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1952 부산, 이승만의 전쟁

1952 부산, 이승만의 전쟁

  • 주인식
  • |
  • 기파랑
  • |
  • 2018-04-10 출간
  • |
  • 480페이지
  • |
  • 150 X 220 mm
  • |
  • ISBN 9788965236559
판매가

23,000원

즉시할인가

20,7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공산군, 안티 국회, 미국의 물밑작전에 맞서 싸우다

제1대 제헌 국회의원의 임기는 2년, 초대대통령 임기는 4년이었다. 건국 2년이 채 안 된 시점에 침략전쟁을 당하고, 포화 속에서 탄생한 제2대 국회는 반(反) 이승만 일색이었다. 피란지에서 대통령 임기 만료를 앞둔 이승만은 국회 간선제로는 승산이 없었다. 하지만 국민 대다수는 이승만을 국부(國父)로 숭앙(崇仰)하던 시절. 직선제 개헌은 국내정치적으로 재선(再選)을 위한 이승만의 승부수였다. 제1차 개헌의 첫 번째 팩트다.
미국도 이승만에 우호적이지만 않았다. 서구식 민주주의를 익히고 반공 사상이 투철한 이승만을 자유세계의 보루로 삼고 지원하던 미국이지만 휴전을 한사코 반대하는 고집불통 늙은이를 대체할 ‘차기’를 모색할 때가 됐다. 그러나 미국은 유엔을 대표하여 한국과 대(對) 공산 전쟁 연합작전의 파트너였고, 노골적인 내정 간섭은 천만부당한 일이었다. 이승만은 전쟁이나 다름없는 전격적 개헌과 재선으로 미국의 입을 닫아 버렸고, 그 힘을 바탕으로 공산 침략군에 맞서 자유 대한민국을 지키고, 미군의 잔류를 얻어 내는 데 성공했다. 제1차 개헌의 두 번째 팩트다.
다른 세력들도 가만히 있지만은 않았다. 안티 이승만으로 똘똘 뭉친 국회 내 야권의 반발, ‘차기’ 또는 그 아래 한 자리를 상정한 야권의 장면과 김성수, 여권의 장택상과 이범석의 물밑 암투. 대한민국을 위한 결정적인 행운은, 어쩌면 5.16보다 9년 앞선 이때 우리나라 최초의 군사쿠데타가 일어났을 수도 있었을 것을, 군 스스로 자숙했다는 사실이다. 피란지의 6.25 기념식장에서 연설하는 대통령의 뒤에서 저격범이 권총을 겨눈 순간(불발로 미수), 30대 중반 박정희(당시 대령, 육군본부 작전차장), 그보다 열 살 어린 정치 새내기 김영삼(장택상 비서) 등의 사진자료는 덤이다. 더 이상은 스포일러.

양날의 칼, 민의(民意)를 다시 생각한다

“나는 처음 헌법을 만들 때부터 국민들이 대통령을 직접 뽑아야 한다고 했어. 그때 많은 사람들이 한국 국민들은 아직 민주주의에 익숙하지 않다고 했지. 미국 사람들조차도 간선제가 맞다고 했어. 그래서 내가 할수없이 동의를 했던 거야. 그러나 그건 조건부 동의였어. 한국 국민이 민주주의를 할 만한 능력을 보여 주게 될 때에는 그 권리는 국민에게 돌려줘야 한다는 단서로 말이야. 그런데 바로 지금 그럴 때가 됐어. 이제는 대통령 선출권을 국민에게 돌려줘야 해!” (이승만 발언, 82-83쪽)
“물론 민주주의 체제라는 것이 효율적으로 보이지 않을 때도 있겠지요. 그러나 장기적으로 그렇게 하는 것이 이익이 되어 돌아오는 것이 민주주의의 특징이 아니겠습니까? 국민들은 기본적으로 올바른 방향을 선택하니까요.” (로버트 올리버 발언, 52쪽)

어떤 세력은 권력을 위해 직선제에 기댔고, 또 어떤 세력은 간선제에서 돌파구를 찾았다. “국민이 이번에도 현명한 판단을 했다”고 반기는 승자의 이면에, “국민이 어리석어서”라는 울분을 차마 표출 못 하고 속으로 삭이는 패자도 없지 않을 터다. 직선제나 민의(民意)는 절대선인가? 또는, ‘선과 악을 넘어서’ 있는 그 어떤 것인가? 열 번째 개헌을 둘러싸고 저마다 다른 계산으로 민의를 들먹이는 시대에, 생각할 거리를 던져 주는 책이다.


목차


서문 5

I 부산으로 1950년 6월~7월
전쟁 발발 / “하나님 곁으로 데려갈 티켓”

II 임시수도 첫 해 1950년 여름~1951년 여름
정쟁(政爭)의 먹구름 / 미국의 계산 / 하와이에서 부산까지 / 조병옥과 장면

III 간선이냐 직선이냐 1951년 8월~1952년 2월
이범석의 야심 / 자유당 창당 / 총리비서실장 선우종원 / “대통령 선출권을 국민에게 돌려줄 때” / 백골단과 의원소환운동 / 의원들의 반격

IV 장택상의 부상(浮上) 1952년 2월 15일~5월 8일
“장면이가 어서 와야 대통령질을 하지!” / 장택상의 훼방 / 원용덕의 군 복귀 / 선결후선(先決後選) 대 선선후결(先選後決) / 서울시경국장 윤우경 / 지방선거 전야의 총성 / 국무총리 장택상

V 군(軍)의 반정(反正) 구상 1952년 5월 7일~5월 24일
트루먼과 클라크 / 거제도 포로수용소 / “적은 38선뿐만 아니라 부산에도” / “United we stand, divided we fall” / 작전차장 박정희 / “대통령을 죽여야지” / “서민호를 사형시켜라” / 삼우장파와 신라회 / 무초 대사 / “나는 살날이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VI 이범석과 장택상의 경쟁 1952년 5월 24일~5월 29일
밀봉된 사전 모의투표 / 비상계엄 선포 / 통근버스째 끌려간 의원들 / 대한민국정부혁신 전국지도위원회 / 이범석과 나치즘 꼬리표 / <육군 장병에게 고함> / 라이트너와 밴 플리트의 항의 방문 / “귀관은 어찌하여 반역하는가” / 대통령의 고집

VII 미국의 결단 1952년 5월 29일~6월 6일
백악관 회의와 라이트너의 협박 / 형식뿐인 취조 / 미군 병원의 김성수와 장면 / “육본 결심 변함없다!” / 유엔의 개입 계획과 클라크의 결심 / 국회 해산 최후통첩 / “한국에는 지도력 있는 사람이 있어야” / “나는 전선으로 가 싸우다 죽을 것입니다”

VIII 동요하는 의원들 1952년 6월 11일~6월 20일
대통령 임기 만료일 논란 / 골격 드러낸 발췌개헌안 / “정국 수습의 책임을 일임하네” / 굿캅, 배드캅 / 반독재 호헌구국선언대회 / 도피한 의원들의 분열

IX “국회는 자폭하라” 1952년 6월 21일~ 6월 28일
“헌법에는 탄핵 규정이 있습니다” / 대통령 저격 미수 / “대통령을 죽여 이름을 남기려 했다” / “특사(特赦)를 약속받았다” / ‘화씨벽’ 개헌안 / 시위대에 뺨 맞은 총리

X 대한민국 첫 번째 헌법 개정 1952년 6월 30일~7월 5일
폴리스 가이드 / “버티면 미국이 개입한다” / 7월 4일 ‘Independence Day’ / 비 내리는 무덕관 / 개헌안 통과 후


참고자료
부록 ‘부산정치파동’ 일지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