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대각 국사(2019)

대각 국사(2019) 7·9급 및 경찰직 공무원 시험 대비

  • 오태진
  • |
  • 윌비스
  • |
  • 2018-04-19 출간
  • |
  • 750페이지
  • |
  • 210 X 270 mm
  • |
  • ISBN 9791159625008
판매가

40,000원

즉시할인가

36,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6,00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책속으로 추가]

공시생 ○○에게 노량진 생활이 남긴 것
다시 한 해를 보낸 33살의 ○○은 다시 마음을 다잡고, 합격 커트라인이 낮은 직렬로 목표를 수정하고 다시 공부를 시작합니다. 하지만...
“지난 20년 동안 공부를 단 한번도 열심히 해본 적이 없기에 의자에 1시간 앉아 있는 것도 자신에겐 힘들다는 사실을 공시공부 4년차에 알게 되었다. ○○은 그날 화장실에서 조용히 울었다. 공부하려는 마음가짐은 생겼지만 따라 주지 않는 자신의 몸이 너무 싫었다. 노량진으로 올라온 지 3년, ○○은 그렇게 진짜 공시공부를 시작했다. 남들만큼 열심히 공부하고 남들만큼 책도 보고 문제도 풀었다.”(136-137쪽)
공무원 시험 합격의 영광은 ○○에게 끝내 찾아오지 않았습니다. 다섯 번째 도전에서도 불합격한 후 ○○는 시험 준비를 그만두고 노량진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갑니다.
(중략)
하지만 "노량진"이라는 장소가 가진 압박감과 그곳에서의 삶이 가진 척박함에는 공통적으로 공감하지 않았을까 생각합니다. 최근 한 드라마에서 그린 노량진 학원가의 모습을 지나치듯 본 적이 있습니다. 좋은 자리에서 수업을 듣기 위해 새벽에 나와 자리를 맡으려 길게 줄을 서고, 밥 먹는 시간조차 아까워 책을 보고 걸어가며 밥을 먹습니다. 모두가 이렇게 열심히 시험을 준비합니다. 하지만 합격자는 지원자의 채 3%가 되지 않습니다.
(하략)
여러분. 어떻습니까. 저는 13년 동안 공무원 한국사를 강의해왔던 강사입니다. 말 그대로 수도 없이 많은 합격생을 배출한 ‘강사’입니다. 지금도 시청, 구청, 주민센터, 소방서, 경찰서, 우체국, 도서관 등 어디를 가도 저를 알아보고 인사를 해오는 분들이 많은 ‘전문가’입니다.
그러나 2등, 3등 정도 하는 강사입니다. ^^
저는 여러분에게 편한 길을 제시하는 강사가 아니어서 그렇습니다. 모두가 편하고 쉬운 길을 택하려고 합니다. 그런데 저는 여러분이 가기 싫은 방법을 강요합니다.
“이것만 봐라”, “양을 줄여준다” “이 안에서 다 나온다”
저는 이런 얘기를 하지 않습니다.
‘암기과목 한국사’의 가장 정확한 개념과 그 연결고리를 이야기 해드리는 강사입니다.
그러니, 양을 줄여주기보다는 매 강의마다 새로운 얘기를 해드리게 되지요.
그래서 재미가 생깁니다. 제가 재미있는 사람이어서가 아니라, 한국사에 재미를 알게 해드려서, 한국사를 스스로 공부할 수 있게 해드리는 강사입니다.
여러분에게 있어 기본서는 끝까지 들고 가야 하는 ‘바이블’입니다. 이걸 손에 놓으면 안됩니다.
1. 한국사 기본서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습니다.
그러나 기본서로 공부하는 것이 어렵다는 학생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중학교 올라가는 순간 더 이상 입시와 무관한 책은 읽을 수 없습니다. 심지어 책 읽으면 손해라고 생각하죠. 그러니 대학 들어가서는 좀 어려운 책은 읽지를 못합니다. 읽어도 취업서입니다. 뭐, 한마디로 대한민국이 무식해진 거죠. 교양의 암흑기랄까요. 이런 현상이 어떤 종류의 인간을 만들어 낼 거냐 하면, 생각하지 않는 인간, 태도가 없는 인간입니다. 그래서 앞으로가 뻔한 거에요. 표피적인 사회, 질문과 호기심이 사라진 사회, 무식한 대한민국이죠.”
-장대익 서울대 자유전공학부 교수의 탄식

고등학생 때나, 대학생 때, 선생님이나 친구들이 준 프린트(유인물)로 대충 시험을 때우면서 공부해왔기 때문에, 공무원 시험을 준비하면서도 잘 요약되어 있는 이른바 ‘족보’같은 얇은 요약서 등으로 공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결과는 어떨까요. 100명이 시험 준비를 한다고 했을 때, 단 3명만 합격합니다. 97명은 결국 실패하고 말지요. 그러면 97명은 공부를 덜 한걸까요? 아닙니다. 생존과 생활이 걸려 있는 시험이기 때문에 잠을 줄여가며 노트줄을 서가면서 죽을 힘을 다해서 공부합니다. 그런데 실패합니다.

오태진이 분석한, 한국사 공부 유형 3가지!
학생들은 ‘3가지 유형’으로 한국사를 공부합니다.

학습량
유 형
한국사 자가 진단 유형
상대적으로 많음
A
기본서와 기출문제집 위주로, 다회독을 통해 공부
타 과목과
거의 같음
B
ㆍ기본서보다는, 요약서(노트류)와 문제풀이 위주로 공부
ㆍ흐름 파악과 개념 정리는 어느 정도 되었다고 생각하지만 암기가 안되어 있을 뿐이라고 여김
보통
C
ㆍ유명하다는 강사의 강의를 2번 이상 수강.
ㆍ성적이 오르지 않아, 강사를 바꿔보면서, 강의 위주로 공부
ㆍ어떻게 복습하는지 몰라서 자습이 거의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


‘3가지 유형’에 따른 실제 한국사 시험 체감 난이도 및 득점 예상

A 유형
(10%)
ㆍ비교적 빠르고 정확하게 정답을 골랐음.
ㆍ난해한 문제가 출제되도 정답을 고를 수 있었음.
ㆍ간혹 실수를 통해 2, 3개 정도를 틀렸을 수 있음
B 유형
(25%)
ㆍ자주 접해본 문제는 쉽게 정답을 고름
ㆍ느낌으로 푼다는 생각을 할 때가 많음
ㆍ선택지 4개 중에 2개는 쉽게 제외하나 항상 2개 중에 고민하는 경우가 많음
C 유형
(50%)
ㆍ아는 문제가 나오면 되게 반가움
ㆍ문제를 읽고는 있는데 무엇을 물어보는 문제인지 모르는 문제가 더 많음
ㆍ‘아~ 문화사 어떡하지?’라는 생각을 하면서도, 문화사는 공부하기 싫음
ㆍ조선시대부터 근현대사까지 1번 이상 제대로 끝까지 완강한 적이 없음
ㆍ똑같은 내용인데 밑줄 및 필기를 반복하는 경우가 많음
ㆍ근현대사 수업은 듣고는 있는데, 차라리 그 시간에 다른 과목에서 점수를 더 올리면 되지. 하는 생각이 떠나지 않음

※ 유형에 따른 득점률
A 유형 : 20개 중에 18~20개 득점
B 유형 : 20개 중에 15개~17개 득점
C 유형 : 짜증날까봐 채점하지 않음

다시 한번 강조합니다.
여러분들은 A유형의 수험생이 되어야 합니다. 합격한 제 제자분들은 대부분 A유형이었습니다. B유형과 C유형에 해당하는 학생들은 빨리 공부 방법을 바꿔야 합니다. 가능한 빨리!
자, 기본서를 펴시고 제 기본 강의를 최소 2회는 들어주세요. 꾹 참고 두 번만 들어주세요.
공부의 재미를 알게 됩니다. 합격의 길로 갑니다.

2018년 4월
저자 오태진


목차


제1편 역사학의 바른 이해
제1장 역사학의 연구 방법론 2
01 역사의 의미 2
02 역사 학습의 목적 3
03 한국사의 바른 이해 3
제2장 한국사의 사관(史觀) 6
01 일제의 식민사관 6
02 민족주의 사관 8
03 사회 경제 사학 13
04 문화 사학 14
05 실증주의 사학 14

제2편 문명의 형성과 고조선의 성립
제1장 선사 시대의 전개 18
01 선사 시대의 시작 18
02 한반도의 구석기 시대 19
03 돌을 갈아서 사용한 신석기 시대 21
제2장 고조선의 성립과 발전 26
01 청동기 문화가 나타나다 26
02 최초의 국가 고조선이 성립하다 30
03 고조선의 발전 32
제3장 여러 나라의 발전 38
01 초기 국가의 발전 38

제3편 고대 사회의 발전
제1장 고대 국가의 정치적 발전 48
01 고대 국가의 성립 49
02 남북국 시대의 정치 80
03 고대 국가의 통치 체제 93
제2장 고대의 경제 100
01 삼국 시대의 경제 생활 100
02 남북국 시대의 경제적 변화 104
제3장 고대의 사회 112
01 삼국 시대 112
02 남북국 시대 117
제4장 고대의 문화 120
01 고대의 신앙과 학문 120
02 고대의 과학과 예술 130

제4편 중세 사회의 성립
제1장 고려의 정치 146
01 후삼국과 민족의 재통일 146
02 고려 전기의 정치적 변화 149
03 고려 중기 문벌 귀족 사회의 성립과 동요 158
04 고려 전기의 통치 체제 162
05 무신정권 174
06 고려의 대외 관계 179
07 고려 후기의 정치 상황의 변동 186
제2장 고려의 경제 198
01 경제 정책 198
02 고려 시대 신분에 따른 경제적 기반 208
03 고려 시대의 경제 활동 210
제3장 고려의 사회 216
01 고려의 신분 제도 216
02 백성의 생활 모습 222
제4장 고려의 문화 228
01 불교 사상과 신앙 228
02 중세 유학의 발달 236
03 귀족 문화의 발달 252
제5편 근세 사회의 성립
제1장 경국대전 체제의 성립 262
01 조선의 건국 262
02 조선 정치 체제의 정비 267
03 조선 전기 경국대전 체제 277
04 조선 전기의 대외 관계 293
05 사화(士禍)의 발생 296
06 붕당(사림) 정치 302
07 일당 전제화의 대두와 탕평책(蕩平策) 315
08 세도 정치의 전개 325
09 조선 후기 대외 관계의 변화 332
제2장 조선의 경제 336
01 토지 제도 336
02 조세 제도와 국가 재정 운영 341
03 조선의 경제 활동 전개 353
제3장 조선의 사회 370
01 양반 관료 중심의 사회 370
02 향촌 사회의 조직과 운영 377
03 사회 정책과 가족 제도 382
04 사회 변혁의 움직임 384
제4장 조선의 문화 390
01 성리학 통치 이념 정착 390
02 주자성리학 VS 실학?양명학 395
03 불교와 민간 신앙 407
04 역사서의 편찬 409
05 지도, 지리서, 법전, 백과사전의 편찬 415
06 조선의 문학 418
07 건 축 422
08 공 예 424
09 그림과 글씨 426
10 조선의 과학 기술 431
11 한국의 세계 유산 441
제6편 근대 사회의 성립
제1장 외세의 침략적 접근과 개항 458
01 19세기 세계 정세 458
02 흥선대원군의 집권과 통상수교 거부 459
03 개항과 개화 정책의 추진 462
04 동학 농민 운동 476
05 갑오개혁과 을미개혁 480
06 독립협회와 광무개혁 484
07 일제의 국권 침탈 489
08 항일 의병 투쟁과 애국 계몽 운동 495
제2장 개항 이후 경제와 사회 506
01 열강의 경제 침탈 506
02 경제적 구국 운동의 전개 508
제3장 근대 문물의 수용 512
01 근대 문물과 시설 512
02 언론 기관 513
03 근대 교육과 국학 연구 515
04 개화기의 문학 518
05 종교의 새 경향 521

제7편 일제의 식민 통치와 민족의 독립 운동
제1장 일제의 국권 강탈과 식민지 정책 528
01 무단 통치의 실시 (1910~1919) 528
02 민족 분열 통치 (1919~1931) 532
03 민족 말살 통치(1931~1945) 537
제2장 민족의 독립 운동 542
01 1910년대 국내?외의 독립 운동 542
02 3?1 운동 547
03 대한민국 임시정부 551
04 3?1운동 이후 국외의 독립전쟁의 전개 558
05 3?1운동 이후 국내의 독립 운동(1919~1945) 566
06 민족 문화 수호 운동 576

제8편 분단국가의 성립과 통일을 위한 노력
제1장 해방 이후의 통일국가 수립운동과 실패 584
01 건국 준비 활동과 8?15 해방 584
02 분단 국가의 수립 590
제2장 대한민국의 발전과 민주주의 592
01 이승만 정권 - 제1공화국 592
02 장면 내각 - 제2공화국(1960. 8~1961. 5) 600
03 박정희 정부의 성립 602
04 전두환 정부(제5공화국, 1981~1987) 608
05 노태우 정부(제6공화국, 1988~1992) 612
06 김영삼 정부(1993~1997) - ‘문민 정부’ 613
07 김대중 정부(1998~2002) - ‘국민의 정부’ 615
08 노무현 정부(2003~2007) - ‘참여정부’ 616
09 이명박 정부 - ‘실용 정부’ 616
10 박근혜 정부 617
제3장 고도성장과 사회 모습의 변화 622
01 이승만 정부 622
02 박정희 정부 623
03 1980년대 이후의 경제 정책 - ‘개방경제체제의 전개’ 626
04 1990년대 이후의 경제 정책 627
제4장 한반도 통일 정책 630
01 이승만 정부 630
02 4?19 혁명 이후의 통일 정책 630
03 박정희 정부의 통일 정책 631
04 전두환 정부의 통일 정책 633
05 노태우 정부의 통일 정책 634
06 김영삼 정부의 통일 정책 638
07 김대중 정부의 통일 정책 639
08 노무현 정부의 통일 정책 640
09 이명박 정부의 통일 정책 642
10 박근혜 정부의 통일 정책 643
11 헷갈리기 쉬운 통일 정책 구분하기 643
제5장 대한민국의 교육 648
01 이승만 정부의 교육 정책 648
02 4?19 이후 학원 민주화 운동 650
03 박정희 정부의 교육 정책 651
04 전두환?노태우 정부의 교육 정책 653
제6장 대한민국의 사회 및 문화의 변화 656
제7장 북한 정권의 수립 664
01 해방 공간의 북한 정부 수립 과정 664
02 6?25 전쟁 이후 북한의 정치 상황의 변동 665
03 1960년대 667
04 1970년대 668
05 1980년대~1990년대 668
06 김정은 체제(2011~현재) 669

부 록
ㆍ대각국사 연표 672
ㆍ한국현대사 연표 682
ㆍ역대 왕조 계보도 713
ㆍ찾아보기(INDEX) 722

저자소개

저자 : 오태진
고려대학교 문과대학 한국사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대학원(석사) 한국사학과 수료
현) 서울 아모르이그잼고시학원 한국사 전임 교수
현) KOSTORY. CO. LTD (주) 설립 운영
전) EBS(교육방송) 한국사 강사
전) 강원대학교 특강 교수
전) 금강대학교 교양한국사 강사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