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문화도시 지역발전의 창조적 패러다임

문화도시 지역발전의 창조적 패러다임

  • 유승호
  • |
  • 가쎄
  • |
  • 2018-04-19 출간
  • |
  • 320페이지
  • |
  • 132 X 201 X 21 mm /373g
  • |
  • ISBN 9788993489729
판매가

14,800원

즉시할인가

13,32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32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도시에 관한 창조적 패러다임, 문화도시

지방자치의 시대, 오로지 축제만을 문화도시의 상징으로 여기는 우리 지방자치 단체들에게 이 책은 문화도시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제시한다.

저자는 문화도시를 읽어내는 주요 키워드를 "체험, 스토리, 창조, 재생, 네트워크"로 규정한다. 이들 키워드로 세계 각국의 도시들을 간결하게 분류해 분석하고 있는데, 문화도시의 역사와 기억들이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다.

그 많은 도시 가운데에서도 『문화도시』의 저자에게 인상적인 도시는 이탈리아의 오르비에토 같은 곳이다. 900년 된 성벽으로 둘러싸여 있는 고풍스러운 곳으로, 마을 중심가에는 자동차가 진입하지 못하고 번화가에서조차 네온사인을 달지 못한다. 이처럼 자연 그대로의 모습을 유지하면서 문화가 접목된 도시를 상상하는 즐거움이 이 책 속에 있다.

결국 문화도시란 분석을 뛰어넘는 ‘지각’, ‘체험’, ‘통합’, ‘전체’의 도시이다. 그래서 문화도시를 탐구하며 쓴 이 책이 책 속의 ‘정보’로서만이 아니라 ‘체험’으로도 다가가길 바란다.


목차


제1부 문화도시 이론 21
1 왜 문화도시인가 23
1. 문화와 도시 23
2. 도시의 어원 및 정의 34
3. 도시의 형성과정 36
4. 도시의 발달단계 40
5. 문화도시를 이해하기 위한 기본 개념들 43

2 도시의 관점에서 본 문화도시 52
1. 도시 연구의 관점들 52
2. 도시 이론의 변화과정 55
3. 도시 이론의 대가들 58

3 문화의 관점에서 본 문화도시 87
1. 문화의 확대와 포용 87
1) 포디즘과 포스트포디즘 87 / 2) 모더니즘에서 포스트모더니즘으로 90 / 3) 현대 도시와 인간 삶의 다양성 95
2. 문화와 도시의 만남 99
1) 문화에 대한 인식 변화 99 / 2) 문화도시가 주목받는 계기들 104 / 3) 문화와 경제의 결합: 컬처노믹스 108

제2부 문화도시의 분석 115
4 문화도시의 주요 키워드 117
1. 문화도시의 성공 요건 117
2. 문화도시의 유형 분류 119
1) 도시체험형 문화도시 /119 2) 도시형 문화도시 /120 3) 스토리 지향형 문화도시 /121 4) 창조형 문화도시 /122
3. 복합성과 다양성을 지향하는 문화도시 124

5 체험으로서의 문화도시 128
1. 체험과 랜드마크 129
1) 빌바오: 구겐하임 미술관 130 / 2) 뉴욕: 휘트니 미술관, 모마 미술관, JFK 도서관&박물관 132 / 3) 시드니: 오페라하우스, 하버브리지 134 / 4) 프라이부르크: 태양의 도시 134 / 5) 가마쿠라: 역사와 자연의 도시 136 / 6) 부다페스트: 아름다운 도시 137 / 7) 잘츠부르크: 음악의 도시 138 / 8) 베네치아: 물 위의 도시 139 / 9) 도빌: 아름다운 해변과 문학의 도시 140 / 10) 바르셀로나: 전통 건축예술의 도시 141 / 11) 두바이: 현대 건축예술의 도시 143 / 12) 파리: 세계 문화의 수도 143
2. 체험과 가로환경 재생 148
1) 시애틀: 장기 경관 조성 전략 148 / 2) 뉴욕: 센트럴파크 148 / 3) 도쿄: 도쿄 경관 계획 149
3. 체험으로서의 축제 150
1) 아비뇽: 아비뇽 축제 151 / 2) 에든버러: 에든버러 프린지 페스티벌 153 / 3) 앙굴렘: 국제 만화 페스티벌 154 / 4) 리우데자네이루: 리우 카니발 156 / 5) 마인츠: 라인 카니발 157
4. 체험으로서의 테마파크 158
1) 윈저 레고랜드 159 / 2) 하우스텐보스 159 / 3) 아사히야마 동물원 161

6 스토리로서의 문화도시 164
1. 엑상프로방스: 폴 세잔 165
2. 오덴세: 안데르센 166
3. 브라쇼브: 드라큘라 167
4. 투르쿠: 무민 168
5. 산티아고 데 콤포스텔라: 종교 168
6. 바스: 온천의 도시 169
7. 클라겐푸르트: 민족적 다양성이 만든 문화 171
8. 스트랫퍼드: 셰익스피어 173

7 창조로서의 문화도시 177
1. 창조도시의 의의 177
2. 캐나다의 창조도시 180
1) 밴쿠버: 문화지향적 계획 180 / 2) 토론토: 다민족 도시 181 / 3) 오타와: 전통의 계승과 발전 182 / 4) 할리팩스와 브리즈번: 다양한 네트워크의 성장 183 / 5) 퀘벡: 작은 파리 184 / 6) 사스카툰: 경제적·사회적·문화적 혁신 185
3. 미국의 창조도시 185
1) 노스캐롤라이나주: 세계적 IT단지 육성 185 / 2) 피츠버그: 공해 탈출과 도시 재개발 186 / 3) 리치몬드: 대학·기업·연구소의 유기적 연계 188 / 4) 시애틀과 포틀랜드: 고급문화와 디자인의 도시 189
4. 동아시아의 창조도시 190
1) 다산즈: 공장지대에서 예술특구로 190 / 2) 도쿄: 10년 계획에 의한 문화부흥 192

8 재생 관점에서 본 문화도시 194
1. 도시 쇠퇴의 3가지 유형 195
2. 도시재생 과정 196
3. 문화콘텐츠산업과 도시재생 198
1) 셰필드: 문화산업지구제 198 / 2) 게이츠헤드: 폐광촌에서 예술도시로 199 / 3) 리버풀: 풍부한 문화자산의 산업화 201
4. 대도시의 도심재생 사례 202
1) 요코하마: 중앙정부·지방행정·지역주민의 긴밀한 협조 202 / 2) 파리: 주변 낙후지역 재정비 204
5. 도시 속의 소규모 문화운동 208
1) 세인트루이스: 주말 여가 프로그램 208 / 2) 로스앤젤레스: 도시공동체 텃밭 209 / 3) 필라델피아: 무료공연 프로그램 209 / 4) 베를린: 주거지 정비사업 210

9 네트워크와 문화도시 212
1. 네트워크와 도시 공간 212
2. 낭트시의 사례: 세계시민의 집 213
3. 제3의 장소 이론 215
1) 실리콘밸리와 루트128: 암묵지가 창출되는 곳 216 / 2) 사이버스페이스: LA와 런던의 가상도시 218

10 문화도시 추진을 위한 리더십과 파트너십 220
1. 헤이온와이: 한 개인이 만든 책방 마을 220
2. 랑독-루시옹: 국가·공공단체·민간기업의 협력 222
3. 리버풀: 공공부문과 민간기업의 협력 224
4. 라이프치히: 구 동독의 발전을 위한 문화도시 226
5. 가나자와: 시당국 주도의 전통 기반 문화도시 추진 228
6. 꾸리찌바: 도시 시장(市長)이 추진한 계획도시 230
7. 파리: 라데팡스 지역의 문화상업지역 추진 231
8. 얼바인: 민간기업이 추진한 계획도시 233
9. 문화도시 추진 유형의 다양성 234

제3부 한국 문화도시의 분석 241
11 한국 문화도시의 발전 243
1. 한국의 지역발전과 문화도시 243
2. 한국의 문화도시 유형 분류 244

12 관광 중심의 축제 문화도시 250
1. 전통 · 체험으로서의 축제 250
1) 보령: 머드와 웰빙 트렌드와의 조화 250 / 2) 안동: 전통의 국제화 252 / 3) 강진: 청자를 품다 253 / 4) 천안: 해외 벤치마킹 성공 사례 255
2. 지역 자원으로서의 축제 256
1) 춘천: 지역적 분위기가 준 선물 257 / 2) 김제: 지평선의 자원화 259 / 3) 진주: 밤의 축제 260
3. 지역브랜드로서의 축제 262
1) 금산: 산업과 축제의 결합 263 / 2) 함평: 축제의 마케팅화 264 / 3) 하동: 스토리와 산업의 결합 266

13 생활기반 중심의 문화도시 268
1. 통영 동피랑: 달동네에서 한국의 몽마르트르로 변한 벽화마을 269
2. 부산 보수동: 노스탤지어와 희망이 결합한 헌책방 골목 271

14 공동체 중심의 문화도시 273
1. 창작·문화 체험으로서의 예술촌 273
1) 파주 헤이리: 한국의 건축예술도시 274 / 2) 지례와 양평: 예술가들을 위한 마을 275
2. 지역 예술문화 향유로서의 예술촌 277
1) 원주: 후용 공연예술센터 278 / 2) 화성: 창문 아트센터 279 / 3) 양주: 미추산방 281 / 4) 화성: 쟁이골 282 / 5) 강릉: 제비리 미술인촌 283
3. 새로운 문화공동체로서의 예술촌: 무안 월선리 예술인촌 284

제4부 문화도시의 미래 287
15 인간을 위한 어메니티― 휴먼도시 289
1. 도시 공간에 대한 인문학적 사유 289
2. 어메니티의 정의 및 개념 확대 298
3. 어메니티의 다양한 효과 301

16 자연과의 공존― 생태도시 305
1. 환경친화적 생태도시 305
2. 문화도시의 성공을 위하여 308

참고 문헌 및 사이트 310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