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고등교육 국제화 이론과 실제

고등교육 국제화 이론과 실제

  • 이종규
  • |
  • 교육과학사
  • |
  • 2016-01-25 출간
  • |
  • 462페이지
  • |
  • 195 X 265 mm /1094g
  • |
  • ISBN 9788925410210
판매가

25,000원

즉시할인가

24,75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4,7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최근 고등교육의 국제화에 대한 정부의 요구가 점점 더 강해지는 것은 정부가 고등교육의 국제화의 중요성을 인식하였다는 점으로 매우 고무적이다.
모든 삶의 분야와 양식에 대한 국제화 중에서 고등교육에 대한 국제화는 가장 중요한 논제의 하나가 아닐 수 없다. 왜냐하면 고등교육은 지식의 생산과 유포에 관여하는 핵심 중추기관이며 대부분의 국가들이 고등교육 기관의 경쟁력을 국가경쟁력의 가장 근본적인 촉진자로 여기기 때문이다. 그래서 각 국가의 정부는 고등교육기관의 경쟁력과 질을 확보하기 위하여 경제위기 중에도 투자를 멈추지 않는다. 연구 대상으로서 고등교육의 범위는 넓다면 매우 넓고 또 무의식적으로 학교에 종사하는 교수나 행정가의 입장에서 보면 매우 단순한 일상으로도 볼 수 있다. 그러나 과거와 달리 국제화 업무가 이제는 대학의 교무나 학생 및 학사업무에 버금가는 정도로 범위가 넓어지고 안정된 위치를 점하게 되었다. 따라서 국제화를 담당하는 직원들도 전문가로서 역량을 확충하여야 하고 국제화의 리더십도 비전과 목표를 명확히 이해하여야 한다는 당위성은 충분히 이유가 된다. 그러한 견지에서 저자는 조금이라도 그러한 목적에 기여할 수 있지 않을까 하는 생각에서 이 책을 쓰게 되었다. 아직은 국제화란 논제가 혼란스럽고, 학문으로서 정립된 이론이나 논의가 제한적이고 상징적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대학 내에서 그것을 담당하는 사람 이외에는 신경 쓸 필요가 없다고 생각할지 모르나 이제는 고등교육 국제화는 대학의 전 구성원이 공유하고 통합되는 방향으로 가지 않으면 안 된다. 왜냐하면 학생들이 이미 국제적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이며 국내의 학생들은 자발적으로 국제화를 지향하기 때문이다.
마찬가지로 정부 각 부처, 교육부, 소속기관, 단체, 학회, 공동체, 저널 등에 있어서도 같은 이야기를 할 수 있다. 원래 대학의 속성은 University라는 단어가 말해주듯이 우주적이며 코스모폴리탄적이며 국제적이어야 한다. 그러나 효율성, 생산성 및 성과를 지향하는 주변 환경의 영향으로 인하여 오늘날 대학은 전통적인 교육과 연구의 수월성에서 새로운 경쟁력을 창조하여야 하고 거기에 더하여 학교에 필요한 재정확보 경주에 시달리면서 그 가운데 가치 있는 개인적인 학술적 업적을 가져오는 데 제약을 받고 있다. 이런 가운데 국제화로 인하여 대학에서 일어나는 제반 현실은 대학에 또 하나의 짐을 지우는 부담임이 분명하다. 그러나 작금의 대학이 매우 복잡하고 힘든 국가운영체제의 메커니즘 톱니 속에서 고등교육 국제화는 대학의 기능을 원래대로 되돌려 놓고자 하는, 보이지 않는 전 지구적인 공감이 분명하다. 대학 내에 있는 국제적인 인력이 전체의 3%를 상회하면 거의 임계질량(Critical Mass)에 도달한다고 볼 경우 이제 한국은 거의 고등교육 국제화의 임계질량에 도달해 가고 있으며 이 임계질량에 근접하면 이제 대학이라는 조직은 전체가 거의 동물적인 감각으로 국제화는 더욱 더 가속화될 것으로 생각된다. 보편화되고 일반화된 국제화 환경 속에서 일차적으로 국제화 관련 학습자나 담당자들은 국제화가 무엇인가에 대한 그림을 마음속에 가지고 있어야 한다. 고등교육 국제화는 언어, 유학, 다문화, 경쟁력, 협력과 개발, 국제적 회의와 연구 등 다양한 개념이 있지만 아직 몇 가지 반복되는 용어 이외에는 생소한 부분도 많고, 이미 유행이 되어버린 개념이나 실제가 있지만 우리에겐 낯선 개념도 많다. 이 책은 고등교육과 고등교육 국제화 또는 국제개발 분야를 전공하는 학부생이나 대학원생 및 연구생들의 연구교재로 사용하기 위하여 저술되었다. 그리고 국제화에 종사하는 전문가나 행정가들이 국제화를 추진할 때 필요한 이론과 실천이 무엇인지를 파악하고 이 분야의 학제간 연결성을 확대하고 아울러 국제화 정책과 전략 측면에서 고려하여야 할 사항이 어떤 것인가를 확인할 수 있도록 기술하였다.


목차


◆추천사 3
◆머리말 5

제1부 고등교육의 국제화 이론과 실제
제1장 고등교육 국제화 … 17
1. 고등교육 국제화: 개관 _ 17
2. 국제화의 의미와 개념 _ 23

제2장 고등교육 국제화의 연구 … 41
1. 국제화에 대한 이론 _ 41
2. 국제화의 복합수준 접근방법 _ 74
3. 국제화의 연구동향 _ 76

제3장 고등교육 국제화의 발전유형 … 79
1. 고등교육 국제화의 웁살라 모델 _ 79
2. 자유무역 맥락에서 고등교육 국제화 _ 88
3. 고등교육 국제화의 새로운 유형 _ 96

제4장 고등교육 국제화 유형별 내용 … 109
1. 고등교육 체제의 수렴과 국제적 인증 _ 109
2. 프로그램 내용과 전달의 국제화 _ 129
3. 인력이동 _ 131
4. 기관과 프로그램 이동 _ 151

제5장 고등교육 국제화 질 관리 … 153
1. 유네스코와 OECD의 질 보장 가이드라인 _ 153
2. 고등교육 국제화 질 보장논의 _ 157
3. 고등교육 국제화 질 보장 방법 _ 158
4. 고등교육 국제화 질 보장 도구 _ 160
5. 고등교육 국제화 질과 대학평가순위 _ 179
6. 고등교육 국제화 평가요소 및 성과지표 _ 185

제6장 국제교육개발 … 195
1. 국제교육개발이란 _ 195
2. 국제개발의 흐름 _ 202
3. 국제개발 접근 철학 _ 207
4. 국제개발의 접근방법 _ 212
5. 국제개발의 연구방법론 _ 214
6. 국제개발의 평가방법론 _ 216

제7장 고등교육 국제화 방법과 전략적 관리 … 225
1. 국제화의 방법과 전략적 관리 _ 227
2. 국제화와 해외 캠퍼스 _ 232
3. 복수 및 공동학위 프로그램 _ 236
4. 국제화와 국제적 네트워크 _ 239
5. 대학 간 양해각서와 협정체결 _ 243
6. 고등교육기관의 국제화와 조직화 _ 249
7. 국제화와 윤리 및 가치 _ 252
8. 국제화 증진과 지원을 위한 정부의 역할 _ 254
9. 효과적인 국제화 관리를 위한 대학의 역할 _ 257

제8장 고등교육 국제화 국제적 조직 … 261
1. 유럽국제교육협회(EAIE) _ 261
2. 유학생 자문협회(NAFSA) _ 262
3. 아시아 태평양 국제교육협회(APAIE) _ 266
4. 한국대학국제교류협의회(KAFSA) _ 268


제2부 한국 고등교육의 국제화 현황과 과제
제9장 한국고등교육 국제화 역사 … 273
1. 문민정부 이전 _ 273
2. 문민정부 시기 _ 274
3. 국민의 정부 시기 _ 275
4. 참여정부 시기 _ 277

제10장 한국의 고등교육 국제화: 인력교류 … 287
1. 고등교육 학생의 유입과 유출 _ 287
2. 외국인 유학생 주요 통계 _ 292
3. 유학생 유치제고를 위한 정부계획 _ 296
4. 유학생 유치제고를 위한 재검토(2015) _ 300

제11장 한국의 고등교육 국제화: 프로그램 교류 … 311
1. 프로그램 교류 _ 311
2. 프로그램 교류의 역사 _ 312
3. 다양한 프로그램 교류 _ 315
4. 프로그램 교류에 대한 국제연구 _ 317
5. 프로그램 교류에 대한 국내연구 _ 320
6. 프로그램 교류에 대한 전망 _ 323

제12장 한국의 고등교육 국제화: 기관교류 … 333
1. 고등교육 기관의 해외진출 _ 333
2. 한글과 한류문화 활용을 통한 기관교류 _ 335
3. 해외고등교육 기관의 국내유치 _ 349

제13장 한국의 고등교육 국제화 프로필 … 359
1. 세계대학평가에서 한국대학의 위치 _ 359
2. 한국대학의 국제화 과제와 문제점 _ 366
3. 한국대학의 거버넌스 _ 374
4. 대학의 리더십 _ 385

제14장 한국의 고등교육 국제화 증진방안 … 391
1. 국제화 지표수용 _ 392
2. 국제화 증진 방안(한국교육개발원) _ 398
3. 한국고등교육의 국제화 증진 방안(국내 외 기타 연구) _ 400

◆맺음말 417
◆참고문헌 421
◆찾아보기 447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