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청각장애 7
Ⅰ. 정의 및 분류 8
1. 정의 8
2. 분류 10
Ⅱ. 원인 14
1. 귀의 구조와 원인 14
2. 소리의 경로 25
Ⅲ. 진단과 평가 27
1. 소리의 특성 27
2. 인간의 청력 범위 34
3. 진단 및 평가 36
Ⅳ. 특성 88
1. 청각장애 유형에 따른 특성 88
2. 청력손실에 따른 특성 95
3. 언어특성 98
4. 학업수행 특성 106
5.사회 정서적 특성 107
Ⅴ. 교육적 접근 108
1. 구화법(oral method: oralaural method) 108
Ⅵ. 청각장애 학생의 지도 218
1. 통합교육 지원 218
2. 교육과정 224
3. 언어 지도 방법 225
4. 농맹학생의 의사소통 양식 229
02 의사소통장애 231
Ⅰ. 정의 및 분류 232
1.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232
2. 의사소통장애의 개념 233
Ⅱ. 진단과 평가 274
1. 선별(screening) 274
2. 진단과 평가 274
3. 자발화검사 287
Ⅲ. 자발화분석을 통한 언어 진단 방법 292
A. 자발화 표본 수집 및 기록 292
1. 자발화 표본의 수집 292
2. 자발화 표본의 전사 295
B. 자발화 분석 298
1. 의미론적 분석 298
2. 구문론적 분석 326
3. 화용론적 분석 338
4. 화용론적 분석 방법 338
Ⅲ. 유형별 특성 및 교육적 접근 343
A. 언어장애 343
1. 단순언어장애 343
2. 실어증 355
B. 말장애(speech disorders) 364
1. 조음음운장애 364
2. 유창성 장애 395
3. 음성장애 422
Ⅳ. 교육적 접근 446
1. 기능적 언어중재 446
2. 자연적 언어중재 450
3. 환경중심 언어중재 451
4. 강화된 환경 중심 교수(EMT) 457
5. 스크립트 문맥(스크립트 일과법)을 활용한 언어치료 471
6. 낱말 찾기 훈련 475
7. 참조적 의사소통능력을 위한 언어치료 47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