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5 ~ 2018 수능 기출의 과학적 분석
2018 지방직, 교행직, 서울시 시험을 대비할 수 있는 공무원 사회 파이널 정리
100개의 쟁점으로 이론 정리부터 대표 출제 유형까지 완벽 대비
지방직/교행직/서울시 대비 – 2018 민준호 수능기출 사회 BEST 100
예전만큼은 아니지만 대학수학능력 시험은 아직까지 대한민국에서 가장 많은 관심을 받는 시험입니다. 수많은 출제자들과 검수위원들이 한 달여 동안 합숙을 하면서 다듬고 또 다듬어서 문제를 만들어 냅니다. 문제의 오류에 대한 시비가 없었던 것은 아니지만 20년이 넘는 세월을 생각했을 때 매우 낮은 수준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공무원 시험은 그렇지 못합니다. 충분한 예산도, 경험 있는 출제자들도 확보되어 있지 못한 것이 사실입니다. 이러다보니 공무원 사회 시험이 도입되고 얼마 되지 않았을 때는 문제의 완성도가 떨어지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최근 몇 년간은 문제의 완성도가 아주 높아졌는데, 이는 자체적으로 문제를 만드는 것을 포기하고 수능 문제를 변형하거나 이를 참조하면서 출제함에 따라 나타난 현상입니다.
따라서 수능에서 자주 출제되는 것들은 공무원 사회 시험에서도 많이 출제될 수밖에 없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이에 착안하여 「수능기출 사회 Best 100」을 제작하게 되었습니다.
이 교재의 제작 과정은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2005학년도부터 2018학년도까지 출제된 법과정치, 경제, 사회문화 문제를 빠짐없이 풀어보고 쟁점별로 문제를 분류했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엑셀 프로그램을 이용해서 문제를 연도별, 쟁점별로 나눈 표를 만들었습니다. 쟁점별 출제 빈도 순위를 정하고 이 순위를 바탕으로 100개의 문제를 선정했습니다.
문제를 선정하는 것이 별것 아닌 것처럼 보이지만, 이 교재를 제작하는 과정에서 가장 많은 정성을 쏟은 부분입니다. 눈에 잘 띄지는 않지만 수험생들에게 양질의 문제를 접해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기 때문에 교재의 완성도에 있어 성패를 결정짓는 중요한 문제라고 인식했습니다.
문제를 선정함에 있어서 첫 번째 기준은 하나의 문제가 가급적이면 다양한 쟁점을 다루는 것이었습니다. 이런 문제를 풀어보면 한 문제를 풀어도 여러 가지를 공부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또한 지나친 추론형 문제는 배제했고, 최근의 출제 트렌드에 벗어나는 문제도 배제했습니다.
문제를 선정한 다음에 각 문제마다 역대 수능에서의 출제 빈도와 공무원 사회 시험에서의 출제 빈도를 기록해 넣었고 문제별 중요도를 평가하여 반영했습니다. 수능에서 수험생들의 선지별 선택 비율을 표시해서 문제의 객관적 난이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혹시 수험생들이 공부를 하다가 부족한 부분을 느낄 때 방향을 잡아주기 위해 이 문제가 어렵다는 생각이 들면 봐야할 기본서와 기출문제집의 페이지를 일일이 표시해두었습니다.
이렇게 문제 선정과 Data 삽입을 마친 다음에는 핵심 이론을 정리해서 넣었습니다. 이 교재만으로 사회 과목을 전체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2017 수능기출 사회 Best 100」보다 이론 정리의 분량을 대폭 늘렸습니다.
수능 문제는 공무원 사회 시험보다 난이도가 높습니다. 4개의 선지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는 공무원 시험과 달리 5개의 선지 중 선택을 해야 하기 때문에 하나의 문제가 다루는 쟁점도 더 많습니다. 따라서 100개의 쟁점이지만 공무원 사회 시험의 심화 내용을 학습할 수 있고, 출제 확률이 높은 주요 쟁점에 대한 이론을 동시에 정리할 수 있는 유용한 수단이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