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한비자집해 2

한비자집해 2

  • 왕선진(집해)
  • |
  • 전통문화연구회
  • |
  • 2018-03-15 출간
  • |
  • 429페이지
  • |
  • 190 X 259 X 21 mm /869g
  • |
  • ISBN 9791157941629
판매가

43,000원

즉시할인가

41,71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1,71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비자집해韓非子集解≫, ≪한비자韓非子≫ 연구의 종합서 『한비자집해』. ≪한비자≫는 법가法家의 대표자인 한비자의 사상을 연구하는 데 매우 귀중한 자료이다. 당唐나라의 이찬李瓚이 처음 ≪한비자≫를 주석하였으며, 이후로 청淸나라 노문초盧文 , 왕염손王念孫, 유월兪 등이 정리 교감하였다. 청나라 말기에 이르러 왕선신王先愼이 제가諸家들의 원문을 종합 교감하여 1895년 ≪한비자집해≫를 완성하였다.

왕선신은 당시 학계의 태두泰斗로 인정받던 왕선겸王先謙의 종제從弟로, ≪한비자≫ 판본 가운데 가장 선본善本인 건도본乾道本을 중심으로 여섯 가지 이상의 주요 판본을 비교하여 오류를 바로잡았다. 이 책은 ≪한비자≫ 최초 주석인 이찬의 주를 그대로 싣고, 그간 여러 학자들이 제시하였던 주석이나 교감을 반영한 뒤 왕선신 자신의 종합적인 견해를 제시함으로써 ≪한비자≫ 연구의 결실을 이루었다는 의의가 있다. ≪한비자집해≫는 한비자를 연구하는 학자들의 기본서가 되어 현재까지도 ≪한비자≫ 연구의 대표서로 인정받고 있다.

한비자韓非子와 ≪한비자韓非子≫
한비자(B.C. 280~B.C. 233)는 진秦나라가 천하를 통일할 무렵인 전국시대 말기 인물로, 이름은 비非이며 한韓나라 공자公子출신이다. 한비자에 관한 기록은 ≪사기史記≫ <노자한비열전老子韓非列傳>에 상세하게 보이며, ≪전국책戰國策≫ <진책秦策>, ≪사기≫ <진시황본기秦始皇本紀> <한세가韓世家> <육국표六國表> 등에서 산견散見된다.
≪사기≫에 의하면 한비의 저술은 생전이 이미 세상에 알려져, 진 시황秦始皇이 ≪한비자≫ <고분孤憤>과 <오두五 >를 보고 감탄을 하였다는 기록이 보인다. 한韓나라는 전국칠웅戰國七雄 가운데 최약체였을 뿐 아니라 중원 한 가운데 위치하고 있었으므로 강성해져가는 진秦나라의 위협에 안심할 수 없었다. 이에 한비자는 진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한나라를 보존해야 함을 역설하다가, 그의 벗인 이사李斯의 꾐에 넘어가 옥獄에서 독을 먹고 자살한다.
≪한비자≫는 55편 20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예로부터 <고분孤憤>, <오두五 >, <내저설內儲說>, <외저설外儲說>, <설림說林>, <세난說難>은 한비자가 직접 지은 것이라는 데 이견이 없지만, 제가의 고증에 따르면 이외의 편들은 한비자가 죽은 뒤 그의 제자들에 의해서 덧붙여진 기록이라고 하였다. 그러나 현재 대다수의 학자들은 특히 의심스러운 몇 편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한비자가 지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한비자≫에는 한비자가 처음 진나라에 가서 진 시황을 만나 유세한 기록을 담은 <초견진初見秦>과 한나라를 멸망시키지 말고 보존해야 함을 주장한 <존한存韓>이 가장 처음에 위치한다. 이외 각 편의 순서가 특별한 의미를 담고 있는 것은 아니며, 편명은 각 편의 내용을 대표할 만한 단어로 선정되어 있다.

한비자韓非子와 법가사상法家思想
한비자는 법가法家의 대표적인 인물이다. 한비자 이전에 법치法治를 주장한 상앙商 , 신불해申不害, 신도愼到가 있었으나, 유독 한비자를 법가의 대표 사상가로 여기는 것은 무슨 이유인가
한비자는 그의 스승인 순자荀子의 영향을 받았으나 ‘예禮’에 의한 교화敎化에 역점을 둔 순자보다 한걸음 더 나아가, 상賞과 벌罰을 수단으로 하는 ‘법法’에 의한 다스림을 주장하였다. 한비자는 <육반六反>에서 부모가 아들과 딸을 대하는 태도가 ‘계산적인 마음[計算之心]’에서 나옴을 주장하면서 상벌의 효용效用을 역설하였다. 결국 정령政令으로 계도하고 형벌刑罰로 다스려야 천하의 태평을 보증할 수 있으며, 군주는 도덕이나 인륜적 교화에 힘쓸 것이 아니라 ‘세勢’에 의지하고, ‘술術’을 쥐어야 하며, ‘법法’을 집행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여기에서 법을 강조한 상앙과 술을 강조한 신불해, 세를 강조한 신도의 사상이 한비자의 통치술로 융합된다. 이후 한비자의 사상과 그의 저술 ≪한비자≫는 법가 사상을 종합한 결과물로서의 가치를 인정받아왔다.
한편 흥미로운 점은 ≪사기≫에서 그의 사상이 노장老莊에 뿌리를 두었다고 평가한 대목이다. ≪한비자≫에는 최초의 ≪노자≫ 주석인 <해로解老>와 <유로喩老>가 존재하며, <양권揚權>과 <주도主道>에도 도가道家에서 주장하는 ‘무위지치無爲之治’를 인용하고 있는 점이 확인된다. 결국 한비자가 추구한 법치는 궁극적으로 인위성이 배제된 자연의 법칙을 따르는 ‘도치道治’를 지향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목차


東洋古典譯註叢書를 발간하면서
凡 例
參考書目

第十二 說難篇 제12편 유세의 어려움
第十三 和氏篇 제13편 화씨
第十四 姦劫弑臣篇 제14편 간사하고 겁박하고 시해하는 신하
第十五 亡徵篇 제15편 나라가 멸망할 징조
第十六 三守篇 제16편 세 가지 지켜야 할 것
第十七 備內篇 제17편 내부를 방비하라
第十八 南面篇 제18편 군주의 자리
第十九 飾邪篇 제19편 사특함을 경계함
第二十 解老篇 제20편 ≪老子≫를 해석하다
第二十一 喩老篇 제21편 ≪老子≫로 비유하다
第二十二 說林 上篇 제22편 설림 상
第二十三 說林 下篇 제23편 설림 하

附錄
1. ≪韓非子集解2≫ 圖版目錄
2. ≪韓非子集解≫ 解題(QR코드)
3. ≪韓非子集解≫ 總目次(QR코드)
4. ≪韓非子≫ 講義紹介(QR코드)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