Figure) 611
문체(文體, Style, 프 Style, 독 Stil) 612
문체론(文體論, Stylistics, 프 Stylistique, 독 Stilistik) 613
문필(文筆) 614
문학 615
문학 당의정설(文學唐衣錠說) 616
문학 인간학(Literary anthropology) 617
문학비평(文學批評, Literary criticism) 618
문학사(文學史, Literary history,
프 Histoire de littérature, 독 Literaturgeschichte) 619
문학사회학(文學社會學, Sociology of literature) 620
문학생산양식(文學生産樣式,
Literary mode of production) 621
문학이론 622
문학장 622
문학통신원(文學通信員) 623
문헌학(文獻學, Philology) 624
문화(Culture) 625
문화대혁명(文化大革命) 626
문화변용(Acculturation) 627
문화비평(文化批評) 628
문화사회학(Sociology of culture) 629
문화산업(文化産業) 629
문화 상대주의(文化相對主義) 630
문화소양(Cultural literacy) 631
문화연구(Cultural studies) 632
문화유물론(Cultural materialism) 633
문화 인류학/문화 정치학(文化人類學,
Cultural anthropology) 634
문화자본(Cultural capital) 635
문화적 페미니즘(Cultural feminism) 636
문화정치학(Cultural politics) 637
문화 제국주의(文化帝國主義, Cultural imperialism) 637
물감설(物感說) 638
물신주의 ☞ 페티시즘 639
물질적 상상력과 형태적 상상력 639
물화/사물화(物化/事物化, Reification, 독 Verdinglichung) 640
물활론(物活論) ☞ 애니미즘 641
뮤즈(Muse) 641
뮤지컬 641
미(美, Beauty, 프 Beauté, 독 Schönheit) 642
미결정성(未決定性, Indeterminacy) 644
미니멀리즘(Minimalism) 644
미디어 연구(Media studies) 645
미디어 연구로서의 문예학 646
미디어(Media) 647
미래주의(Futurism) 648
미래파(未來派, Futurism) ☞ 미래주의 649
미메시스(Mimesis)/디에게시스(Diegesis) 649
미술(美術) 651
미시(Micro)/거시(Macro) 652
미야비(雅び) 652
미언대의(微言大義) 653
미의식(Aesthetic consciousness) 655
미자(美刺) 656
미장센(MiseenScène) 657
미적 거리(Aesthetic distance) 658
미적 경험(Aesthetic experience) 659
미적 교육(Aesthetic education) 660
미적 자율성(美的 自律性) 661
미적 태도(Aesthetic attitude) 661
미적판단 662
미토스(Mythos)/에토스(Ethos)/디아노이아(Dianoia) 663
미학 이데올로기(Aesthetic Ideology) 664
미학(美學, Aesthetic, 프 Esthétique, Ästhetik) 665
민담(구변예술) 666
민담(Folktale) 667
민속(民俗) 668
민속극(民俗劇) 669
민속문학(Folk literature) 670
민속학(民俗學, Folklore) 670
민요 671
민요시(民謠詩) 672
민족(民族) 673
민족개조론(民族改造論) 674
민족국가 675
민족문학(民族文學) 676
민족문화(民族文化) 677
민족주의(民族主義) 678
민족해방서사 680
민족혼(民族魂) 681
민주주의(Democracy) 682
민중(民衆) 683
민중극 684
민중문학(民衆文學) 684
민중문화(民衆文化) 685
민중주의(民衆主義, Populism) 686
믿을 수 있는(없는) 화자 687
❚ㅂ
바로크(프 Baroque, 독 Barock) 689
바우하우스(독 Bauhaus) 690
박물학(博物學, Natural history) 690
박애주의(博愛主義, Philanthropia) 691
반기억(反記憶, Countermemory) 692
반복(Repetition) 693
반복강박(Repetition compulsion) 694
반서사(Antinarrative) 695
반소설 ☞ 누보로망 695
반어(反語) ☞ 아이러니 695
반언어중심주의(反言語中心主義) 695
반영론(反映論, Reflection theory, Widerspiegelungstheorie) 696
반영웅 697
반유토피아(Dystopia) 698
반전(Peripeteia/Reversal of fortune) 699
반종파투쟁 700
반주인공(Antihero) 701
발분설(發憤說) 702
발분저서(發憤著書) 702
발화(發話, Locution) 703
방각본(坊刻本) 704
방기(放棄) ☞ 폐기 705
방랑문인(放浪文人)/방랑시인(放浪詩人) 705
방백 706
방법론 706
방향전환론(方向轉換論) 707
배경(背景, Setting) 708
배역시(配役詩, 독 Rollengedichte) 709
배우 710
배치 711
백화(白話) 711
백화문(白話文) ☞ 백화 712
번안(飜案, Adaptation) 712
번역(飜譯, Translation) 713
번역문학(飜譯文學) 714
번역문학(飜譯文學)(일본) 715
범신론(汎神論, Pantheism) 716
범주(範疇, Category) 716
법고창신 717
베스트셀러(Best seller) 718
변려문(騈儷文) 719
변문(變文) 721
변새시(邊塞詩) 721
변신(變身, Metamorphosis) 722
변증법(辨證法, Dialectic, 프 Dialectique, 독 Dialektik) 723
변증법적 리얼리즘(辨證法的 寫實主義, Dialectic realism) 726
변증법적 유물론(辨證法的唯物論, Dialectical materialism) 727
변형생성문법 ☞ 생성문법 728
병려체(倂驪體) ☞ 병려문 728
병리 소설(病理小說) 728
병리학(病理學, Pathology) 729
병치은유/치환은유(竝置隱喩/置換隱喩, Diaphor/Epiphor) 729
보고문학(報告文學) 730
보권(寶卷) 731
보나파르티즘(프 Bonapartisme) 732
보들러라이즈(Bowdlerize) 733
보바리즘(프 Bovarysme) 733
보수주의(保守主義, Conservatism) 734
보편논쟁(普遍論爭, 독 Universalienstreit) 735
보편주의 735
보헤미안(Bohemian)/보헤미안주의(Bohemianism) 736
복고주의(復古主義, Restoration) 737
복기지(複記紙, Palimpsest) 738
복선(伏線, Preparation) 739
복제(複製, Copy) 740
복화술(腹話術, Ventriloquism) 741
본격문학(本格文學) 742
본능 743
본질(本質, The essence) 744
본질주의(本質主義, Essentialism) 745
본체론주의 ☞ 본질주의 746
볼셰비키/볼셰비즘(러 Bolsheviki) 746
봉건제(封建制, Feudalism) 747
봉쇄책략(封鎖策略, Straterestegy of containment) 748
봉합지점(Quilting Point, 프 Point de Capiton) 749
부(賦) 750
부(賦)/비(比)/흥(興) 751
부르주아(有産者, Bourgeois) 752
부르주아 문학(Bourgeois literature) 754
부르주아의 서사시(Bourgeois epic) 754
부르주아혁명(Bourgeois revolution) 755
부인(否認, Disavowal) 757
부재(Absence)/현존(Presence) 758
부정(否定, Negation) 758
부정(의) 변증법 760
부조리 761
부조리문학 762
부친 살해(Patricide, 독 Vatertötung) 763
분단문학(分斷文學) 764
분라쿠(文樂) ☞ 닌교 조루리 765
분리불안(分離不安) 765
분석(分析, Analysis) 765
분석심리학(分析心理學, Analytical psychology) 766
분석철학 767
분신(分身, Double, 독 Doppelgänger) 768
분유(分有, partage) 769
분위기(雰圍氣, Atmosphere) 770
불가지론(Agnosis) 771
불경(佛經) 772
불교(佛敎) 772
불교문학(佛敎文學) 773
불립문자(不立文字) 774
불안(Anxiety) 775
불연속성(不連續性) 776
불평즉명(不平則鳴) 777
불행한 의식(Unhappy consciousness,
독 unglückliches Bewußtsein) 778
불협화음(不協和音, Dissonance) 779
불확정성의 원리 780
브나로드(V narod) 780
브리콜라주(Bricolage) 781
블랙코미디(Black Comedy,
프 Comédie Noire, 독 Schwarze Komödie) 782
비가(悲歌, Elegy) 783
비결정성(Undecidability/Indeterminacy) 784
비관주의(Pessimism) 785
비교문학(比較文學, Comparative literature, 프 Litterature
Comparee, 독 Vergleichende Literaturwissenschaft) 785
비극(悲劇) 786
비극적 결함 ☞ 비극 788
비극적 아이러니 ☞ 비극 788
비디오아트(Video art) 788
비유(比喩/譬喩, Figure) 789
비은폐성(Unconcealment,
독 Unverborgenheit, 프 aletheia) 790
비인간화(非人間化, Dehumanization) 791
비장(悲壯) 792
비전(Vision) 792
비트 세대(Beat generation) 793
비판(批判, Criticism, 프 Critique, 독 Kritik) 794
비판이론(批判理論, Critical theory, Kritische Theorie) 795
비판적 리얼리즘(Critical realism) 797
비평(批評, Criticism, 프 Critique, 독 Kritik) 797
비폭력주의(非暴力主義, Nonviolence) 798
비합리주의(非合理主義) 799
비확정적 언사(Assertorial lightness) 800
확정적 언사(Assertorial weightness) 800
빈궁소설(貧窮小說) 801
빈도(Frequency) 803
빙의(憑依), 강신(降神) 804
ㅅ
사(詞)/송사(宋詞) 806
사건(Event) 807
사달론(辭達論) 808
사대기서(四大奇書) 809
사대주의(事大主義) 811
사디즘(加虐症, Sadism, 독 Sadismus)
/마조히즘(被虐症, Masochism, 독 Masoch -ismus) 811
사랑(Love) 813
사령시파(四靈詩派) 814
사무사(思無邪) 816
사물시(事物詩) 816
사물화(事物化) ☞ 물화 817
사비(さび) 817
사생문(寫生文) 818
사생아와 업둥이 819
사서삼경(四書三經) 820
사설 821
사성팔병(四聲八病) 822
사소설(私小説) 823
사실(Fact) 825
사실성 ☞ 리얼리티 826
사실주의 ☞ 리얼리즘 826
사심(私心)없음(Disinterestedness) 826
사용가치(使用價値, Use value) 827
사이버공간(Cyberspace) 827
사이버네틱스(Cybernetics) 828
사이버스페이스 ☞ 사이버공간 829
사이버페미니즘 829
사이보그(Cyborg) 830
사이코드라마(Psychodrama) 831
사장(詞章, 辭章) 832
사적 변증법(史的 辨證法,
Historical dialectic) ☞ 역사유물론 832
사적 영역(私的 領域, Private territory) 833
사전체(史傳體) 833
사조(思潮) ☞ 문예사조 834
사진(寫眞, Photography) 834
사진 시 835
사패(詞牌) 836
사해동포주의(世界主義, Cosmopolitanism) 837
사회(社會, Society, 프 Société, 독 Gesellschaft) 838
사회계약론(社會契約論, 프 Du contrat social
= 사회계약설 社會契約說, Theory of social contract) 838
사회구성체(社會構成體) 840
사회소설/사회학적 소설 840
사회주의 리얼리즘(Socialist realism) 841
사회주의 문화혁명(社會主義 文化革命) 842
사회주의 페미니즘 843
사회주의(Socialism) 844
사회학(社會學, Sociology,
프 Sociologie, 독 Soziologie) 846
사회학적 상상력 847
사후성(事後性, Deferred action,
Afterwardsness, Nachtrglichkeit) 848
산곡(散曲) 849
산대, 산붕 ☞ 무대 851
산문(散文, Prose, 프 Prose, 독 Prosa) 851
산문시(散文詩, Prose poetry) 851
산문픽션(Prose fiction) 852
산수시(山水詩) 853
산수전원시파(山水田園詩派) 854
산업사회(産業社會, Industrial society) 855
산업혁명(産業革命, Industrial revolution) 855
산업화(産業化, Industrialization) 857
산책자(散策者, Flàneur) 857
살롱(Salon)문학 858
삶충동과 죽음충동 ☞ 충동 859
삼리삼별(三離三別) 859
삼언이박(三言二拍) 861
삼일치법칙 862
삽화 863
삽화적 구성(Episodic plot) 863
상관체(上官體) 864
상대성이론(相對性理論, Theory of relativity) 865
상대적 자율성(相對的 自律性, Relative autonomy) 866
상대주의(相對主義, Relativism) 867
상동성(相同性, Homology) 868
상문(相聞) 869
상사(相似) 870
상상계(想像界, Imaginary) 870
상상력(想像力, Imagination,
프 Imagination, 독 Phantasie) 871
상업주의(商業主義) 872
상징(Symbol) 873
상징계(象徵界, Symbolic) 875
상징주의(象徵主義, Symbolism) 876
상품(商品, Commodity) 876
상품가치, 교환가치(交換價値, Value in exchange) 877
상품물신숭배(商品物神崇拜, Commodity fetishism) 878
상품미학(商品美學) 879
상호주관성(相互主觀性, Intersubjectivity) 880
상호텍스트성(Intertextuality) 881
상흔문학(傷痕文學) 881
생명 본능(生命本能, Life instincts,
독 Lebentrieb) ☞ 생의 본능 882
생산양식(生産樣式, Mode of production,
독 Produktionsweise) 882
생성(生成)텍스트(Genotext)
/현상(現象)텍스트(Phenotext) 883
생성문법(生成文法, Generative grammar) 884
생성시학(生成詩學, Generative poetics) 884
생의 본능(Life instinct) 885
생철학(生哲學) 886
생체 권력 887
생체정치학(Bio-politics) 888
생태문학 889
생태 파시즘(eco-facism) 890
생태학(Ecology) 890
생태학적 비평(Eco-crticism) 892
생톰(Sinthome) ☞ 증상 894
생활세계(Life-world, 독 Lebenswelt) 894
샤레본(洒落本) 895
샤머니즘(Shamanism) 896
서간체 소설(書簡體 小說, Epistolary fiction) 896
서경시(敍景詩) 897
서곤체(西崑體) 898
서발(序跋) 899
서브텍스트(Subtext) 900
서사(Narrative) 900
서사/담론 ☞ 이스투아르/디스쿠르 902
서사구조(敍事構造, Narrative structure) 902
서사극 903
서사담론(敍事談論, Narrative discourse) 904
서사성(敍事性, Narrativity) 905
서사시 906
서사약호(敍事略號, Narrative code) 908
서사학(Narratology) 909
서술(敍述, Narration) 910
서술시(敍述詩, Narrative poetry) 911
서술자(敍述者, Narrator) 912
서정소설 914
서정시(抒情詩, Lyric) 914
서지학(書誌學, The [Science of] bibliography) 916
석질화(石質化, petrification) 917
선(禪) 917
선동선전문학(煽動宣傳文學, Agitation propaganda literature) 918
선명(宣命) 919
선문답(禪問答) 920
선시(禪詩) 921
선험적 주체 922
선험적인 것 923
설명(說明, Explanation) 924
설자(楔子) 925
설화(說話) 926
설화사가(說話四家) 927
성 역할(性役割) 929
성격(性格, Character, 프 Caractère, 독 Charakter) 929
성격창조(性格創造) ☞ 인물창조 930
성격화(性格化, Characterization) ☞ 인물창조 930
성령설(性靈說) 930
성률설(聲律說) 931
성리학(性理學) 932
성의 정치(Sexual politics) 933
성의 정치학 ☞ 성의 정치 934
성장소설 934
성재체(誠齋體) 935
성적 차이(Sexual difference) 936
성전환 937
성정(性情) 938
성정론(性情論) 939
성차별(性差別) 940
세계관(世界觀, World-view, 독 Weltanschauung) 941
세계-내-존재(世界-內-存在, Being-in-the-world, 독 In-der-Welt-sein) 942
세계문학(World literature, 독 Weltliteratur) 943
세계시민주의(世界市民主義) 944
세계체제 945
세계화 ☞ 지구화 946
세대론 946
세미오틱(Sémiotique)/쌩볼릭(Symbolique) 948
세시기(歲時記) 949
세이지쇼오세츠(政治小說) ☞ 정치소설(일본) 950
세태물(世話物) 950
세태소설 ☞ 풍속소설 951
섹슈얼리티(性, Sexuality) 951
센류(川柳) 952
센티멘탈리즘 ☞ 감상주의 952
소격효과 ☞ 소외효과 952
소극(笑劇) 953
소급제시/사전제시 ☞ 회상/예상 953
소네트(Sonnet) 954
소리, 소리꾼 954
소문사학사(蘇門四學士) 955
소문자 대상 a ☞ 오브제(프티) 아 955
소문자 타자 ☞ 오브제(프티) 아 956
소박한 것과 감상적인 것(독 naiv und sentimetalisch) 956
소비사회(消費社會, Consumption communities) 956
소설(Novel) 957
소설사회학(小說社會學, Sociology of novel) 958
소설의 영화화(Novels in to film) 959
소설의 죽음 960
소수자(소수자 집단, 少數者集團, Minority group) 962
소외(疎外, Alienation,
프 Aliénation, 독 Entfremdung, 외화 Entäußerung) 963
소외효과 964
소원성취(所願成就, Wish-fulfillment, 독 Wunschtraum) 965
소재(素材, Subject matter) 966
소품(小品) 967
소품문(小品文) 967
소환(召喚, Interpellation) 968
속강(俗講) 969
속도전 971
속물근성(俗物根性, Philistinism) 972
속죄양 ☞ 파르마코스 972
손재주 ☞ 브리콜라주 972
송 ☞ 송가 972
송가(Ode, 송 頌) 972
송사(宋詞) ☞ 사(詞) 974
수기(手記) 974
수령영도문학 974
수령형상 976
수물부형(隨物賦形) 976
수사 ☞ 수사학 977
수사학(Rhetoric) 977
수사학적 비평(修辭學的 批評, Rhetorical criticism) 979
수용미학(受容美學, Reception theory,
Reader-response criticism, 독 Rezeption -sästhetik) 980
수정주의 981
수필(隨筆) 982
수행적 발화 983
숙명론(Fatalism) 984
순문학 985
순수문학(純粹文學, Pure literature) 987
순환적 구도 988
숨은 화자 989
숭고(崇高, Sublime, 그 Hypsos, 독 das Erhabene) 989
숭엄미(崇嚴美, Sublime) 991
슈투름 운트 드랑(Sturm und Drang) 991
슈퍼리얼리즘 ☞ 하이퍼리얼리즘 992
스이(粋)/쓰(通)/이키(いき) 992
스코프 ☞ 궁정문학 994
스테레오 타입 994
스토리 995
스토리텔링(Storytelling) 996
스펙터클 사회(Spectacle society) 997
스펙터클(Spectacle) 998
승화 999
시(詩, Poetry) 1000
시각예술 1001
시각쾌락증(視覺快樂症, Scopophilia) 1002
시간(Time, 프 Temps, 독 Zeit) 1002
시간교란(Anachrony) 1003
시교(詩敎) 1004
시궁이후공(詩窮而後工) 1005
시그니파잉 ☞ 말장난 1006
시나리오(Scenario) 1006
시네 페미니즘(Cine-feminism) 1007
시네로망(Cine-roman) 1008
시네마토그라프(Cinmatographe) 1008
시네포엠(Cine-poem) 1009
시대극 1010
시대물(時代物) 1011
시대정신(時代情神, Zeitgeist) 1011
시뮬라시옹(Simulation)/시뮬레이션(Simulation) 1012
시뮬라크르(Simulacrum) 1013
시뮬레이크럼 ☞ 시뮬라크르 1014
시민(市民, Citizen, 프 Citoyen, 독 Bürger) 1014
시민사회(市民社會, Civil society) 1015
시상(詩想) ☞ 영감 1016
시어(詩語, Poetic diction) 1016
시언지(詩言志) 1017
시율(詩律) 1018
시이달의(詩以達意) 1019
시인 전기영화(Poet biopics) 1020
시인추방론(詩人追放論) 1021
시장(市場, Market) 1022
시적 광기 1023
시적 리얼리즘(Poetic realism) 1023
시적 정의(詩的 正義, Poetic justice,
독 Poetische Gerechtigkeit) 1024
시적 허용(詩的 許容, Poetic licence,
프 license poétique, 독 Dichterische Freiheit) 1025
시점(視點, Point of view,
프 Point de vue, 독 Perspektive) 1026
시젠슈기(自然主義) 1027
시조(時調) 1029
시조부흥론(時調復興論) 1030
시중유화, 화중유시(詩中有畵, 畵中有詩) 1031
시차(視差, parallax) 1031
시카고학파(Chicago critics) 1033
시퀀스(Sequence) 1033
시품(詩品) 1034
시학(詩學, Poetics) 1035
시화(詩話) 1037
시화일률론 ☞ 시화일치론 1038
시화일치(詩畵一致), 시화일률 1039
시회(詩會) 1040
식민주의(Colonialism) 1040
신경증(Neurosis)과 히스테리(Hystery) 1041
신경향파(新傾向派) 1042
신고전주의(新古典主義, Neo-classicism) 1043
신구논쟁(新舊論爭) ☞ 신구문학논쟁 1044
신구문학논쟁(新舊文學論爭,
Querelle des Anciens et des Modernes) 1044
신마소설(神魔小說) 1045
신문연재소설(新聞連載小說) 1046
신문학(新文學) 1047
신변소설 1047
신비주의(神秘主義, Mysticism,
프 Mysticisme, 독 Mystizismus) 1049
신비평(新批評) ☞ 뉴크리티시즘 1049
신사(神思) 1050
신사(神似) 1052
신소설(新小說) 1054
신악부운동(新樂府運動) 1055
신여물회(神輿物會) 1056
신역사주의(新歷史主義, New historicism) 1057
신운설(神韻說) 1058
신유학(新儒學) 1059
신의(新意) 1060
신체시(新體詩) 1061
신체시(新體詩)(일본) 1062
신칸트주의(New kantianism) 1063
신파극(新派劇) 1064
신파조 ☞ 신파극 1065
신학(神學, Theology) 1065
신화(神話, Myth, 프 Mythe, 독 Mythus) 1066
신화비평(神話批評, Myth criticism) ☞ 원형비평 1067
신화소(神話素, Mythmes) 1067
실록(實錄) 1068
실사구시(實事求是) 1069
실용론적 비평(實用論的 批評, Pragmatic criticism) 1070
실용비평 ☞ 실용론적 비평 1070
실재계(實在界, Real) 1071
실재론(實在論, Realism) 1071
실재성 ☞ 리얼리티 1072
실존(實存, Existence, 프 Existence, 독 Existenz) 1072
실존주의 1073
실증주의(實證主義, Positivism) 1074
실천(Practise, 독 Praxis) 1075
실학(實學) 1076
심리소설 1077
심리적 거리 ☞ 미적 거리 1078
심리학 1079
심미주의(審美主義) ☞ 유미주의 1079
심상(心象) ☞ 이미지 1080
심층구조(deep structure) 1080
쌍방향성 1080
ㅇ
아 프리오리(A priori)와 아 포스테리오리(A posteriori) 1082
아곤(Agon) 1083
아나키즘(Anarchism) ☞ 무정부주의 1083
아날로그/디지털 1084
아노미(Anomie) 1084
아니마(Anima)/아니무스(Animus) 1085
아동문학(兒童文學) 1086
아름다운 영혼(Beautiful soul,
프 Belle ame, 독 Schöne Seele) 1087
아방가르드(Avant-Garde) 1088
아버지의 이름(Name-of-the-father) 1089
아비투스(Habitus) 1090
아세티시즘(Asceticism) 1091
아시아적 생산양식(Asiatiche produktionsweise) 1092
아시아주의 1093
아우라(Aura) 1094
아이덴티티(Identity) ☞ 동일성 1095
아이러니(Irony) 1095
아쿠타가와상(芥川賞) 1096
아포데익시스(Apodeixis) ☞ 논증 1097
아포리아(Aporia) 1097
아포리즘(Aphorism) 1098
아폴론적 경향(Apollonian Type)
/디오니소스적 경향(Dionysian Type) 1099
악극 1099
악마주의(惡魔主義, Diabolism) 1101
악부(樂府), 악부시(樂府詩) 1101
악부시(樂府詩) ☞ 악부 1103
악장 1103
악한소설 ☞ 건달소설 1103
알라존(Alazon)과 에이런(Eiron) 1103
알레고리(Allegory) 1104
압운(押韻) 1106
압축(Condensation)과 전치(Displacement) 1106
앙가주망 ☞ 참여문학 1107
앙티로망 ☞ 누보로망 1107
애국주의 1107
애니미즘(Animism) 1108
애도(Mourning)와 우울증(Melancholia) 1109
애매성(Ambiguity) 1110
애정 성향(Affectionate current)과 관능성향(Sensual current) 1111
액자소설(Rahmennovelle) 1112
액체성 1113
앱젝션(Abjection) ☞ 폐기 1114
야담(野談) 1114
야만 1115
야생의 사고 1115
야수파(Fauvisme) 1116
약한 사고 1117
약호(Code) 1117
약호풀기(Decode) 1118
양가성(Ambivalence) 1119
양강음유설(陽剛陰柔說) 1120
양명학(陽明學) 1121
양반문학(兩班文學) 1122
양성구유(兩性具有, Androgyny) 1123
양성애(兩性愛, Bisexuality) 1123
양식(樣式) 1124
양피지 ☞ 복기지 1125
양호파(陽湖派) 1125
어록(語錄) 1126
어록체(語錄體) 1127
어용문학(御用文學) 1128
어울림(decorum) 1128
어조(語調, Tone) 1129
억견(臆見) ☞ 독사 1130
억압(抑壓, Repression) 1130
억압된 것의 회귀(Return to the repressed) 1131
언문일치(言文一致) 1132
언문일치(일본) 1133
언문풍월(諺文風月) 1134
언부진의(言不盡意) 1135
언설(言說) ☞ 담론 1136
언술(言述) ☞ 담론 1136
언술, 언술체계, 언술행위(Enonciation) 1136
언어능력/언어수행(言語能力/言語遂行,
Cognitive competence/Performance) 1137
언어도단(言語道斷) 1138
언어유희(言語遊戱, Pun, 프 Calembour, 독 Wortspiel) 1139
언어적 전회(linguistic turn) 1140
언어철학(言語哲學, Philosophy of language) 1141
언어학(言語學, Linguistics, 영국 Philology) 1142
언어학적 비평(言語學的 批評, Philological criticism) 1143
언어행위이론(言語行爲理論, Speech act theory) ☞ 화행이론 1144
언지(言志)와 연정(緣情) 1144
언캐니(uncanny) 1145
에고(Ego) 1146
에로스(Eros) 1147
에로티시즘(Eroticism) 1148
에세이(Essay)1 1148
에세이(Essay)2 1149
에코 페미니즘(Ecofeminism) 1150
에크리튀르(écriture) ☞ 글/글쓰기 1151
에토스(Ethos) 1151
에포케(Epochḗ) 1152
에피그램(Epigram) 1153
에피소드(Episode) ☞ 삽화 1154
에피스테메(Episteme) 1154
엑스터시(Ecstasy) 1155
엘렉트라 콤플렉스(Electra complex) 1156
여류문학(女流文學) 1157
여성문학(女性文學) 1158
여성성(女性性, Femininity) 1159
여성성장소설 1160
여성이미지비평 1160
여성적 글쓰기(écriture féminine) 1162
여성중심비평(Gynocritics) 1163
여성 창세기(Gynesis) 1164
여성학(Women’s study) 1165
여성혐오증(Misogyny) 1166
여항문학(閭巷文學) 1167
여행기 ☞ 기행문 1168
역당구자(易堂九子) 1168
역사극(歷史劇, Historical play) 1170
역사산문(歷史散文) 1171
역사소설(歷史小說, Historical novel) 1172
역사유물론(歷史唯物論, Historical materialism) 1173
역사전기문학(歷史傳記文學) 1173
역사주의(歷史主義, Historicism) 1174
역사철학(歷史哲學, Philosophy of history) 1175
역설(逆說, Paradox,
프 Paradoxe, 독 Paradoxie, Paradoxon) 1176
역할(役割, Role) 1177
연(聯, Stanza, 프 Stance,
독 Stanze)과 행(行, line) 1178
연구(聯句) 1179
연극 1179
연극기호학 1180
연극미학 1181
연극성 1181
연기 1182
연대기(年代記, Chronicle) 1183
연애소설 1183
연어(緣語) 1184
연역/연역법(演繹, Deduction) 1185
연예 ☞ 예능 1186
연의소설(演義小說) 1186
연작소설(Roman-cycle) 1187
연접(conjunction) 1188
연출(演出) 1188
연희(演戱) ☞ 예능 1189
열반원칙(Nirvana principle) 1189
염군사(焰群社) 1190
염세주의(厭世主義, Pessimism,
프 Pessmism, 독 Pessimismus) 1191
염정소설(艶情小說) 1192
영감(靈感, Inspiration) 1193
영겁회귀(永劫回歸, Eternal return) 1194
영물시(詠物詩) 1194
영사시(詠史詩) 1196
영상문학 1197
영상시인(Filmpoet) 1198
영상언어(Film language) 1199
영웅 1201
영웅가요(Heldenlied), 영웅서사시(Heroic epic) 1202
영웅소설 1203
영웅주의 1204
영향(影響, Influence) 1205
영향론의 오류(Affective fallacy) 1205
영향의 불안(Anxiety of influence) 1206
영화(Movie, Film) 1207
영화비평(Film criticism) 1209
영화의 내러티브와 스토리 정보 1210
영화의 비유와 상징 1211
영화의 시점 1212
영회시(詠懷詩) 1213
예능(藝能) 1214
예술(藝術) 1215
예술가소설(Novel of the artist, Artist-novel) 1216
예술사회학(藝術社會學, Aesthetic sociology,
프 Sociologie esthétique, 독 Kunstsoziologie) 1217
예술을 위한 예술 ☞ 예술지상주의 1218
예술의 자율성(Autonomy of art) 1218
예술의 정치화와 정치의 미학화 1218
예술지상주의(藝術至上主義, Art for art’s sake,
프 l’art pour l’art, 독 Kunst für Kunst) 1219
예외 상태 1220
예일학파(Yale school) 1221
예형론(豫型論, Typology) 1222
오독(誤讀, Misreading) ☞ 독직 1223
오리엔탈리즘(Orientalism) 1223
오브제(프티) 아(Objet petit a) 1224
오성(悟性, Verstand) 1225
오어법(誤語法) 1226
오언시(五言詩)와 칠언시(七言詩) 1226
오이디푸스 콤플렉스(Oedipus complex) 1227
오입(悟入) 1229
오중사걸(吳中四傑) 1230
오카시(をかし) 1231
오토기조시(御伽草子) 1232
옥대체(玉臺體) 1233
온유돈후(溫柔敦厚) 1233
와비(わび) 1235
와산(和讚) 1235
와카(和歌) 1236
완약파(婉約派) 1237
외국인혐오증(xenophobia) 1239
외설문학(Pornography) 1240
외재적 비평 - 내재적 비평과 외재적 비평 1241
요미혼(読本) 1242
요설(饒舌, garrulousness) 1243
요오쿄쿠(謠曲) 1244
욕구(Need)와 요구(Demand) 1244
욕동(慾動) ☞ 충동 1245
욕망(慾望, Desire) 1245
욕망의 삼각형(Désir triangulaire) 1247
우머니스트(womanist) 1248
우생학(優生學, Eugenics) 1248
우아(優雅) 1249
우언(寓言) 1250
우연(偶然, Chance) 1251
우의극(寓意劇) 1252
우키요조시(浮世草子) 1252
우타마쿠라(歌枕) 1253
우타아와세(歌合) 1254
우화(寓話, Fable) 1255
우화/주제 ☞ 파뷸라/슈제트 1256
우화술(寓話術) 1256
우화(Fable)/주제(Sujet) 1257
운문(韻文, Verse) 1258
운미설(韻味說) 1259
운율(韻律) 1260
웃음(Laughter, 프 Rire, 독 Lachen) 1260
웅혼(雄渾) 1261
원곡사대가(元曲四大家) 1262
원관념/보조관념(原觀念/補助觀念, Tenor/Vehicle) 1263
OSMU(One Source Multi-use) 1264
원시사대가(元詩四大家) 1264
원시종합예술(Ballad dance) 1265
원시주의(原始主義, Primitivism) 1266
원천(Arche) 1267
원한(怨恨) ☞ 르상티망 1267
원형(原型, Archetype) 1268
원형비평(Archetypal criticism) 1268
원화체(元和體) 1269
원환적 사고 1270
월령체(月令體) 1271
위트(Wit) 1271
위항문학(委巷文學) ☞ 여항문학 1272
유겐(幽玄) 1272
유교(儒敎) 1273
유교문학(儒敎文學) 1274
유기(遊記) 1275
유기체론(有機體論, Organicism, 독 Organologie) 1276
유럽중심주의(Eurocentrism) 1277
유머(Humor) 1277
유명론(唯名論, Nominalism) 1278
유목주의(Nomadism) 1279
유물론(唯物論, Materialism, 프 Matérialisme,
독 Materialismus) ← 유물주의(唯物主義) 1280
유물론적 비평(맑스주의 비평, Marxist criticism) 1280
유물변증법(唯物辨證法) ☞ 변증법적 유물론 1281
유미주의(唯美主義, Aestheticism) 1281
유비쿼터스(ubiquitous) 1282
유사(유비類比, 유추類推 Analogy,
프 Analogie, 독 Analogie) 1283
유산자 ☞ 부르주아 1283
유선시(遊仙詩) 1283
유심(有心) 1284
유심론 ☞ 관념론 1285
유적존재(類的存在, The spcies being, Gattungswesen) 1285
유추(類推) ☞ 유비 1287
유토피아(Utopia) 1287
유형 ☞ 양식 1288
유희(遊戱) ☞ 놀이 1288
육의(六義) 1288
윤리학(倫理學, Ethics) 1289
윤회사상(輪廻思想) 1290
율려(律呂) 1291
율시(律詩) 1292
은유(隱喩 Metaphor) 1293
은일문학(隱逸文學) 1294
음보율(音步律) 1295
음성중심주의(音聲中心主義, Phono-centrism) 1295
음수율(音數律) 1296
음양오행설(陰陽五行說) 1297
음운론(音韻論, Phonology) 1298
음풍농월(吟風弄月) 1299
응답시(Responsorium, 영.도 Antiphon,
라 antiphona, 이.스 antofona) 1299
응시(Gaze) 1300
응제시(應制詩) 1301
의경(意境) 1302
의고주의(擬古主義, Archaism) 1303
의고체(擬古體) ☞ 의고주의 1304
의도(意圖, Intention, 독 Absicht) 1304
의도론의 오류(Intentional fallacy) 1305
의미(意味, Meaning) 1306
의미론(意味論, Semantics) 1306
의미작용(Signification) 1307
의사역사적(擬似歷史的)
진실(Quasi-historical legend) 1308
의식(儀式) ☞ 제의 1309
의식(意識, Consciousness) 1309
의식의 비평가(Critics of consciousness) 1310
의식의 흐름(Stream of consciousness) 1311
의인법(擬人法, Personification, 독 Personifikation) 1311
의화본(擬話本) 1312
이국주의(異國主義, Exoticism) 1313
이기론(理氣論) 1314
이기주의 ☞ 개인주의 1315
이념(理念, Idea) 1315
이니시에이션 소설 ☞ 입사식 소설 1316
이데아(Idea, 프 Idée, 독 Idee) 1316
이데올로기(Ideology, 프 Idéologie) 1317
이드(Id), 자아(Ego), 초자아(Superego) 1318
이마고(Imago) 1320
이미지(Image) 1321
이미지즘(Imagism) 1322
이상(理想, Ideal) 1324
이상적 자아 ☞ 자아이상 1324
이상주의 ☞ 관념론 1325
이선유시(以禪諭詩) 1325
이성(理性, Reason) 1327
이성애(異性愛, Heterosexuality) 1328
이성중심주의(理性中心主義) ☞ 로고스 1329
이스투아르/디스쿠르(프 Histoire/Discours) 1329
이야기 1330
이야기꾼 1331
이야기 시(譚詩, Narrative Poem) 1332
이야기 역사 1332
이야기 정체성(narrative identity, 프 identité narrative) 1333
이원론(二元論, Dualism) 1334
이율배반(二律背反, Antinomy) 1335
이의역지(以意逆志) 1336
이접성(Disjunction) 1337
이종어(異種語, Heteroglossia, 러 raznorečie) 1338
이중 음성적 텍스트(Double-voiced text) 1338
이중 플롯 1339
이중의식(二重意識, Double consciousness) 1340
이차적 나르시시즘 ☞ 나르시시즘 1341
이키(粹) 1341
이항대립(Binary opposition) 1341
이해(理解, Verstehen, Understanding,
Comprehension, Apprehension) 1342
이행대상(移行對象, Transitional object) 1343
이히 로망(Ich romance) ☞ 사소설 1344
익명성(anonymity) 1344
익살 1345
인간주의(人間主義), 인문주의(人文主義),
인본주의(人本主義) ☞ 휴머니즘 1346
인간생태학 1346
인간학(人間學, Anthropology) 1347
인류학(人類學, Anthropology) 1348
인문학(人文學, Humanities) 1349
인물 ☞ 등장인물 1350
인물창조(人物創造, Characterization) 1350
인민전선(人民戰線, People's front) 1351
인민주의(人民主義) 1352
인상비평(印象批評, Impressionist criticism) 1353
인상주의 1354
인식(認識, Cognition) 1355
인식론(認識論, Epistemology, 독 Erkenntnistheorie) 1356
인식소(認識素) ☞ 에피스테메 1357
인신공희(人身供犧) 1357
인용(引用, Allusion) 1358
인유(引喩, Allusion, 프 Allusion, 독 Anspielung) 1359
인정세태(人情世態) 1359
인종(人種, Race of mankind) 1360
인종차별주의(人種差別主義) 1361
인지과학(認知科學, Cognitive science) 1362
인칭(人稱, Person) 1363
인형 조종술 1364
일기(日記, Diary) 1364
일사소설(軼事小說) 1365
일상극(日常劇) 1366
일상생활사(日常生活史) 1367
일상성(日常性, 독 Alltäglichkeit,
프 quotodiennete) 1368
일원론(一元論, Monism,
프 Monisme, 독 Monismus) 1369
일탈(逸脫, Deviation) 1370
읽히는 텍스트(Readerly text)
/씌어지는 텍스트(Writerly text) 1371
입사식 소설(入社式 小說) 1372
입신(入神) 1373
입체적 인물(Round character) 1374
입체파 ☞ 큐비즘 1374
잉여가치(剩餘價値, Surplus Value,
프 Plus-Value, 독 Mehrwert) 1375
잉여약호화(剩餘略號化, Extracoding) 1375
잉여코드화 ☞ 잉여약호화 1376
ㅈ
자기동일성(自己同一性, Identity) 1377
자기성(ipse-self, ipséité(프)) 1378
자기애 ☞ 나르시시즘 1378
자동기술(自動記述, écriture automatique) 1378
자료주의적 역사(資料主義的 歷史, Documentary history) 1379
자미설(滋味說) 1380
자민족 중심적/자민족 중심주의(自民族 中心主義) 1382
자본(資本, Capital, 프 Capital, 독 Kapital) 1382
자본주의(資本主義, Capitalism,
프 Capitalisme, 독 Kapitalismus) 1383
자서전 1384
자세히 읽기(Close reading) 1385
자아(自我, Self, 프 Moi, 독 Ich) 1386
자아보존본능(自我保存本能 Self-Preservative
instinct)과 성본능(性本能 Sexual instinct) 1387
자아이상(自我理想, Ego-ideal, 독 Ich-Ideal) 1388
자연(自然, Nature, 프 Nature, 독 Natur) 1389
자연과학/문화과학(自然科學/文化科學,
독 Naturwissenschaft/Kulturwi -ssenschaft) 1391
자연시(自然詩 Nature poetry) 1392
자연주의(自然主義, Naturalism, Naturalisme) 1394
자유(自由, Freedom, liberty, 프 liberté, 독 Freheit) 1396
자유간접담론(自由間接談論) ☞ 자유간접화법 1396
자유간접화법(自由間接話法, Free Indirect discourse) 1397
자유시(自由詩 free verse) 1398
자유연상(Free association) 1399
자유주의(自由主義, Liberalism) 1399
자유주의적 페미니즘(自由主義的 feminism,
Liberalistic feminism) 1400
자율성(自律性, Autonomy,
프 Autonomie, 독 Autonomie) 1401
자전소설(自傳小說, Autobiographic fiction) 1402
작가(作家, Writer) 1402
작가주의 영화(作家主義 映畫, Auteurism film) 1403
작문해도(作文害道) 1404
작중인물(作中人物, Character) ☞ 등장인물 1405
잔혹극(殘酷劇, 프 Theatre de la Cruaute) 1405
잠언(箴言) 1406
잠재의식(潛在意識, Subconsciousness) 1406
잡가(雜歌) 1407
잡극(雜劇) 1408
잡기(雜記) 1411
잡종성(雜種性, Hybridity) 1412
잡체시(雜體詩) 1413
장가(長歌) 1414
장경체(長慶體) 1415
장르(Genre) 1417
장르 비평(Genre Criticism) 1418
장르영화 1419
장면 1420
장소 1420
장엄 ☞ 숭고 1421
장원제 ☞ 봉건제 1421
장편소설(長篇小說, novel, full-length novel) 1421
장회소설(章回小說) 1423
재단비평(裁斷批評, Judicial criticism) 1425
재생산(再生産, novel, full-length novel) 1426
재성(才性) 1427
재영토화(Reterritorialization),
/탈영토화(Deterritorialization) 1428
재의미 작용 ☞ 재전유 1429
재전유(再專有, Re-appropriation) 1429
재주술화(再呪術化) 1430
재현(再現, Representation, Représentation, Vorstellung) 1430
저널리즘(Journalism) 1432
저자(著者, Author) 1433
저자됨의 불안(Anxiety of authorship) 1433
저항문학(抵抗文學, résistance) 1434
저항하는 독자(The Resisting Reader) 1435
적용(適用, application, 독 Anwendung) 1436
전(傳) 1436
전경화(前景化, Foregrounding) 1437
전고(典故)와 용사(用事) 1438
전기(傳記, Biography) 1439
전기(傳奇) 1440
전기무실 대반우언(傳寄無實 大半寓言) 1442
전기비평(傳記批評, Biographical criticism) 1443
전기수(傳奇叟) 1444
전설(傳說, legend) 1445
전아(典雅) 1446
전원문학(田園文學, Pastoral literature) 1447
전원시(田園詩, a pastoral) 1448
전위예술(前衛藝術) ☞ 아방가르드 1449
전유(專有, Appropriation) 1449
전의(轉義, Trope) 1450
전의론적 비평(轉義論的 批評, Tropological criticism) 1450
전이(轉移, Transference)
/역전이(逆轉移, Countertransference) 1451
전일성(全一性, Integrity) ☞ 동일성 1453
전쟁문학(戰爭文學)(일본) 1453
전쟁문학(戰爭文學, War literature) 1454
전체성(Totality, Ganzheit) 1454
전체주의(全体主義, Totalitarianism) 1456
전칠자(前七子)와 후칠자(後七子) 1457
전통(傳統, Tradition) 1458
전향문학(轉向文學) 1459
전향문학(轉向文學)(일본) 1460
전형(Type, Typus) 1461
전후문학(戰後文學) 1462
절구(絶句) 1463
절대적인 것과 상대적인 것 1463
절서사파(浙西詞派) 1465
절시증(窃視症, Scopophilia) 1465
절정 ☞ 클라이맥스 1466
절차탁마(切磋琢磨) 1466
절충주의(折衷主義, Eclecticism) 1468
절편음란증 ☞ 페티시즘 1469
점강법(漸降法, Anticlimax and bathos) 1469
점철성금(點鐵成金) 1469
점층법(漸層法, Climax) 1470
정경교융(情景交融) 1471
정론문(政論文) 1472
정보화 사회(情報化社會, Information society) 1473
정서(情緖, Emotion, 프 Emotion,
독 Gemutsbewegung, Affekt, Emotion) 1474
정설(定說) ☞ 독사 1475
정시체(正始體) 1475
정신(精神, Mind, Soul, Spirit) 1476
정신병(精神病, Psychosis) 1477
정신분석(精神分析, Psychoanalysis) 1478
정신분석비평(精神分析批評, Psychoanalytic criticism) 1479
정신분열증 분석(精神分裂症 分析, Schizophrenic analysis) 1481
정신분열증 ☞ 정신병 1482
정전(正典, Canon) 1482
정체성(Identity) 1483
정치(政治, Politics) 1483
정치경제학(政治經濟學, Political economy) 1484
정치소설(일본) 1485
정치소설(政治小說, Political novel) 1486
정치시(politische Lyrik) 1487
정치적 무의식(政治的 無意識, Political unconscious) 1488
제3세계(Third world)
/제3세계 비평(Third-world criticism) 1490
제3전선(第三戰線), 제3전선파(第三戰線派) 1491
제국(帝國, Empire) 1492
제국주의(帝國主義, Imperialism,
프 Impérialisme, 독 Imperialismus) 1494
제궁조(諸宮調) 1494
제네바 학파 1495
제노사이드(genocide) 1496
제노텍스트/페노텍스트(Genotext/Phenotext)
☞ 생성텍스트/현상텍스트 1497
제도(制度, Institution) 1497
제유(提喩, Synecdoche) 1498
제의(祭儀) 1499
제자산문(諸子散文) 1500
제재(題材, Subject matter) 1501
젠더(Gender) 1501
조롱극 ☞ 익살 1502
조오루리(淨瑠璃) ☞ 닌교 조루리, 분라쿠 1502
조충전각(雕蟲篆刻) 1503
조탁(彫琢/雕琢) 1503
존재(存在, Being, 프 Etre, 독 Sein) 1504
존재론(存在論, Ontology, 프 Ontologie, 독 Ontologie) 1505
존재의 거대한 고리(Great chain of being) 1506
졸라이즘 ☞ 자연주의 1507
종교극(宗敎劇, Religious drama) 1507
종군작가(從軍作家, military service author) 1508
종속성(從屬性) 1508
종속집단연구(Subaltern studies) 1509
종자 1510
종차별(speciesism) 1511
죠코토바(序詞) 1511
죠하큐(序破急) 1512
주관/객관(主觀/客觀) ☞ 주체/객체 1513
주관적 관념론(主觀的 觀念論, Subjective idealism) 1513
주관주의(主觀主義, Subjectivism)
/객관주의(客觀主義, Objectivism) 1514
주도동기 ☞ 라이트 모티프 1515
주술(呪術, Magic,
프 Koldovstvo, Magiya, 독 Magie, Zauberei) 1515
주이상스(Jouissance) 1516
주인공(主人公, Hero, Heroine, Protagonist) 1517
주인과 노예(의 변증법, Dialectic of master and slave,
독 Dialektik von Herr und Knecht) 1518
주자학 ☞ 성리학 1519
주정주의(主情主義, Emotionalism, 독 Emotionalismus) 1519
주제(主題, Theme) 1520
주제론(Thematics) 1521
주지주의(主知主義, Intellectualism,
프 Intellectualisme, 독 Intellektualismus) 1523
주체(主體, Subject)/객체(客體, Object) 1524
주체/대상(主體/對象) ☞ 주체/객체 1526
주체문예 1526
주체사상 1527
주체의 죽음 1529
죽림칠현(竹林七賢) 1530
죽음본능(Death instincts, 독 Todestrieb) 1531
죽지사(竹枝詞) 1531
줄거리 1532
중간문학 ☞ 중간소설 1533
중간소설(中間小說)(일본) 1533
중간소설(Middlebrow fiction) 1534
중복결정(重複決定) ☞ 중층결정 1535
중산계급(Middle class) 1535
중용(中庸) 1536
중층결정(重層決定, Overdetermination) 1537
중편소설 1538
중흥사대시인(中興四大詩人) 1539
즈이히츠(隨筆) 1540
즉자(卽自)와 대자(對自), 즉자적인 것과 대자적인 것 1540
증상(症狀, Symptom) 1542
증언 문학 1543
지각(知覺, Perception,
프 Perception, 독 Wahrnehmung) 1543
지괴소설(志怪小說) 1544
지구화(地球化, Globalization) 1545
지다이모노(時代物) ☞ 시대물 1546
지덕체(智德體) 1546
지문 1547
지사(志士) 1548
지시(指示, Designation, Denoting, 독 Bezeichnung) 1549
지시대상(指示對象) 1549
지식사회학(知識社會學, Sociology of knowledge,
프 Sociologie de la connaissance, 독 Wissenssoziologie) 1551
지식인소설(The novel of intellectuals) 1551
지언양기(知言養氣) 1552
지역문학 ☞ 향토문학 1553
지인논세(知人論世) 1553
지정의(知情意) 1554
지표기호(指標記號, Index sign) 1555
지향성(志向性, Intentionality, 독 Intentionalität) 1556
직관(直觀, Intuition,
프 Intuition, 독 Intuition, Anschauung) 1557
직시(直示) ☞ 데익시스 1559
직유(直喩) 1559
진리(眞理, Truth, 프 Vérité, 독 Wahrheit) 1560
진리가치(眞理價値, Truth value) 1561
진리공정(truth process) 1561
진리-사건(truth-event) 1562
진선미(眞善美) 1563
진선진미(盡善盡美) 1563
진실(眞實) ☞ 진리 1564
진실(眞實, Truth)과 허구(虛構, Fiction) 1564
진언무거(陳言務去) 1565
진정성(Authenticity) 1567
진화론(Evolution theory) 1567
질풍노도 ☞ 슈투름 운트 드랑(Sturm und Drang) 1568
집단 기억(collective memory) 1569
집단무의식(集團無意識, Collective unconscious) 1569
집단창작(集團創作) 1571
징후독해(徵候讀解, Symptomatic reading) 1573
ㅊ
차연(差延, Différance) 1574
차운(次韻), 화운(和韻) 1575
차이의 문화정치학(Difference, New cultural politics of) 1576
찬가 1577
찬미가 ☞ 찬가 1578
참여문학(參與文學, Engagement literature) 1579
참여소설 1580
창(唱) 1580
창극 1581
창수(唱酬) ☞ 창화(唱和) 1582
창작(創作, Production, 프 Création, 독 Schaffen) 1582
창조(創造, Creation, 프 Création, 독 Schöpfung) 1583
창화(唱和) 1584
채붕 ☞ 무대 1584
책 1585
천기론(天機論) ☞ 천기설 1585
천기설(天機說) 1585
천뢰(天籟) 1586
천인감응(天人感應) 1587
천황제(天皇制) 1588
청교도주의(淸敎徒主義, Puritanism) 1589
청년(靑年) 1590
청년문화(Youth culture)/청년하위문화(Youth subcultures) 1591
청신(淸新) 1592
청중(聽衆) ☞ 관객 1593
체계(體系, System, 프 Système, 독 System) 1593
체계이론 1593
체제(體制, System) 1594
체코 구조주의 1595
체험수기(體驗手記) ☞ 수기 1596
초국가주의 1596
초당사걸(初唐四傑) 1597
초사(楚辭) 1597
초절주의(超絶主義, Transcendentalism) 1598
초점화(焦點化, Focalization) 1599
초현실주의(Surrealism) 1600
총체성 ☞ 전체성 1601
추(醜, Ugliness, 프 laideur, 독 Hässliche) 1602
추리소설 ☞ 탐정소설 1602
추상 1602
축사(祝詞) 1603
축제(祝祭, Festivals feats) 1604
축제극(祝祭劇, Festival play) 1605
충동(Drive, 독 Trieb) 1606
취미(趣味, Taste, 프 Goût, 독 Geschmack) 1607
취미판단(趣味判斷) ☞ 미적 판단 1608
치안(治安) 1608
친족관계(親族關係, Kinship) 1608
ㅋ
카니발(Carnival, 러 Karnaval) 1610
카니발적(Carnivalesque) 1610
카니발화(Carnivalization) 1610
카마(Kāma) 1612
카메라 움직임(Camera movement) 1613
카오스모스(Chaosmos) 1613
카타르시스(Catharsis, 프 Catharsis, 독 Katharsis) 1614
카프(KAPF) 1615
칸트주의(Kantianism, Kantisme) 1616
칼럼(Column) 1617
컴퓨터 게임(Computer game) 1618
코기토(Cogito) 1618
코다(Coda) 1619
코드(Code) ☞ 약호 1620
코드해독(Decode) ☞ 약호풀기 1620
코미디(Comedy) ☞ 희극 1620
코스모스(Cosmos) 1620
코스모폴리탄 ☞ 사해동포주의 1621
코우타(小唱) 1621
코쿠타이(國體) 1622
콜라주(프 Collage) 1623
콜로니얼리즘 ☞ 식민주의 1624
콤플렉스(Complex) 1624
콩트 1625
쾌감 ☞ 쾌락 1626
쾌락(快樂, Pleasure, 프 Plaisir, 독 Lust) 1626
쾌락원칙(快樂原則, Principle of pleasure) 1627
쿄오쇼쿠본(好色本) ☞ 호색본 1628
퀴어이론(Queer theory) 1628
큐비즘 1629
크레올화(Creolization)/문학 1630
크로노토프(시공간, 時空間, Chronotope, 러 Xronotop) 1631
클라이맥스 1632
클라인 학파 정신분석(Kleinian psychoanalysis) 1632
클리셰(cliché) 1634
키치(Kitsch) 1634
ㅌ
타나토스 ☞ 죽음본능 1636
타당성(Validity) 1636
타령 1637
타부(Taboo) 1637
타자(Other/Other) 1638
탈승화 1639
탈식민주의 비평(Postcolonial criticism) 1640
탈식민주의(Postcolonialism) 1641
탈영토화(脫領土化, Deterritorialization) 1642
탈주술화(脫呪術化) 1643
탈중심 이론(Decentering) 1644
탐미주의(眈美主義) ☞ 유미주의 1645
탐정소설(探偵小說, Detective story) 1645
테러리즘 1646
테마 ☞ 주제 1648
테크놀로지(Technology) 1648
텍스트 언어학(Textlinguistik) 1649
텍스트(Text, 프 Texte) 1650
텍스트성(Textuality) 1651
텍스트와 컨텍스트(Text and context) 1652
텍스트중심주의(Textualism) 1653
텐노오세이(天皇制) ☞ 천황제 1654
텔켈 그룹(Groupe Tel Quel) 1654
토대와 상부구조(Base and superstructure) 1654
토테미즘(Totemism) 1656
토포스(Topos)/문학 1657
통과의례(通過儀禮, Les Rites de Passage) 1658
통과제의 ☞ 통과의례 1659
통변(通變) 1659
통섭 1660
통속극 ☞ 신파극 1661
통속문학(通俗文學) 1661
통속적(通俗的) 1661
통신원 ☞ 문학통신원 1662
통일성(統一性, Unity, 프 Unité, 독 Einheit) 1662
퇴폐 ☞ 데카당스 1663
퇴행(退行, Regression, 프 Régression) 1663
투사(投射, Projection) 1664
투시주의(透視主意, Perspectivism) 1665
트로츠키주의(Trotskyism) 1666
특이성(singularity) 1666
틀-이야기(Frame-story) 1667
ㅍ
파라텍스트(Para-texte) 1669
파르마코스(Pharmakos) 1670
파르마콘(Pharmakon) 1671
파르티잔(partizan) 1671
파블라/슈제트 ☞ 우화/주제 1672
파스큘라(PASKYULA) 1673
파시즘(Fascism) 1673
파편화(破片化, Fragmentation) 1674
판단(判斷, Judgment) 1675
판단중지 ☞ 에포케 1676
판소리 1676
판소리계 소설 1677
판타지(Fantasy) 1678
팔고문(八股文) 1679
팔루스(Phallus) ☞ 남근 1679
팜므 파탈(Femme fatale) 1680
팝 아트(Pop art) 1680
패관문학(稗官文學) 1681
패러다임(Paradigm) ☞ 계열체/통합체 1682
패러다임(Paradigm)의 위기 1682
패러독스(Paradox) ☞ 역설 1683
패러디(Parody, 독 Parodie) 1683
팬픽 1684
팰러스로고스중심주의(Phallogocentrism) 1685
팰림프세스트(Palimpsest) ☞ 복기지 1686
퍼소나(Persona) 1686
퍼포먼스 1687
펑크(Punk) 1687
페로니즘 ☞ 포퓰리즘 1688
페미니즘 비평(Feminist criticism) 1688
페미니즘(Feminism) 1690
페이소스(파토스, Pathos) 1691
페티시즘(Fetishism, 독 Fetischismus) 1692
편집증(Paranoia) 1693
평가(評價, Evaluation) 1694
평담(平淡) 1695
평측(平仄) 1696
평화 1697
폐기(廢棄, Abjection) 1697
폐제(廢除, Foreclosure, 프 Forclusion, 독 Verwerfung) 1698
포디즘(Fordism) 1699
포르노그라피(Pornography) 1699
포스트구조주의(Poststructutralism) 1700
포스트모더니즘(Postmodernism) 1702
포스트모던 영화(Postmodern film) 1704
포스트산업사회 1705
포스트식민주의 ☞ 탈식민주의 1706
포스트이미지(Post-image) 1706
포스트페미니즘(Postfeminism) 1707
포이에시스(poiesis) 1707
포토 포엠(photo poem, 시 사진) 1708
포퓰리즘(프 Populisme) 1708
폭력(영 violence, 독 gewalt) 1709
표상 ☞ 재현 1711
표상대리(表象代理, Ideational representative) 1711
표상대표(表象代表) ☞ 표상대리 1712
표절(剽竊) 1712
표현(表現, Expression, 프 Expression, 독 Ausdruck) 1712
표현론적 비평(表現論的 批評,
Expressive criticism) 1713
표현비평 ☞ 표현론적 비평 1714
풍격(風格) 1714
풍골(風骨) 1715
풍류(風流) 1716
풍속(風俗) 1717
풍속세태소설 ☞ 풍속소설 1718
풍속소설 1718
풍일권백(諷一勸百) 1719
풍자(諷刺, Satire, 프 Satire, 독 Satire) 1720
풍자소설 1721
프랑크푸르트학파(The Frankfurt school) 1722
프레임(frame) 1723
프로문학 ☞ 프롤레타리아 문학 1724
프로시니움 아치 ☞ 무대 1725
프로아이레시스(Proairesis) ☞ 행동 1725
프로이트주의(Freudianism) 1725
프로파간다 ☞ 선동선전문학 1726
프롤레타리아 문학(일본) 1726
프롤레타리아 문학(Proletarian literature) 1727
프롤레타리아 숭배 1728
프롤레타리아(Proletariat) 1728
플롯(Plot) 1729
피카레스크 소설(Novela picaresca) ☞ 건달소설 1731
픽션(Fiction) 1731
필기소설(筆記小說) 1732
필름 느와르(Film noir) 1733
필리스틴 ☞ 속물근성 1734
필연성(必然性, Necessity 프 Necessite, 독 Notwendigkeit) 1734
핍진성(Verisimilitude) 1735
ㅎ
하나(花) 1737
하드 보일드(Hard-boiled)문체 1738
하마르티아(Hamartia) 1739
하부구조(下部構造) ☞ 토대와 상부구조 1739
하위계층(하위주체, Subaltern) 1739
하위문화(Subculture) 1740
하이카이(俳諧)/하이쿠(俳句) 1742
하이퍼리얼리즘(Hyperrealism) 1743
하이퍼텍스트 문학(Hypertext literature) 1744
하이퍼텍스트(Hypertext) 1745
학생(學生) 1746
한(恨) 1746
한대악부시(漢代樂府詩) 1747
한문(漢文) 1747
한문학(漢文學) 1748
한시(漢詩) 1749
함축(Implication, Connotation) 1751
합리주의(合理主義, Rationalism) 1751
합의 1753
항상성(Principle of constancy) 1753
항일혁명문학 1754
해방신학 1755
해석(解釋, Interpretation) 1756
해석공동체(解釋共同體, Interpretative community) 1757
해석적 오류 1758
해석학(解釋學, Hermeneutics, 독 Hermeneutik) 1759
해석학적 순환(解釋學的 循環, Hermeneutics circle,
독 Hermeneutischer Zirkel) 1760
해체(Deconstruction) 1760
해체/해체론(解體/解體論, Deconstruction) 1761
해탈(解脫, 범 Vimukti, Vimoka) 1762
해피엔드(Happy-end) 1763
해학(諧謔, Humour) 1763
핵사건(Kernels)/위성사건(Satellites) 1764
행동(行動, Proairesis) 1765
행동주의(Behaviorism) 1766
행위(Action) 1767
행위소 모델(Actantial model) 1768
행위수행적 발화(行爲遂行的 發話) ☞ 수행적 발화 1769
행위자(行爲者, Agent, Actant) 1769
향가(鄕歌) 1770
향토문학(鄕土文學) 1771
허구(虛構) ☞ 픽션 1772
허구 효과(프 effet de fiction) 1772
허무주의 ☞ 니힐리즘 1773
허실(虛實) 이론 1773
허위의식(虛僞意識, False conciousness,
독 Falsches Bewuβtsein) 1774
헤게모니(Hegemony) 1775
헤겔주의(Hegelianism) 1776
헤로디어니즘(Herodianism)과 젤로티즘(Zealotism) 1777
헤브라이즘(Hebraism) 1778
헬레니즘(Hellenism) 1779
헬리콘니즘, 네오-헬리콘니즘(Heliconism, Neo-heliconism) 1780
혁명가극(革命歌劇) 1781
혁명적 낭만주의(Revolutionary romanticism) 1781
혁명적 대작 1782
혁명적 문예전통(革命的 文藝傳統) 1783
혁명적 비극 1784
현대문학(現代文學, Modern literature) 1785
현상(現象, Phenomenon, 프 Phénomène, 독 Phänomen) 1786
현상학(Phenomenology) 1787
현상학적 문예학
(독 Phänomenologische Literaturwissenschaft) 1788
현상학적 비평(現象學的 批評,
Phenomenological Criticism) 1789
현상학적 환원(現象學的 還元,
독 Phänomenologische Reduktion) 1790
현실(現實, Real) 1792
현실계 ☞ 실재계 1793
현실도피주의(現實逃避主義, Escapism) 1793
현실원리(Principle of reality) 1794
현실의 환상(Illusion of reality) 1794
현언시(玄言詩) 1795
현존의 형이상학(Metaphysics of presence) 1796
현존재(現存在, Dasein) 1797
현학(玄學) 1798
현현(Epiphany) 1799
협의소설(俠義小說) 1800
형사(形似) 1802
형상(形象)과 형상화(形象化) 1803
형식(形式, Form) 1804
형식주의 비평(형식주의 비평, Formalism criticism) 1805
형이상학(形而上學, Metaphysics) 1806
형태론(形態論, Morphology) 1807
형태주의(Formalism) 1808
호명(呼名, Interpellation)1 ☞ 소환 1809
호명(interpellation)2 1809
호모 나렌스(Homo Narrans) 1810
호모 루덴스(Homo Ludens) 1811
호모 사케르 1811
호방(豪放)과 완약(婉約) 1812
호색본(好色本) 1813
호오고(法語) 1814
혼성성 ☞ 잡종성 1815
혼종(Hybrid)/혼종성(Hybridity)/혼종화(Hybridization) 1815
혼카도리(本歌取り) 1816
화간파(花間派) 1816
화본(話本) 1817
화엄사상(華嚴思想) 1820
화용론(Pragmatics) 1821
화자(話者, Narrator) ☞ 서술자 1822
화중유시(畵中有詩) ☞ 시중유화 1822
화폐(貨幣, Money) 1822
화행이론(話行理論, Speech act theory) 1823
환경문학 ☞ 생태학적 비평 1823
환골탈태(換骨奪胎) 1823
환대 1825
환상 ☞ 판타지 1825
환상문학(Fantastic literature) 1825
환상적 리얼리즘(Magic realism) 1827
환원(還元, Reduction, 독 Reduktion) 1828
환유(換喩, Metonymy) 1828
활법(活法) 1829
회문시(回文詩) 1830
회사후소(繪事後素) 1831
회상(소급제시, Analepsis)/예상(사전제시, Prolepsis) 1832
회의론(懷疑論, Skepticism) 1833
후일담(後日譚, Epilogue) 1834
훈육(訓育, Discipline) 1835
휴머니즘(Humanism, 프 Humanisme, 독 Humanismus)
←인간주의(人間主義), 인문주의(人文主義), 인본주의(人本主義) 1835
흉내(Mimicry) 1836
흉중성죽(胸中成竹) 1837
흑인 페미니즘(Black feminism) 1838
흔적(trace) 1840
흥관군원(興觀群怨) 1841
흥취설(興趣說) 1841
희곡 1842
희극(喜劇) 1844
희극적 아이러니 ☞ 희극 1846
희비극 1846
희생양 의식 ☞ 인신공희 1846
희생양 ☞ 파르마코스 1846
희열 ☞ 주이상스 1846
희화화(戱畵化) 18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