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송대 선종사 연구

송대 선종사 연구

  • 이시이슈도
  • |
  • 민족사
  • |
  • 2018-02-25 출간
  • |
  • 784페이지
  • |
  • 161 X 231 X 49 mm /1123g
  • |
  • ISBN 9788998742973
판매가

49,500원

즉시할인가

44,5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44,5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세존학술총서 간행에 대하여

2018년 3월, 민족사에서는 불교학계에 명저로 널리 알려진 2권의 외국 불교 학술서를 번역ㆍ출판했다. 이 두 책은 이미 학계에서는 널리 알려진 ‘중국 선종사(禪宗史)’ 연구 분야의 명저이다.

이 2권의 학술서를 번역ㆍ출판할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경기도 고양시 소재 작은 절인 용화사 주지인 성법 스님(세존학술연구원장)의 원력과 성법 스님의 신도인 박찬호 거사의 시주(施主)로 이루어졌다. 각 권당 약 1,500만원~1,800원에 달하는 막대한 번역비와 저작권료를 희사해 주었기 때문이다. (성법 스님의 간행사를 참고하세요.)

◆ 세존학술총서 간행 취지와 목적
_글: 세존학술원장 성법 스님

한국불교학은 90년대 이후 장족의 발전을 하였다. 가치 있는 학술서도 적지 않게 저술·출판되었다. 그러나 근래 많은 학자들은 한 주제를 가지고 오랜 탐구 끝에 그 결과물을 내기보다는 단편 논문에 집중하여, 전작이 거의 나오지 않고 있다. 더러 한두 권이 나오고 있는 것을 본다면 대부분 현직 학자들보다는 재야 학자들의 저서이다. 반면 외국의 불교학술서들을 본다면 놀라운 연구서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그것은 학문에만 집중할 수 있는 풍토와 환경이 조성되어 있고, 학자 자신도 탐구나 연구에 몰입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해 보고자 외국의 뛰어난 학문적 성과물들을 국내에 제공하여 후학들의 학문탐구에 일조가 되어 보자는 입장에서 이런 해외 우수 학술서들을 번역· 출판하게 되었다.
한국에서 중국 선종사 연구를 살펴볼 때 唐代 선종사 연구는 약간 이루어졌으나 송대 선종사 연구는 대혜종고와 간화선을 제외한다면 거의 황무지나 다름없다. 초기 선종사와 북종선에 관한 연구도 거의 불모지이다.
이번에 번역 간행한 『송대 선종사 연구』와 『북종과 초기 선불교의 형성』은 각각 이 분야의 훌륭한 책이다. 이 책들이 우리의 학문적 빈 공간을 메워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이러한 학술서들을 번역·간행할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큰 원력을 내 주신 박찬호 거사의 기부, 희사정신에 의한 것이다. 한국의 불자들은 법당이나 불상 등 외형적인 불사에 주로 보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과 대만의 불자들은 불서 간행에 많은 희사를 한다.
이 결과는 한편으로는 한국 신도들의 편협된 보시 관행과 관련이 있는데, 이런 보시 관행은 한국의 승가가 신도들에게 요구해 온 보시의 전형이다. 유형물에 대한 보시의 의미를 넘어, 법보시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게 해 준, 박찬호 거사의 통찰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박거사의 대승적 보시가 장차 한국불교 신도들에게, 붓다의 가르침대로 행하는 보시바라밀로 자리 잡게 될 때 한국불교는 비로소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인연이 도래할 것이다. (간행사 전문은 본서 앞뒤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세존학술총서 간행사 요약

이번에 간행한 세존학술원 학술총서 2권은 전체 10권 가운데 일부이다. 이번에 번역 출판한 학술서는 1차 ‘해외 우수학술서 번역 불사’의 하나로서 박찬호 거사의 원력과 시주(施{主)로 이루어졌다.

1.

불교는 약 2,500년 전 바라문교의 폐해를 비판하며 등장한 붓다에 의해 성립한 종교다. 불교는 인도에서 ‘신흥종교’로 발생하여 세계적인 종교로 발전하였고, 그 불교가 한국에 전해진 지도 1,600여 년이나 지났다. 불국사와 석굴암, 해인사 고려대장경 등 국가지정문화재 가운데 불교 문화재가 압도적인 것은 매우 자랑할 만한 일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계청에서 10년마다 실시하는 조사에 의하면, 2005~2015년 사이에 불교 신도수가 760만 명으로 무려 300만 명, 15%나 줄었다. 원인은 여러 면에서 분석을 해야 하겠지만, 그 책임은 승가에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승가의 허물이 가장 크게 작용했음에는 이론이 없을 것이다.
종교인은 사실상 전문 교육자와 같은 역할을 할 때, 종교와 신도 또한 사회에 모두 이익이 된다. 그런 면에서 승가가 공적(公的) 스승으로서의 역할을 충실히 해 왔는지에 대해서는 아쉬움이 든다. 이에 나 역시 승가의 일원으로 책임을 통감하며 한국불교의 취약한 부분을 조금이라도 보완하는 효율적 방법을 모색하였다. 마침 박찬호 거사가 나의 뜻에 공감하며 화주(化主)를 자처해 극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었다.
한국불교의 허약한 체질은 조선시대 이후, 원효와 의상 같은 걸출한 논사(論師)를 배출하지 못한데다가, 근ㆍ현대 선수행에 대한 편식으로 교학을 홀대한 결과라고 할 수 있다. 반면 서구와 일본은 이미 1세기 이전부터 불교를 신앙만이 아닌 인문학적이고 사상적인 가치로 접근하여 불교학을 학문의 관점에서 연구를 하였다.
본 세존학술총서는 그들이 축적한 방대한 논문과 학술서 가운데 20년 이상 검증된 세계 최고의 학술 명저와 논문을 선별한 것이다. 이 불사의 시작은 지극히 미미하지만 감히 바라건대 고려대장경 결집 후 1,000여 년이나 지난 이 시대에 걸맞은 논장(論藏)을 세우는 인(因)이 되었으면 한다. 또한 먼 미래에 불법을 연구하는 이들에게, 불교가 추락할수록 이를 심각하게 염려하는 ‘사람들’이 있었음을 기억해 주었으면 한다.

2.

한국불교학은 90년대 이후 장족의 발전을 하였다. 가치 있는 학술서도 적지 않게 저술ㆍ출판되었다. 그러나 근래 많은 학자들은 한 주제를 가지고 오랜 탐구 끝에 그 결과물을 내기보다는 단편 논문에 집중하여, 전작이 거의 나오지 않고 있다. 더러 한두 권이 나오고 있는 것을 본다면 대부분 현직 학자들보다는 재야 학자들의 저서이다. 반면 외국의 불교학술서들을 본다면 놀라운 연구서들이 많이 나오고 있다. 그것은 학문에만 집중할 수 있는 풍토와 환경이 조성되어 있고, 학자 자신도 탐구나 연구에 몰입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본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해 보고자 외국의 뛰어난 학문적 성과물들을 국내에 제공하여 후학들의 학문탐구에 일조가 되어 보자는 입장에서 이런 해외 우수 학술서들을 번역ㆍ 출판하게 되었다.
한국에서 중국 선종사 연구는 唐代 선종사 연구는 약간 이루어졌으나 송대 선종사 연구는 대혜종고와 간화선을 제외한다면 거의 황무지나 다름없다. 초기 선종사와 북종선에 관한 연구도 거의 불모지이다.
이번에 번역 간행한 『송대 선종사 연구』와 『북종과 초기 선불교의 형성』은 각각 이 분야의 훌륭한 책이다. 이 책들이 우리의 학문적 빈 공간을 메워 줄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3.

이러한 학술서들을 번역ㆍ간행할 수 있었던 것은 오로지 큰 원력을 내 주신 박찬호 거사의 기부, 희사정신에 의한 것이다. 한국의 불자들은 법당이나 불상 등 외형적인 불사에 주로 보시를 하고 있다. 그러나 중국과 대만의 불자들은 불서 간행에 많은 희사를 한다. 두 나라 불자들은 운명할 때가 되면 일정한 재산을 불서간행에 써달라고 사찰에 보시한다고 한다. 부처님 말씀이 담긴 경전간행에 최고의 의미를 두기 때문이다. 근래 이 두 나라 불교는 장족의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대만은 국민의 80%가 불교도이고, 중국도 도교와 불교를 같이 신앙하는 인구가 13억 가운데 거의 80%나 된다. 반면 지금 우리나라는 10년 사이에 약 300만 명이 감소하여 760만 정도로 인구의 약 20% 정도를 차지하는 데 그치고 있다.
이 결과는 한편으로는 한국 신도들의 편협된 보시 관행과 관련이 있는데, 이런 보시 관행은 한국의 승가가 신도들에게 요구해 온 보시의 전형이다. 유형물에 대한 보시의 의미를 넘어, 법보시의 진정한 의미를 되새기게 해 준, 박찬호 거사의 통찰에 깊은 감사를 드린다. 박거사의
대승적 보시가 장차 한국불교 신도들에게, 붓다의 가르침대로 행하는 보시바라밀로 자리 잡게 될 때 한국불교는 비로소 재도약의 발판을 마련할 인연이 도래할 것이다.
방대한 학술서임에도 불구하고 흔쾌히 번역을 맡아 주신 한국학 연구원 김종명 선생님께 진심으로 감사를 드리며, 어려운 책을 편집ㆍ교정해 주신 민족사 편집부 직원분들, 그리고 윤창화 사장님의 안목과 열정에 깊이 감사드린다. 또한 십시일반으로 후원해 주신 불자들께도 감사드린다.
2018년 정월 초하루
무설설당에서
세존학술연구원장 성 법 합장


목차


제1장 『경덕전등록』의 역사적 성격 … 21
-서론을 대신하여-

제1절 『大宋高僧傳』에서 『大明高僧傳』으로
-10科의 붕괴와 고승전의 단절- … 21
제2절 『佛祖同參集』과 『경덕전등록』 … 29
제3절 찬술자 永安道原 … 49
제4절 『송고승전』과 『경덕전등록』 … 70
제5절 『조당집』과 『경덕전등록』 … 90
제6절 『경덕전등록』 권27의 특색 … 127
제7절 皮ㆍ肉ㆍ骨ㆍ髓 득법설의 성립 배경 … 141

제2장 중국 초기 조동종 교단의 성립 … 165
제1절 石頭는 眞金鋪ㆍ江西는 雜貨鋪 … 165
제2절 동산양개의 전기 … 193
제3절 초기 조동종의 종풍 … 222
제4절 동산파 문하의 성쇠 … 254

제3장 북송대 조동종의 전개 … 269
제1절 大陽警玄과 投子義靑의 代付 문제 … 269
제2절 隨州 大洪山의 조동종 부흥 … 298
제3절 芙蓉道楷의 三賢孫 … 322
제4절 鹿門自覺派의 변천 -北傳曹洞宗- … 355

제4장 굉지정각과 묵조선의 확립 … 375
제1절 굉지정각의 전기자료 및 약전 … 375
제2절 묵조선의 확립 … 426
제3절 『굉지록』과 도원선 … 455
제4절 大休宗珏과 足庵智鑑 … 502
제5절 결말 -남종선의 변모- … 526

부록 자료편 … 535
[자료 1] 筠州洞山普利禪院傳法記(余靖) … 536
[자료 2] 雲居山重修眞如禪院碑記(晏殊) … 550
[자료 3] 隨州大洪山靈峰寺十方禪院記(張商英) … 564
[자료 4] 隨州大洪恩禪師塔銘(范域) … 575
[자료 5] 宋大洪楷禪師塔銘(王彬) … 586
[자료 6] 宋大洪山淳禪師塔銘(韓韶) … 598
[자료 7] 宋故焦山長老普?大師塔銘(程俱) … 609
[자료 8] 鹿門燈禪師塔銘(釋德洪) … 618
[자료 9] 大洪山遂禪師塔銘(馮?) … 630
[자료 10] 大洪山豫禪師塔銘(榮?) … 647
[자료 11] 崇先眞歇了禪師塔銘(釋正覺) … 658
[자료 12] 明悟大師塔銘(張淵) … 673
[자료 13] 天童大休禪師塔銘(樓?) … 684
[자료 14] 宗白頭(羅願) … 692
[자료 15] 瑞巖石窓禪師塔銘(樓?) … 699
[자료 16] 甘泉普濟寺通和尙塔記(釋圓照) … 712
[자료 17] 張淸縣靈巖寺寶公禪師塔銘(翟炳) … 716
[자료 18] 雪竇足庵禪師塔銘(樓?) … 724
[자료 19] 宋代禪者의 塔銘ㆍ碑銘類 一覽表 … 740
[자료 20] 中國 曹洞宗 略系譜 … 748

ㆍ찾아보기 … 750
ㆍ간행사 전문 … 77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