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1 지적장애 7
Ⅰ. 정의 8
1. 지적장애에 대한 조작적 정의(지적장애 정의를 위한 역사적 접근들) 8
2. 미국지적발달장애협회(AAIDD) 11차 정의(Schalock, 2010) 및 가정 9
3. 지적장애 조작적 정의의 핵심 구성요인 10
4. 우리나라의 지적장애인에 대한 법률적 정의 12
Ⅱ. 다차원적 모델 13
1. 지적장애 정의를 위한 인간 기능성의 다차원적 모델 13
2. AAIDD 다차원적 모델을 구성하는 요인 15
Ⅲ. 분류 57
Ⅳ. 진단과 평가 63
1. 선별 63
2. 산전 진단 65
3. 진단 65
4. 평가 83
Ⅴ. 특성 86
1. 인지 특성 86
2. 학습특성 90
3. 적응행동 특성 103
4. 언어 및 의사소통 특성 105
5. 다양한 문제를 보이는 사회성 발달 109
6. 심리 ․ 정서적 특성과 중재 111
7. 신체 및 건강상 특성 114
Ⅵ. 교육적 접근 116
1.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의 기본 이해 116
2. 중등도 및 중도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교육과정 운영 123
3. 기능적 생활중심 교육과정의 지도 131
4. 지적장애 학생을 위한 기타 교수 전략 149
02 학습장애 153
Ⅰ. 정의 및 분류 154
1. 외국의 정의 154
2. 우리나라의 정의 158
3. 분류 160
Ⅱ. 진단과 평가 165
1. 선별 165
2. 진단 및 판별 169
3. 학습장애 진단 모델 172
4. 국내 학습장애 진단 모델의 동향 188
Ⅲ. 원인 189
1. 신경생물학적 요인 189
2. 유전적 요인 190
3. 생화학적 불균형 191
4. 환경적 요인 191
5. 기형 발생학적 요인 192
6. 의학적 요인 192
Ⅵ. 특성 193
1. 보편적 특성 193
2. 장애영역별 특성 200
Ⅴ. 하위 유형별 학습전략 및 교수전략 206
A. 기본적 심리과정(발달적 학습장애) 206 1. 주의집중 장애 206 2. 지각장애 208 3. 기억장애 209 4. 사고장애 210 5. 구어장애 210
B. 학문학습의 장애 214
[읽기장애(읽기 학습전략 및 교수전략)] 1. 읽기의 구조 214
2. 읽기에 대한 개념적 이해 214
3. 읽기기능의 발달 215
4. 읽기문제의 원인 216
5. 읽기검사 219
6. 읽기를 위한 접근 방법 232 7. 읽기 교수 232
[쓰기 장애] 1. 쓰기의 개관 283 2. 쓰기 발달과 학습문제 284 3. 쓰기 평가 287 4. 쓰기 교수의 영역 295
[수학 장애] 1. 수학 학습문제의 심각성 321
2. 수학학습장애의 진단과 평가 325
3. 효과적인 수학 지도 방법의 조건 330
4. 일반적인 수학 지도 방법 331
5. 각 영역별 수학 지도 방법 335
6. 수학 학습 전략 355
Ⅴ. 교육적 접근 356
1. 교육과정 356
2. 학습전략의 개념적 이해 359
3. 전통적 정보처리과정중심의 학습전략 프로그램에 대한 비판적 고찰 365
4. 구체적인 학습전략 368
5. 내용교과 지원 전략 374
6. 통합교육을 위한 효과적인 교수방법 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