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군신, 함께 정치를 논하다

군신, 함께 정치를 논하다

  • 윤정분
  • |
  • 혜안
  • |
  • 2018-05-15 출간
  • |
  • 364페이지
  • |
  • 160 X 233 X 24 mm /654g
  • |
  • ISBN 9788984946057
판매가

28,000원

즉시할인가

25,2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5,2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홍치(弘治) 연간(1488~1505)은 봉건사회가 동요되는 가운데 제반 사회의 변화상을 대변하는 사대부들의 공론이 그 어느 때보다 다양한 형태로 등장하고 있었던 시대였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군신 간의 정치적 공론장인 경연에서는 이러한 당시의 공론정치를 반영하지 못하고, 오히려 ‘조종지제(祖宗之制)’의 황제 독재 체제로 복귀함으로써 언로의 장을 제약하였다. 당시 경연에서는 군신공치의 ‘공천하(公天下)’의 실현이라는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지 못한 채, 황제의 사적 권력인 ‘가천하(家天下)’로 회귀함으로써 시대의 변화상을 수용하거나 발전적으로 반영하지 못하고 오히려 후퇴하였다. 이러한 홍치 연간의 경연제도를 통해 볼 때, 이른바 ‘홍치중흥’이란 평가는 그 타당성에 있어서 재고의 여지가 있다.
마지막 3부는 명나라 체제의 위기와 군신공치의 쇠퇴 과정을 다루었다.
명 건국 후 약 150년이 지난 정덕(正德) 연간(1506~1521)은 명대 역사에서 정치·사회·경제적으로 제반 모순이 첨예하게 표출되던 시대였다. 정치적으로 환관 세력의 전횡은, 이때에 이르러 유근(劉瑾)을 비롯한 ‘8호(虎)’와 ‘표방(豹房)’ 정치에서 극에 달했다. 사회·경제적으로도 ‘토목의 변(土木之變)’ 이래 몽고의 지속적 국경 침략, 기상 이변으로 인한 북방의 극심한 가뭄, 그리고 남방의 홍수 등은 농업생산력의 급격한 감소를 초래하였다. 이로써 농민의 유민화와 도시화 등 농촌분해 현상이 심화되었다. 이처럼 제반 모순이 그 어느 때보다 심화된 상황에서 명 왕조 초기의 ‘조종지제’와 경연제도는 해체되기에 이르렀다. 정덕 8년 이후에는 황제가 표방에 유숙하면서 정사를 돌보지 않는 상태에서 황제는 정덕 8년 4월에 열린 경연에 잠시 참석하였다. 그러나 이마저도 강독 도중에 중단되고 말았다. 따라서 그 이후로는 정덕 9년 두 차례, 그리고 정덕 10년 한 차례에 걸쳐 경연 개최를 명하기도 했지만, 특히 정덕 12년 이후로는 황제가 북방과 남방 순행을 강행함으로써 월강과 일강은 당연히 중단될 수밖에 없었다.
가정(嘉靖) 연간(1522~1528)은 가정제의 독단적인 정국운영으로 황극(皇極)을 운운할 정도로 무소불위의 군주로까지 언급되었다. 이 같은 정국 상황에서, 경연은 일강에 병합되어 그 개최여부와 운영방식은 말할 것도 없고, 심지어는 강론과 교재선택조차도 황제와 일강관에 포진된 의례파에 의해 자의적이고도 파행적인 형태로 시행되었다. 따라서 이 시기에 군신공치를 이상으로 하는 조종지제의 원형은 이미 와해됨으로써, 군신간의 정사 협의나 황제의 사적 권력에 대한 제약이라는 경연의 취지는 더 이상 발휘될 수 없었고, 경연은 단지 황제의 일방적 요구에 따라 이에 응하는 문학적 자문 기능으로 전락하고 말았다. 이로 볼 때 가정 연간의 경연은 대례의 정국 속에서 유교적 정치 이념을 이상으로 삼는 조종지제의 경연이 붕괴되었음을 반영하는 동시에, 명 왕조 개창 이래 지속되었던 예제적(禮制的) 국가질서 또한 근본적으로 동요하며, 새로운 국면으로 접어들고 있음을 예고하는 것이었다.
이어진 융경(隆慶) 연간(1567~1572)의 경연은 각신들 간의 갈등과 대립이 각 정치세력의 이해관계에 따라 권력투쟁의 양상으로 전개된 ‘내각 파동(閣潮)’을 빈번하게 거치면서, 국초에 제정된 경연의 당초 취지와 목적을 실현할 수 없었다. 이것은 융경제가 정사를 돌보지 않은 채 향락에만 탐닉하고 있었던 황제 개인의 문제점과 함께, 이로 인해 야기되는 내각 중심의 정국운영, 특히 내각수보의 권한이 지나치게 비대해진 조정 운영 시스템상의 문제가 그 원인으로 작용했기 때문이다. 이렇듯 융경 연간에는 황제의 리더십이 발휘되지 못하는 공백 상태에서, 정국운영의 권한은 자연히 내각에 집중될 수밖에 없었다. 정국운영의 주도권이 융경제의 친위 세력에 의해 장악되면서, 언관을 비롯한 비판세력이 기대하는 유교적 이념에 따른 ‘조종지제’의 복원은 좌절되었다. 게다가 융경 4년 이후 정국은 주로 고공(高拱)과 장거정(張居正)을 중심으로 하는 황제 친위세력에 의해 주도되는 상황에서, 내각의 내분과 갈등 또한 정치적 이념이나 명분, 정책방향을 둘러싸고 전개되었다기보다는 다분히 권력 투쟁적 성격을 띠고 있었다. 이것은 황제를 중심으로 하는 정국운영 시스템의 붕괴인 동시에, 내각수보를 비롯한 내각 중심의 정국운영 시스템으로 변화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었다. 따라서 이 시기에 경연은 의례적 명분조차 그 의미를 상실할 수밖에 없었다.

이상에서 볼 때, 저자가 보기에 명대의 경연제도는 15세기 이후 계속 조종지제(祖宗之制)가 형해화 되면서 16세기 후반 융경 연간에 이르러서는 유교적 이념에 입각한 제왕학의 학습과 정사 협의라는 기능과 그 의미조차 근본적으로 붕괴되었다고 할 수 있다. 경연의 영향력은 성학교육을 통한 수양이라는 황제 개인의 자율성에만 의존하는 형태였고 한계성을 가질 수밖에 없었다. 황제 권력의 자의성에 의존하는 군주권의 독주는 명대 정치사의 특징이자 명 왕조 멸망의 주요 원인으로 작용하였다. 이런 점에서 명대의 경연은 군신 간의 정치적 공론장으로서 경연이 이상적으로 시행되고 있었던 조선시대의 경연제도와는 차이를 보였다. 그러나 윤정분 교수의 연구는 명조 멸망을 100여 년 앞둔 1572년까지 진행된 채, 뜨밖의 비보로 인해 중단되고 말았다. 15년 계속된 연구의 결실을 거두고 유종의 미로 마무리 짓지 못한 것이 새삼 안타깝기만 하다.


목차


첫머리에

1부 건국 초기 경연의 시행과 정국운영

明代 經筵制度와 政局運營의 추이-洪武(1368~1398)~弘治 年間(1488~1505)을 중심으로-
Ⅰ. 서론
Ⅱ. 洪武(1368~1398)·永樂 年間(1403~1424)의 經史 講論과 황제 독재 체제의 정립
Ⅲ. 宣德(1426~1435)·正統(1436~1449)·天順年間(1457~1464)의 내각제와 경연의 제도화
Ⅳ. 成化(1465~1487)·弘治 年間(1488~1505)의 경연제도와 공론 정치
Ⅴ. 결론

明初 經筵제도의 배경과 그 특징-朱元璋의 經史 강론과 군주권 강화를 중심으로-
Ⅰ. 서론
Ⅱ. 朱元璋의 유교주의 표방과 제도화
Ⅲ. 經史 講論과 政事 자문
Ⅳ. 주원장의 통치책과 군주권 강화
Ⅴ. 결론

永樂帝(1403~1422)의 經筵 운영과 그 특징-북경 천도 추진과 관련하여-
Ⅰ. 서론
Ⅱ. 황제 經筵과 영락제의 崇儒정책
Ⅲ. 영락제의 北京 遷都 추진과 皇儲 교육
Ⅳ. 결론

2부 명대 정치 구조의 변화와 경연

宣德 年間(1426~1435)의 經史 講論과 그 특징-宣德 初 현안문제와 宣德帝의 정국운영과 관련하여-
Ⅰ. 서론
Ⅱ. 卽位 初의 현안과 經史 講論의 시행
Ⅲ. 宣德 年間의 經史 講論과 그 내용
Ⅳ. 召對 강화와 宣德帝의 정국운영
Ⅴ. 결론

正統(1436~1449)·天順(1457~1464) 年間의 經史 講論과 정국운영-經筵의 제도화와 내각제 운영과 관련하여-
Ⅰ. 서론
Ⅱ. 正統·天順 年間의 經史 講論
Ⅲ. 內閣制와 政局운영
Ⅳ.결론

成化 年間(1465~1487)의 經筵과 정국운영-내각제의 쇠퇴와 科道官體系의 성립과 관련하여-
Ⅰ. 서론
Ⅱ. 成化 年間의 經筵과 그 특징
Ⅲ. 科道官體系의 등장과 성화 연간의 정국운영
Ⅳ. 결론

弘治 年間(1488~1505)의 經筵과 政局運營-내각제 복원과 공론 정치와 관련하여-
Ⅰ. 서론
Ⅱ. 弘治初(즉위년~2년) 「經筵儀注」의 제정 배경과 경연 시행을 둘러싼 논쟁
1. 「경연의주」의 제정 배경과 내각제의 복원
2. 경연 시행을 둘러싼 논쟁과 그 의미
Ⅲ. 홍치 3~8년(1490~1495) 경연 시행의 실상과 황제 중심의 정국운영
Ⅳ. 弘治 8년(1495) 이후 경연제도의 유명무실화와 내각수보 중심의 정국운영
Ⅴ. 결론

3부 체제 위기와 ‘군신공치’의 쇠퇴

正德 年間(1506~1521)의 정국운영과 經筵
Ⅰ. 서론
Ⅱ. 正德 初의 政局과 經筵
Ⅲ. 劉瑾 세력의 거세와 경연의 형식적 재개
Ⅳ. ‘豹房’ 정치와 경연 중단
Ⅴ. 맺음말

嘉靖 前期(1522~1528) ‘大禮議’ 政局과 經筵
Ⅰ. 서론
Ⅱ. 楊廷和 내각과 경연 개시
Ⅲ. ‘議禮派’의 정국 주도와 경연 중단
Ⅳ. 「明倫大典」의 편찬과 경연 파행
Ⅴ. 결론

隆慶 年間(1567~1572)의 정국운영과 經筵-‘내각 파동(閣潮)’과 관련하여-
Ⅰ. 서론
Ⅱ. 내각 파동(閣潮)과 융경 연간의 政局運營
Ⅲ. 經筵운영과 그 실상
Ⅳ. 결론

참고문헌
출전
고 윤정분(尹貞粉) 교수님 연보
추모의 글
편집 후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