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베트남(2천년시간여행)

베트남(2천년시간여행)

  • 조성원
  • |
  • 해드림출판사
  • |
  • 2018-03-25 출간
  • |
  • 440페이지
  • |
  • 155 X 227 X 20 mm /658g
  • |
  • ISBN 9791156342755
판매가

15,000원

즉시할인가

13,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조성원의 [베트남 2천년 시간여행], 베트남에 대한 소극적 기억보다는
동반자 적인 새로운 친밀관계를 위한 베트남 읽기

[2천 년 로마 이야기], 2천 년 스페인 이야기]를 출간한 바 있는 조성원 작가가 이번에는 [베트남 2천년 시간여행]을 출간하였다. 수차례 베트남 여행을 다녀온 저자가, 특히 우리에게 친숙한 나라이면서도 고정관념처럼 박힌 베트남에 대한 소극적 인식을 극복하고, 친밀하면서도 동반자적 관점에서 베트남을 이해하고 알리는 데 주력한 책이다.
베트남에 대한 우리의 첫 번째 기억은 무엇보다 베트남 전쟁, 즉 ‘월남전’이다. 어느 때 극장가에서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던 영화 "님은 먼 곳에"처럼, ‘월남전’ 세대의 머릿속에는 전쟁의 포화가 넘쳐나고, 부산항 부두에서 청룡, 맹호부대 군인들을 선박에 태우고, 태극기를 흔들면서 맹호부대를 부르던 그 기억이 여전히 생생할 것이다.
요즘 우리 시골에는 베트남 여성들이 흔하다. 최근 시골에서는 신부 감으로 제일 많이 선호하는 나라 베트남을 다음으로 떠올리게 된다. 월남 파병과 돈벌이, 뀌년, 하노이 국자감 그리고 공산주의자 호치민의 영묘 등등 베트남을 대하는 우리는 이처럼 상당히 피상적이다. 잊었다지만 결코 지을 수 없고 현재 또 다시 가깝게 다가서는 베트남을 단순히 한낱 앙코르와트에 낀 여행 정도로 취급한다는 것은 실로 부실한 처사라는 것을, 독자는 이 책을 통해 알게 될 것이다.


눈물이 났다.
이런 나라도 다 있구나

베트남의 역사를 들춰보며 저자는 눈물이 났다.
‘이런 나라도 다 있구나. 어쩌면 이리도 우리를 꼭 빼닮은 것인지.’
그들을 제대로 이해하려면 역사를 알아야 한다. 여행 중 저자에게 뀌년을 조심스럽게 묻던 맹호부대 용사의 동행자처럼 아직 베트남 상처는 미처 아물지 않았다. 아니 유수처럼 흘러간 세월이지만 그들의 역사 한 편에 우리가 서 있었음을 제대로 알기는 알아야 한다. 당대 박영한의 쏭바강, 황석영의 탑, 안정효의 하얀 전쟁, 이대환의 슬로우 불릿 등등 많은 소설들이 등장했던 그 추억처럼 전쟁 참여에 따른 후유증은 여전하다.

결코 우리에게 월남 전쟁은 우리의 삶과 무관하지 않다. 거기서 번 돈이 어떻게 쓰였는지는 모르지만 어릴 적 월남에 돈 벌러 갔다는 말은 어디까지나 맞는 말이다. 하지만 단지 이를 기억하자는 것일 뿐, 이 책에서는 굳이 월남 전쟁의 면면을 세세히 적지는 않았다. 요즘 베트남과 우리는 아주 친한 사이가 되었다. 이른 바 세일즈 외교라지만 역대 정상은 김영삼 전 대통령 이래로 임기 중 한 차례씩 베트남을 방문한 바 있다. 2017년 가을 전쟁 참전에 사과를 한 문재인 대통령도 베트남 다낭을 다녀왔다. 과거의 아픔을 딛고 이루어지는 만큼 진정한 교류와 협력은 보다 많이 이해하고 제대로 알아야 돈독해진다.


베트남은 한국의 투자 1위국, 결코 가벼이 여길 수 없는 나라

현재 베트남에 가장 많은 투자를 하는 국가는 어디일까? 바로 우리나라다. 한국은 2002년 이후 3년간, 매년 150~180건의 투자를 해오고 있으며 지난해에는 투자 1위 국가로 부상했다.
진출 기업들은 대체로 투자에 만족하고 있으며 향후 투자환경에 대한 전망도 밝게 보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열악한 인프라 환경(25%), 원·부자재 조달의 어려움(19%), 베트남 정부의 불투명한 행정(17%), 현지 상거래 관행(14%) 등에 대해서는 어려움을 토로했다. 실제로 최근 호치민 시와 인근 동나이 성 및 빈증 성 일대에서는 인력난과 임금 상승이 두드러지고 있다. 베트남은 더 이상 인건비가 싼 나라도 아니고, 저임금 노동력을 활용한 투자를 반기는 나라도 아니다. 이처럼 베트남의 투자환경도 과거와는 많이 달라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새로 베트남에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이 유의해야 할 점은 무엇일까. 외국인의 베트남 투자 진출 방식은 경영협력계약, 단독투자, 합작투자 등 세 가지 방식이 있는데, 합작투자의 경우 ‘전원일치제’라는 독소 조항이 있어, 합작 당사자 간에 의견이 다를 경우 경영상의 어려움이 적지 않게 발생한다. 베트남 진출 초기 기업들은 가장 어려운 점으로 정보 부족(35%), 언어소통(19%), 베트남 정부의 인센티브 부족(12%), 투자지역 선택(11%), 투자형태 선택(10%) 등을 꼽고 있다. 저자는 무엇보다도 그들을 알려면 그들의 역사적 의식이나 정서를 먼저 알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베트남은 그만한 멋과 맛을 지녔다

저자는 베트남을 바로 알자는 측면에서 그간 벼르다가 올해 2월초 다녀온 베트남 남부의 호치민, 달랏, 나짱(나트랑)과 이어 다녀온 베트남 중부 다낭, 후에, 호이안, 미썬을 중심으로 리드미컬하게 이야기를 꾸렸다. 비록 불과 십여 일의 여정이지만 이 책에서는 단순히 물질적 문명의 잣대로서가 아니라 여행을 하며 느낀 그들의 정서, 역사 문화 사회 등을 세밀하게 탐구했으며 솔직하게 고루 표현했다. 읽다보면 독자들은 그들의 교육열, 성실성, 유교사상 등등으로서 우리 정서 그대로 닮았음을 이해하고 그들의 역사를 제대로 알아보리라 믿어 의심치 않는다.

2016년 오바마가 베트남을 다녀갔다. 그가 베트남을 방문한 궁극적인 이유 중 하나는 환태평양경제 동반자 협정(TPP)이었다, 또 한 가지는 "무기 수출 금지 해제"라는 카드였다. 한국의 많은 기업들이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넘어오는 추세에 이런 TPP체결로 인해 베트남의 한국인 유입은 지속적으로 증가 할 것이다. 많은 베트남 사람들은 한국처럼 한강의 기적처럼 "사이공 강의 기적"을 외치고 있다. 올해 미국 대통령 트럼프가 또 베트남을 가려고 한다. 우리도 달라져야 한다. 아픈 과거를 뒤로하고 우리는 같이 일어서야 한다. 섬유산업은 물론 전자, 자동차까지 물밀듯 베트남으로 향하는 지금, 의식도 닮아 갈수록 협력은 증가일로에 있다. 젊은이들은 한류열품의 땅, 베트남으로 향해야 한다. 창출을 이루어야 한다. 성장 동력이 강한 베트남이 바로 우리 눈앞에 있다. 그 정도 경제속도라 한다면 머지않아 풍족한 나라가 될 것임에 틀림이 없다.

베트남은 길쭉해 수차에 걸쳐 여러 번 다녀와야 한다. 다낭에서 돌아온 지 얼마 안됐는데 벌써 또 저자는 나갈 궁리다. 메밀꽃이 화창한 고산지대 북부의 하장성, 역사적 전쟁터인 디엔비엔푸 ,가랑이 논의 싸파, 고산족의 박하가 우선 그 대상인데 베트남의 끝에서 끝으로 홍하델타로 부터 갈수록 곡창지대가 사라지고 있다는 메콩델타도 괜찮다. 그렇게 두고두고 이곳저곳 돌아보는 게 저자의 소망이고 꿈이다.
베트남은 그만한 멋과 맛을 지녔다


목차


들어가며
........................................................................04


1, 2017년 베트남 여행길에
........................................................................ 15
2. 사이공 최후의 날에
........................................................................ 18
3. 베트남 이름 쯔엉
........................................................................ 25
4. 호치민을 향하며
........................................................................ 30
5. Le Minh Dao 준장
........................................................................ 38
6. 동코이 거리에서
........................................................................ 45
7. 코친차이나 사이공
........................................................................ 48
8. 베트콩과 호치민 루트
........................................................................ 56
9. 여행자 거리에서
........................................................................ 62
10. 호치민 거리 이름은 의미가 다르다
........................................................................ 69
11. 베트남 역사에서 파생된 이야기
........................................................................ 77
12. ‘권안응언’ 음식점에서
........................................................................ 85
13. 벤탄 시장에서
........................................................................ 94
14. 호치민 시내 투어
........................................................................ 100
15. 쩌런이라는 차이나타운
........................................................................ 108
16. 베트남 화교와 중월 전쟁
........................................................................ 116
17. 응우옌주 거리에서
........................................................................ 125
18. 통일궁에 머문 사람들
........................................................................ 134
19. 고 딘 디엠과 티우 대통령
........................................................................ 143
20. 인삼의 효능
........................................................................ 152
21. 달랏의 향기
........................................................................ 160
22. 예르생이 전하는 말
........................................................................ 168
23. 새벽을 여는 베트남 여성
........................................................................ 175
24. 달콤한 고산도시
........................................................................ 181
25. 코친차이나 바지사장
........................................................................ 191
26. 바오다이 여름별장에서 만난 남풍황후
........................................................................ 200
27. 민족주의자 판 보이 쩌우를 생각하며
........................................................................ 207
28. 베트남 할머니 보쌈집에서
........................................................................ 217
29. 문화는 가꾸는 것이다
........................................................................ 225
30. 문화로써 피는 꽃
........................................................................ 232
31. 학교 밑창에서 소주를 마시며
........................................................................ 239
32. 술 마약 소금 그리고 쌀
........................................................................ 247
33. 1차 인도차이나 전쟁은
........................................................................ 257
34. 보응우옌잡을 베트남에서 모르면
간첩이다
........................................................................ 263
35. 베트남의 바가지
........................................................................ 273
36. 냐짱 마제스틱에 놀란 사연
........................................................................ 282
37. 나트랑에서의 하루
........................................................................ 291
38. 통킹만 사건과 미국
........................................................................ 299
39. 60~70년대 캄란(깜란) 나트랑 그리고 다낭
........................................................................ 307
40. 구정쯤의 베트남
........................................................................ 313
41. 다낭의 미각
........................................................................ 320
42. 다낭에서 첫날 밤 그리고 기차
........................................................................ 328
43. 후에(Hue)여행, 그리고 월남
........................................................................ 336
44. 응우옌왕조의 왕들
........................................................................ 347
45. 후에 역에서 만난 노인
........................................................................ 357
46. B-52, 철의 삼각 그리고 케산
........................................................................ 364
47. 베트남 전쟁 참전용사 그리고 다낭과 호이안
........................................................................ 367
48. 베트남 전쟁과 미국 대통령
........................................................................ 372
49. 참파를 찾아서
........................................................................ 377
50. 참파의 기록
........................................................................ 390
51. 호이안으로 가는 길
........................................................................ 404
52. 다낭에서 남은 여정을
........................................................................ 410
53. 호치민의 베트남을 어찌 볼 것인가에 대하여
........................................................................ 433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