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민사소송법 요해(2018)

민사소송법 요해(2018)

  • 오창수
  • |
  • 학연
  • |
  • 2018-03-20 출간
  • |
  • 985페이지
  • |
  • 188 X 257 mm
  • |
  • ISBN 9791158242749
판매가

55,000원

즉시할인가

49,5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9,5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로스쿨과 민사소송법 공부 -

 

2018년 개정판에서는 초판 발간 후 2018. 1.까지 공간된 민사소송법 관련 최신판례들을 요소요소에 인용하였고유수한 학설들의 동향을 면밀하게 반영하였다민사소송법의 전체적인 체계와 관련된 중요 쟁점과 판례의 입장을 제시함으로써 민사절차법 공부의 바탕에 초석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개정판 머리말을 겸하여 로스쿨에서의 민사소송법 공부에 관하여 몇 가지 제언을 하고자 한다.

 

1. 민사소송법의 중요성

민사소송법은 민사소송절차를 규율하는 절차법이면서 가사소송행정소송특허소송 등 특별소송절차에도 준용되는 절차법의 기본법이다실무상 지방법원의 소송사건 중 민사사건이 차지하는 비율이 압도적으로 높다실체법의 지식은 절차법의 지식이 뒷받침이 되어야만 실천적 의미를 가진다따라서 법조실무가특히 변호사들이 분쟁해결절차로서 민사소송법의 체계적인 지식을 습득해야 함은 필수불가결한 전제조건이 된다법학전문대학원(이하 로스쿨’) 교육과정은 학자가 아닌 법조실무가 양성을 목적으로 하고 있고졸업 후 변호사시험의 합격과 동시에 현업 변호사실무에 종사해야 하므로 민사소송의 이론과 실무는 로스쿨의 핵심과목이 될 수밖에 없다그러나 3년 과정이라는 로스쿨 교과과정의 제한된 시간 범위 내에서 실체법 과목뿐만 아니라 민사소송법의 이론과 실무를 체계적으로 습득하지 않으면 안 된다이를 위해서는 다양한 사례와 판례의 쟁점을 파악하고 스스로 문제해결방안을 모색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복잡다기한 실무상의 문제해결능력과 법적 사고능력(legal mind)을 배양해야 한다민사소송법을 제대로 학습하기 위하여는 민사소송법에 흩어진 단편적이고 지엽적인 지식이 아니라 민사소송절차라고 하는 전체적이고 거시적인 절차과정에서 각 제도가 갖는 의미를 분명하게 포착할 수 있어야 한다.

 

2. 로스쿨에서의 민사소송법 교육

로스쿨에 입학한 학생들은 법학사 출신 이외에 학부에서 다양한 전공을 이수한 비법학사 출신이 더 많은 상황이다여기에 로스쿨에 있어서 민사소송법 교육의 딜레마가 있다비법학사 출신에게 민사소송법의 기본개념과 절차까지 충분히 설명하여 줄뿐만 아니라 법학사 출신에게는 수업의 긴장도를 유지하면서 수업에 집중하도록 하는 동기를 부여하지 않으면 안 되는 상반된 수요를 충족하여야 하는 어려운 과제를 안고 있다더더욱 민사소송법은 실체법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하는데 실체법 지식이 부족한 학생들에게 민사소송법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로스쿨에서는 여러 사정을 감안하여 대개 1학년 2학기 또는 2학년 1학기 과정에서 민사소송법 일반이론을 강의한다처음부터 바로 민사소송법 강의를 하기에는 부담이 많기 때문이다학생들로서도 사전에 상당한 양의 예습이 필요함은 물론이다민사소송법 강의를 통하여 민사소송법에 관한 전체적인 체계를 습득한 후 심화학습과정으로 민사소송법 사례연구와 민사증거법요건사실론민사집행법 등을 통하여 민사소송법을 포함한 민사법의 내면을 심화하고 외연을 확대해야 한다실무상 판결절차 못지않게 집행절차도 중요함을 인식하여야 한다아울러 종합학습과정으로 민사변호사실무와 민사재판실무를 통하여 민사실체법과 절차법을 아우르는 다양한 사례를 접하고 문제해결능력을 기르도록 해야 한다실제의 소송기록을 토대로 소장과 준비서면판결서 등 기본적인 소송서류의 작성연습을 게을리 하지 말아야 한다이외에도 민사절차법 심화과정으로 민사모의재판국제민사소송, ADR, 중재실무도산법 등에도 관심을 가져야 한다제반 여건상 로스쿨에서 종래의 사법연수원에서와 같은 법원검찰 위주의 실무교육을 할 수도 없고 할 처지도 못된다로스쿨 교육은 다양한 학문 전공자가 변호사로서의 기초적인 실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격을 갖출 수 있도록 하는데 있고판사로서의 판결서작성이나 재판진행검사로서의 공소장 작성 및 수사실무 등 법관과 검사로서의 구체적인 직무는 사법연수원의 법관연수나 법무연수원의 검사실무연수에 맡길 수밖에 없다법조직역은 한 번의 교육으로 완결되는 것이 아니고 부단한 재교육과 연찬의 과정이므로 법조실무에 종사하면서도 계속 공부와 탐구를 게을리 하지 않으면 안 된다.

목차

Chapter 01. 민사소송과 민사소송법 3
[1] 여러 가지 분쟁해결방법 3
1. 자력구제와 소송제도 4
2. 민사소송과 재판청구권 4
3. 민사소송제도와 다른 분쟁해결방법 5
[2] 민사소송제도의 의의와 목적 9
1. 민사소송제도의 의의 9
2. 민사소송제도의 목적 10
3. 민사소송절차 11
[3] 민사소송법 11
1. 민사소송법의 의의 11
2. 민사소송법규의 해석과 종류 11
3. 민사소송법의 효력의 한계(적용범위) 12
[4] 민사소송의 이상과 신의칙 13
1. 민사소송의 이상 13
2. 민사소송과 신의칙 15
[5] 민사소송절치와 다른 소송절차 30
1. 민사소송과 형사소송 30
2. 민사소송과 행정소송 31
3. 민사소송과 가사소송 37
4. 민사소송과 비송사건 38

Chapter 02. 법원과 관할 40
[1] 민사재판권 40
1. 재판권과 민사재판권 40
2. 민사재판권의 범위 41
3. 외국국가에 대한 민사재판권의 행사와 주권면제 42
4. 주한미군과 재판권 45
5. 국제재판관할권 47
6. 외국인에 대한 재판관할 57
[2] 민사법원의 종류와 구성 58
1. 법원의 종류와 심급제도 58
2. 법원의 구성 59
3. 법관 59
4. 그 밖의 사법기관 60
[3] 법관의 제척·기피·회피 61
1. 법관의 제척 61
2. 법관의 기피(제43조) 62
3. 법관의 회피(제49조) 64
[4] 관 할 64
1. 관할의 의의와 종류 64
2. 직무(분)관할 66
3. 사물관할 67
4. 토지관할(재판적) 69
5. 지정관할(재정관할)(제28조) 72
6. 합의관할(제29조) 73
7. 변론관할(응소관할)(제30조) 77
8. 관할권의 조사 77
[5] 소송의 이송 78
1. 의의 78
2. 이송의 원인 78
3. 이송절차 80
4. 이송의 효과 80

Chapter 03. 당사자와 대리인 82
[1] 총 설 82
1. 당사자의 의의 82
2. 대립당사자주의(2당사자자 대립소송) 83
3. 당사자권(절차적 기본권) 84
4. 적법한 당사자 84
[2] 당사자의 확정 85
1. 의 의 85
2. 당사자확정의 기준 - 당사자표시 訂正의 한계 86
3. 姓名冒用(盜用)訴訟 93
4. 사망자를 당사자로 한 소송 94
5. 법인격부인과 당사자의 확정 105
[3] 당사자능력 108
1. 의 의 108
2. 권리능력자(실질적 당사자능력자) 108
3. 비법인사단(형식적 당사자능력자) 111
4. 비법인재단 120
5. 민법상의 조합 120
6. 당사자능력의 소송상 취급 121
7. 소송계속중 당사자능력의 상실 122
8. 당사자능력 흠결의 간과 123
[4] 당사자적격 124
1. 의 의 124
2. 이행의 소 124
3. 확인의 소 126
4. 형성의 소 129
5. 법정소송담당 130
6. 임의적 소송담당(소송신탁) 138
7. 법원허가에 의한 소송담당(재정소송담당) 140
8. 당사자적격이 없을 때의 효과 140
[5] 소송능력 141
1. 의 의 141
2. 소송능력자 142
3. 소송무능력자 142
4. 법적 취급 145
5. 소송계속중의 소송능력의 취득 또는 상실 145
[6] 변론능력 146
1. 의 의 146
2. 변론무능력자 146
3. 변론능력 흠결의 효과 146
[7] 소송상의 대리인 147
1. 의의 및 종류 147
2. 법정대리인 148
3. 임의대리인(소송대리인) 155
4. 무권대리인 162

Chapter 04. 소송물(소송상의 청구)의 특정 165
[1] 민사소송과 소송물의 실천적 의미 165
1. 민사소송과 소송물 165
2. 소송물 개념의 기초적 이해 166
[2] 소송물이론 요약 168
1. 舊實體法說(舊訴訟物理論) 168
2. 訴訟法說(新訴訟物理論) 169
[3] 소송물이론의 행방 171
1. 소송물이론에 따른 구체적 차이 171
2. 소송물론의 행방 172
[4] 사례를 통해 본 소송물이론 174
[5] 소송물의 식별에 관한 판례의 입장 177
1. 소송물 일반과 소송물이론 177
2. 이행의 소의 소송물 181
3. 확인의 소의 소송물 190
4. 형성의 소의 소송물 192

Chapter 05. 소송요건과 소의 이익 196
[1] 소의 의의와 종류 196
1. 소의 의의 196
2. 소의 종류 197
[2] 소송요건 201
1. 소송요건의 의의와 종류 203
2. 모습 205
3. 조사 205
4. 조사결과 207
[3] 소의 이익(권리보호요건) 208
[4] 권리보호의 자격(각종의 소에 공통된 소의 이익) 208
1. 구체적 권리 또는 법률관계에 관한 청구일 것 208
2. 제소금지사유가 없을 것 219
3. 제소장애사유(특별구제절차)가 없을 것 223
4. 동일청구에 대하여 원고승소의 확정판결이 없을 것 225
5. 신의칙위반의 제소가 아닐 것 226
[5] 이행의 소에 있어서의 권리보호의 이익 또는 필요 226
1. 등기관련 소송 228
2. 토지거래규제 관련 소송 230
3. 가압류된 채권의 이행청구 231
4. 장래 이행의 소 232
[6] 확인의 소에 있어서의 권리보호의 이익 238
1. 현재의 권리 또는 법률관계의 확인 238
2. 타인간의 권리관계확인(제3자 확인의 소) 244
3. 확인의 이익 247
4.증서의 진정여부를 확인하는 소(증서진부확인의 소) 258
[7] 형성의 소에 있어서의 권리보호의 이익 260

Chapter 06. 소의 제기 및 소제기의 효과 264
[1] 소의 제기 전 검토사항 265
1. 당사자 : 누구를 원고와 피고로 삼을 것인가? 265
2. 소송물(청구취지와 청구원인) 특정 : 어떤 유형의 소를 제기할 것인가? 269
3. 관할법원은 어디인가? 270
4. 제소기간 준수와 시효중단 270
5. 전치절차 271
6. 보전조치의 필요가 없는가? 271
7. 사건의 처리방법 선택 : 화해와 조정에 의한 분쟁해결의 가능성 타진 272
8. 위임계약서의 작성 273
[2] 소의 제기 273
1. 소장 작성 관련 법령 273
2. 소장 작성의 요체 274
3. 소장의 체제 275
4. 소장 작성 사례 276
[3] 소장의 제출(접수)과 소제기 후의 조치 291
1. 인지의 첩부(貼付) 및 송달료 납부 291
2. 재판장의 소장심사(제254조) 292
3. 소장부본의 송달(제255조) 295
4. 피고의 답변서제출의무와 무변론판결(제257조) 296
5. 최단기일 안의 변론기일 지정(제258조) 296
[4] 참고 - 답변서 작성 요령 297
1. 관련 법령 297
2. 답변서의 요체 297
3. 본안 전의 답변 298
4. 본안의 답변 299
5. 부수적 신청 302
6. 기타 사항 302
[5] 소송구조 305
1. 소송구조의 요건 305
2. 소송구조 절차 305
3. 구조의 효과 305
[6] 소제기에 대한 피고의 대응 306
1. 피고의 대응방안 결정 306
2. 不防禦 306
3. 방어 307
4. 공격적 방어 - 반소 308
5. 화해와 조정의 시도 308
[7] 소제기의 효과 309
1. 소송계속(訴訟係屬) 309
2. 중복된 소제기의 금지(중복소송의 금지)(제259조) 310
3. 실체법상의 효과[1] - 시효중단 321
4. 실체법상의 효과[2] - 법률상의 기간준수 등 331
5. 소의 제기와 불법행위 335

Chapter 07. 법원의 소송진행과 심리(변론) 336
[1] 소송지휘권 337
1. 의 의 337
2. 내 용 337
3. 주체 및 형식 337
4. 당사자의 신청권 338
[2] 기일과 기간 338
1. 기 일 338
2. 기 간 341
[3] 소송서류의 송달 346
1. 송달의 의의 346
2. 송달기관 346
3. 송달수령인(송달받을 사람)과 송달장소 347
4. 송달실시의 방법 347
[4] 소송절차에 관한 이의권 354
1. 절차상의 흠을 치유하는 방법 354
2. 소송절차에 관한 이의권(제151조) 354
[5] 소송절차의 정지 355
1. 의의 355
2. 소송절차의 중단 355
3. 소송절차의 중지 362
4. 정지의 효과 362
[6] 변론의 내용 363
1. 변론의 의의와 종류 363
2. 변론의 준비 364
3. 변론의 실시 365
4. 공격방어방법의 단계별 구조 368
[7] 변론에서의 당사자의 소송행위 372
1. 소송행위와 사법상의 법률행위 372
2. 소송행위의 소송상 취급 375
3. 소송에 있어서의 형성권(상계권)의 행사 378
[8] 변론의 종결 380
1. 변론의 종결 380
2. 변론의 재개 380
[9] 소송기록의 열람 381

Chapter 08. 소송심리의 제 원칙 382
[1] 당사자처분권주의 383
1. 총 설 383
2. 절차의 개시 383
3. 심판의 대상과 범위 383
4. 절차의 종결 393
5. 처분권주의 위배의 효과 394
[2] 변론주의 394
1. 총설 394
2. 내 용 395
3. 변론주의의 한계 405
4. 변론주의의 수정 405
5. 변론주의의 예외(제한) 407
6. 변론주의의 보완 : 석명권 410
7. 법률적 사항에 관한 시사의무(지적의무, 법적관점 표명의무) 417
[3] 기타 심리의제 원칙 426
1. 공개심리주의 426
2. 구술심리주의 426
3. 직접심리주의 426
4. 쌍방심리(심문)주의 427
5. 적시제출주의(공격방어방법의 제출시기) 427
6. 집중심리주의(제272조) 431

Chapter 09. 민사소송과 증거 433
[1] 민사소송과 증거 434
1. 증거의 개념 434
2. 증거의 종류 434
[2] 증명의 방법과 증명의 정도 438
1. 증명의 방법 438
2. 증명의 정도(증명도) 438
3. 증거능력과 증거력 439
[3] 증명의 대상(요증사실) 442
1. 사 실 442
2. 법 규 443
3. 경험(법)칙 444
[4] 不要證事實 : 증명의 필요가 없는 사실 446
1. 재판상 자백한 사실 446
2. 자백간주(구법상의 의제자백)(제150조) 456
3. 현저한 사실 457
4. 법률상 추정되는 사실 458

Chapter 10. 증거조사 459
[1] 증거신청과 증거결정 460
1. 증거신청 460
2. 증거의 채부(採否) 결정 461
3. 직권증거조사 462
[2] 반증과 유일한 증거 463
[3] 증거조사의 실시 467
1. 증거조사와 집중주의 467
2. 증거조사와 직권심리주의 467
3. 당사자의 참여권과 당사자공개주의 467
4. 증거조사의 조서화 468
[4] 서 증 468
1. 서증의 의의 468
2. 문서의 종류 469
3. 문서의 증거능력과 증명력 473
4. 서증의 증거조사 485
[5] 증인신문 492
1. 증인과 증인신문 492
2. 증인의 신청과 채부의 결정 493
3. 증인의무 493
4. 증인조사방식 494
5. 증인신문의 방법 495
6. 증인신문조서의 작성 496
[6] 감 정 497
1. 감정의 의의 497
2. 감정절차 497
3. 감정결과의 채택 여부 498
[7] 검 증 499
[8] 당사자신문 500
[9] 조사·송부의 촉탁(사실조회) 501
[10] 그 밖의 증거 : 전자정보물에 대한 증거조사 502
[11] 증거보전 503

Chapter 11. 자유심증주의 504
[1] 자유심증주의의 의의 504
1. 민사소송과 자유심증주의 504
2. 자유심증주의의 의의 504
[2] 증거원인 505
1. 변론 전체의 취지 505
2. 증거조사의 결과 507
[3] 자유심증의 정도(증명도) 511
1. 사실인정에 필요한 확신의 정도 511
2. 증명도의 완화 512
[4] 자유심증주의의 한계 516
1. 자의(恣意)금지 516
2. 사회정의와 형평의 이념, 논리와 경험의 법칙 517
[5] 사실인정의 위법 519
[6] 자유심증주의의 예외 520
1. 증거원인이 제한되는 경우 520
2. 증거계약 520
[7] 사실상의 추정 521

Chapter 12. 증명(입증)책임 524
[1] 민사소송과 증명책임 524
1. 객관적 증명책임 524
2. 주관적 증명책임 525
3. 증명책임의 기능 525
[2] 증명책임의 분배 526
1. 법률요건분류설 526
2. 법률요건분류설에 대한 비판(수정법률요건분류설) 529
[3] 증명책임의 전환과 완화 529
1. 증명책임의 전환 529
2. 증명책임의 완화 530
[4] 증명책임 없는 당사자의 사안해명의무(증명방해행위) 540
[5] 증명책임 사례와 판례 541
1. 권리발생사실(권리근거규정의 요건사실) 541
2. 권리발생장애사실(권리불발생사실) 543
3. 권리소멸사실(권리멸각규정의 요건사실) 544
4. 권리행사저지사실(권리저지규정의 요건사실) 544
5. 사실상의 추정 545
6. 법률상의 추정 545
7. 間接反證 : 表見證明의 번복 546
8. 제조물책임소송 546

Chapter 13. 판결의 성립과 확정 555
[1] 판 결 555
1. 재판일반 555
2. 판결의 종류 557
[2] 판결의 성립 562
1. 판결의 성립 562
2. 판결의 선고 562
[3] 판결서의 기재사항 564
[4] 종국재판의 부수적 재판 570
1. 소송비용의 재판 570
2. 가집행선고 577
[5] 판결의 효력 582
1. 판결의 羈束力과 판결의 更正 583
2. 형식적 확정력 585
3. 실체적 확정력(기판력) 588
4. 집행력 603
5. 형성력 604
6. 파생적 효력 : 판결의 실체법적·부수적 효과 604
7. 판결의 하자와 판결의 편취(사위판결) 606

Chapter 14. 기판력의 범위 609
[1] 객관적 범위 610
1. 기판력이 생기는 판단 610
2. 기판력이 미치는 범위 614
[2] 주관적 범위 633
1. 원칙 : 당사자 사이 633
2. 예외 1 : 당사자와 같이 볼 제3자 636
3. 예외 2 : 일반 제3자에의 확장 647
[3] 시적 범위(표준시) 648
1. 기판력의 遮斷效(失權效, 排除效) : 표준시 전에 존재한 사유 648
2. 사정변경 : 표준시 후에 발생한 새로운 사유 651
3. 기판력의 시적 범위와 소송물 654
4. 표준시 이후의 형성권 행사 655
5. 변론종결 이전의 법률관계 659
6. 정기금판결에 대한 변경의 소(제252조) 660
[4] 참고 ? 기판력 사례 연습 662

Chapter 15. 당사자의 행위에 의한 소송의 종료 676
[1] 소의 취하 677
1. 의 의(제266조) 677
2. 소취하계약(소취하합의) 678
3. 소취하의 요건 680
4. 소취하의 절차 683
5. 소취하의 효과(제267조) 683
6. 소의 간주취하 690
7. 소취하의 효력을 다투는 절차 691
[2] 청구의 포기·인낙 691
1. 의의 및 법적 성질 691
2. 요건 692
3. 시기와 방식 693
4. 효과(제220조) 693
[3] 재판상 화해 694
1. 소송상 화해 694
2. 제소전 화해 703
3. 화해간주와 형사절차에서의 민사화해 705

Chapter 16. 병합청구소송 708
[1] 청구의 병합 708
1. 의 의 708
2. 병합요건 710
3. 병합의 모습(형태) 712
4. 절차와 심판 719
[2] 청구의 변경 725
1. 의 의 725
2. 모 습 727
3. 요 건 729
4. 절 차 732
[3] 중간확인의 소 734
1. 의 의 734
2. 요 건 735
3. 절차와 심판 735
[4] 반 소 736
1. 의 의 736
2. 모 습 737
3. 요 건 739
4. 절차와 심판 741

Chapter 17. 다수당사자소송 743
[1]공동소송 743
1. 의 의 743
2. 통상(보통, 단순)공동소송 744
3. 필수적 공동소송(합일확정소송/특별공동소송) 749
4. 특수한 모습의 공동소송(공동소송의 특수형태) 765
[2] 선정당사자 779
1. 의의 및 법적 성격 779
2. 요 건 780
3. 선정행위(선정의 방법) 781
4. 선정당사자의 지위 781
5. 선정자의 지위 782
6. 선정당사자 자격 없을 때의 효과 784
[3] 집단소송 784
1. 대표당사자소송과 단체소송 784
2. 증권관련집단소송 785
3. 소비자단체소송 786
4. 개인정보 단체소송 787

Chapter 18. 제3자의 소송참가 788
[1] 보조참가 788
1. 의 의 788
2. 참가의 요건 789
3. 참가절차 793
4. 보조참가인의 소송상 지위 793
5. 참가인에 대한 판결의 효력(참가적 효력) 795
[2] 공동소송적 보조참가 798
1. 의 의 798
2. 공송소송적 보조참가가 성립되는 경우 798
3. 공동소송적 보조참가인의 지위 799
[3] 소송고지 802
1. 의 의 802
2. 요건(제84조) 802
3. 방식(제85조) 803
4. 효 과(제86조) 803
[4] 독립당사자참가(권리참가) 804
1. 의 의 804
2. 독립참가소송의 구조 805
3. 참가의 요건 807
4. 참가소송의 절차 818
5. 독립당사자참가소송의 해소(단일소송 또는 공동소송으로의 환원) 822
[5] 공동소송참가 828
1. 의 의 828
2. 요건 829
3. 참가의 효과 831
[6] 당사자의 변경 831
1. 소송승계 832
2. 임의적 당사자의 변경 841

Chapter 19. 상소심절차 846
[1] 상소요건 846
1. 적극적 상소요건 846
2. 소극적 상소요건 853
[2] 상소의 효력 855
1. 확정차단의 효력 855
2. 이심의 효력 855
3. 상소불가분의 원칙 856
4. 상소심의 심판범위 859
[3] 항소심 절차 864
1. 항소의 제기 및 항소심의 구조 864
2. 부대항소 868
3. 항소심의 심리 871
4. 항소심의 종국판결 873
5. 항소의 취하 879
[4] 상고심 절차 882
1. 상고의 개념 882
2. 상고이유 884
3. 심리불속행 891
4. 상고심 판결 892
[5] 항고와 재항고 899
1. 항 고 899
2. 재항고 903
3. 특별항고 903

Chapter 20. 재심 및 간이소송 905
[1] 재심소송 일반 905
1. 재심의 개념 905
2. 재심소송의 소송물 905
[2] 재심의 적법요건 906
1. 당사자 906
2. 재심의 대상 : 확정된 종국판결 908
3. 재심제기의 기간 910
[3] 재심사유 911
1. 일 반 911
2. 개별적 재심사유 913
[4] 재심절차 922
1. 관 할 922
2. 재심의 소의 제기 923
3. 심리 923
[5] 준재심 924
1. 의의 924
2. 준재심의 소(조서에 대한 준재심) 924
3. 준재심신청(결정ㆍ명령에 대한 준재심) 925
[6] 소액사건심판절차 925
1. 소액사건의 범위 925
2. 이행권고결정 제도 925
3. 절차상의 특례 926
[7] 독촉절차 928
1. 의의 928
2. 지급명령의 신청 928
3. 지급명령신청에 대한 재판 929
4. 채무자의 이의신청 931
5. 이의 후의 소송절차 931

판례색인 933

저자소개

저자 : 오창수
경희대학교 법과대학 및 동 대학원 졸업(법학석사) 
경희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 수료 
제25회 사법시험 합격 
제16기 사법연수원 수료 
서울지방변호사회 소속 변호사(동아합동법률사무소) 
대한변호사협회 법제위원 
서울지방경찰청 행정심판위원 
경희대학교 법과대학 강사 
숙명여자대학교 강사 
한국소비자원 소비자분쟁조정위원회 전문위원 
제주지방검찰청 수사심의위원 
제주특별자치도 인재개발원 강사 
한국금융연수원 강사 
변호사시험 출제위원 
현) 제주대학교 법학전문대학원 교수제주특별자치도 행정심판위원제주도 선거관리위원회 선거방송토론위원회 위원제주일보 논설위원 [법조]

도서소개

2018년 개정판에서는 초판 발간 후 2018. 1.까지 공간된 민사소송법 관련 최신판례들을 요소요소에 인용하였고, 유수한 학설들의 동향을 면밀하게 반영하였다. 민사소송법의 전체적인 체계와 관련된 중요 쟁점과 판례의 입장을 제시함으로써 민사절차법 공부의 바탕에 초석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