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사 1 / 박형진 박사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선교학 교수)
추천사 2 / 오현주 박사 (횃불트리니티신학대학원대학교 기독교교육학 교수)
저자 서문
제1부 질적 연구
제1장 연구 방법론과 철학
1. 연구자의 철학적 입장은 무엇인가?
2. 주요 철학적 패러다임들은 무엇인가?
제2장 질적 연구
1. 양적 연구와 질적 연구의 차이는 무엇인가?
2. 질적 연구란 무엇인가?
3. 질적 연구는 어떻게 설계해야 하는가?
제3장 질적 연구와 면담
1. 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의 타당성은 무엇인가?
2. 면담은 어떻게 행하는가?
3. 근거 이론 면담의 원리는 무엇인가?
제4장 질적 연구와 분석
1. 개념화는 왜 중요한가?
2. 민감성은 어떻게 제고하는가?
3. 질적 자료 분석을 위한 전략은 무엇인가?
4. 메모 작성은 왜 중요한가?
제2부 근거 이론
제5장 근거 이론의 역사
1. 근거 이론은 어떻게 시작하였는가?(근거 이론의 발견, 1967년)
2. 근거 이론은 어떻게 발전하였는가?
3. 근거 이론에 관한 기술 예문
4. 이론적 틀에 관한 기술 예문
제6장 근거 이론과 자료 표집
1. 근거 이론의 표집은 어떻게 하는가?
2. 이론적 표집과 전통적인 표집의 차이는 무엇인가?
제7장 이론화 과정
1. 이론이란 무엇인가?
2. 코딩이란 무엇인가?
3. 코딩 시 주의할 사항은 무엇인가?
4. 초기 코딩이란 무엇인가?
5. 지속적 비교 분석 기법은 왜 중요한가?
6. 초점 코딩이란 무엇인가?
7. 범주들의 비교는 왜 중요한가?
8. 이론적 코딩은 무엇인가?
9. 핵심 범주는 어떻게 생성하는가?
제8장 이론적 통합 기법
1. 통합을 도와주는 기법은 무엇인가?
2. 스토리 라인 쓰기의 목적은 무엇인가?
3. 스토리 라인으로 패러다임을 어떻게 생성하는가?
4. 왜 통합적 도표를 만드는가?
5. 통합적 도표를 통한 비교 분석은 어떻게 하는가?
6. 결과 보고의 내용은 무엇인가?
7. 왜 핵심 범주의 타당성을 제시하는가?
8. 이론에 따른 패러다임과 모델 생성의 예
9. 발견한 내용와 선행 연구와의 토론은 어떻게 하는가?
10. 이론의 적용은 어떻게 작성하는가?
제9장 연구 결과 작성하기
1. 연구 보고서는 어떻게 작성하는가?
2. 연구 과정의 성찰
3. 연구 분석 보고서를 어떻게 배열하는가?
제3부 프로포절과 서론
제10장 연구 프로포절은 어떻게 작성하는가?
1. 프로포절의 내용은 무엇인가?
제11장 서론은 어떻게 작성하나?
1. 서론의 구성 요소
.참고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