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조리 문학의 대표작 카뮈의 『페스트』
페스트로 인해 모든 자유를 억압받는 상황, 평온한 삶을 덮친 부조리와 모순 속에 큰 감옥에 갇힌 공동체의 운명을 직시하고 낙관적인 기대를 걸지 않으며 묵묵히 자기가 해야 할 일을 하는 성실함으로 대결하는 의사 리외와 주변인물을 통해 부조리에 맞서는 인간상을 그려내고 있다.
“그는 어머니의 사랑을 느꼈다. 그러나 한편으로 한 인간을 사랑한다는 게 대수로운 일이 아님을, 사랑이 자신의 표현을 발견하는 데 충분히 강력하지 못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타루와 다정히 지내왔는데도 그날 저녁 그들의 우정은 표현되지 못했다. 페스트를 겪고 우정을 느끼고 언젠가 추억이 되살아날 것이라는 확신만이 그가 승리한 점이었다. 인간이 페스트와의 인생 노름에서 이길 수 있는 건 순전히 그에 대한 체험과 기억뿐이었다.”
『페스트』에서 두드러지는 것은 작가의 유머니스트다(umanist, 휴머니스트보다 폭넓은 뜻으로 사용된다). 카뮈에게 부조리는 전쟁, 독재, 감금과 억압, 차별, 빈곤, 질병과 같이 순고한 인간에게 고통을 주는 모든 것과 이를 작동시키는 사상이다. 리외는 부조리에 반항하는 주체로서 그의 내면을 통해 삶에 대한 애착과 인간에 대한 애정을 드러낸다. (이 책을 읽는 분에게)
“리외는 창문을 열었다. 도시의 소음이 쏟아지듯 크게 들려왔다. 이웃 공장의 반복되는 기계톱 소리에 기운을 냈다. 매일매일의 노동, 그것이야 말로 확실성이 있다. 어설픈 기대나 무의미한 동선에 얽매어 어물거릴 수는 없다. 중요한 것은 자신의 일을 충실히 해나가는 것뿐이다.”
“사람을 죽게 만들거나 죽음을 정당화하는 모든 것을 거부하기로 했습니다. 그때부터 내 마음은 변함없습니다. 오랫동안 부끄러웠죠. 아무리 간접적이었다고 해도, 선의에서 나온 것이라고해도 나 역시 살인자와 다름없다는 사실이 죽도록 부끄러웠습니다.
다른 사람을 죽게 만들 위험을 무릅쓰지 않고서는 이 세상에서 몸짓 하나 제대로 할 수 없습니다. 그러니 모든 사람이 페스트의 도가니에서살고 있는 셈이지요. 환자가 되는 건 피곤한 일입니다. 페스트 환자가 되지 않으려고 애쓰는 몇몇 사람들이 죽음 이외에는 해방될 길 없는 극도의 피로감을 느끼고 있는 것도 바로 그 때문이죠. 이곳에서는 모두들 페스트 환자니까요. 나는 죄 없는 살인자가 되려고 애쓰고 있습니다. 보시다시피 그리 큰 야심은 아니죠.”
“어두침침한 항구위로 공식적인 축하의 불꽃이 피어올랐다. 온 도시가 함성을 길게 울리며 이를 찬양했다. 코타르와 타루, 죽은 자든 범죄자든 그가 사랑했으나 잃은 사람들은 모두 잊혀졌다.
인간은 특별하지 않다. 그러나 그를 통해 그들의 힘, 허물없음과 모든 슬픔을 넘어 자신이 그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느낄 수 있었다. 여러 빛깔 불꽃이 점점 세차게 하늘로 피어오르며 거리의 함성이 테라스 가까이로 밀려오는 것을 느꼈다.
리외는 이야기하기로 결심했다. 떠들어대는 사람들의 틈에 끼지 않기 위해, 페스트에 휩쓸려간 사람들에게 유리한 증언을 하기 위해, 그들에게 가해진 부당함과 폭력의 최소한의 기억만이라도 남겨놓기 위해 그리고 재난 속에서 배울 수 있었던, 인간은 경멸 아닌 찬양받아야 할 존재라는 것을 그대로 말해두기 위해서 말이다.” (본문 중에서)
분량이 많거나 어려운 책을 읽으면 소화가 되지 않아 체하기도 한다. 그럴 때면 어느 시인의 문장처럼 “펼쳤다가 내려놓는 형편없는 독서”를 하게 된다. 범우다이제스트는 독자들이 문학의 향취를 물큰 느끼면서 또한 가볍게 읽을 수 있도록 기획했다.
다이제스트(Digest)는 ‘요약’ ‘소화하다’라는 뜻을 갖는다. 요약은 자신이 소화한 내용으로 자기만의 이해의 속도를 정리하는 일이다. 다이제스트를 통해 속도와 깊이를 갖는 독서의 방식을 고민했다. 독자들과 나눌 수 있는 고민이기를 고대하며 다이제스트를 통해 작지만 단단한 독서가 가능하길. 새로운 독서와 독자의 자리를 고민했다. 조금 다르고 특별한 읽기를 통해 부정적 긍정성으로서 읽기의 효용을 생각했다.
범우다이제스트를 통한 세계문학의 복기. (편집자의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