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독교 사상가 키르케고르,
신앙과 이성의 본질적인 관계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신앙에는 합리적인 요소가 있는가?”
키르케고르는 누구인가
쇠렌 키르케고르(1813. 5. 5.~1855. 11. 11.)는 철학의 주제를 로고스에서 파토스로 바꾸고, ‘신 앞에 선 단독자’라는 유명한 표현에서 알 수 있듯, 이성과 집단 중심의 객관성의 철학을 신앙과 개인의 인격을 강조하는 주체성의 철학으로 바꾼 사상가였다. 무엇보다도 진리의 교리는 있으나 진리의 정열과 경외감이 사라진 당대 기독교 세계에 기독교의 본질을 일깨워 주려 했던 투사였다. 또한 키르케고르는 42세라는 짧은 생애를 살면서 양적으로 방대하며 질적으로 풍성하고 깊이 있는 저술을 남겼는데, 철학자 피터 크리프트(Peter Kreeft)는 자신의 저서 『소크라테스와 키르케고르의 만남(Socrates Meets Kierkegaard)』의 서문에서 2000년 철학사에서 지성과 상상력, 진리와 아름다움, 철학과 시, 객관과 주체를 결합했던 플라톤에 필적할 만한 사상가는 키르케고르 외에는 없다고 평가할 정도였다
키르케고르 사상의 중심인 『철학의 부스러기』를 분석한다. 키르케고르는 20권의 저술과 25권의 일기를 포함하여 45권의 저서를 남겼는데, 그의 저술은 세 가지로 나눌 수 있다. 철학서적, 강화집(기독교 설교집), 일기이다. 일반적으로는 키르케고르의 저술들 가운데 『죽음에 이르는 병』(1849)과 『불안의 개념』(1844)이 잘 알려져 있다. 전자는 ‘절망의 문제’를 다룬 작품이고, 후자는 ‘불안의 문제’를 다룬 작품이다. 다분히 개인적인 경험을 바탕으로 한 심리학적인 요소가 강한 작품들이다.
그러나 키르케고르 사상의 중심이 되는 책은 『철학의 부스러기』(1844)와 『철학의 부스러기의 결론적 비학문적 후서』(1846)이다. 이 두 책은 그의 저서 가운데 신앙과 이성의 문제, 영원과 역사의 문제, 신과 인간의 문제, 진리의 주체성, 절대적 역설 등을 다룬 가장 철학적이고 논리적인 저서이기 때문이다. 여기서 절대적 역설은 이성으로 파악할 수 없고 오직 주체적인 신앙의 비약을 통해 알 수 있는 진리인데, 신이 인간이 되어 영원자가 시간 속에 들어온 성육신의 계시적 사건을 가리킨다. 이런 개념들을 이해하지 않고서는 키르케고르의 사상을 제대로 이해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