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통일을 이루는 교육

통일을 이루는 교육

  • 한만길
  • |
  • 교육과학사
  • |
  • 2016-01-25 출간
  • |
  • 336페이지
  • |
  • 185 X 256 X 30 mm /729g
  • |
  • ISBN 9788925410159
판매가

16,000원

즉시할인가

15,84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5,84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지난 1990년 당시 독일 통일을 계기로 우리도 통일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컸으며, 이로 인하여 교육분야에서 통일 준비를 위한 연구가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필자를 비롯하여 통일교육에 관심을 갖고 연구와 실천에 참여한 바 있는 여러 연구자들의 연구활동을 소개하고 정리하였다.
1부는 통일교육의 방향과 실천 과제를 제시하였다. 한만길은 지난 30년 동안 통일교육에 대하여 탐구하였는데, 이러한 경험을 바탕으로 통일교육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안하고 실천 과제를 제시하였다. 박찬석 교수는 대학원 과정부터 교육현장의 통일교육에 대하여 실천적으로 연구하였으며, 통일교육과 북한교육, 교육통합 연구를 섭렵하는 전문가라고 할 수 있다. 김상무 교수는 동서독 통일과 교육문제를 독일 통일현장에서 연구하기 시작하였으며, 독일통일과 교육문제에 관하여 수십 편의 논문을 갖고 있다. 오기성 교수는 사회문화통합, 다문화교육, 창의인성교육 등 다양한 관점에서 통일교육의 방향을 접근하고 있다. 정지웅 박사 역시 대학원 과정에서 통일문제를 연구하였으며, 여기서는 시민사회에서 평화교육의 실천 사례를 분석하였다. 이들은 모두 지난 20여 년간 필자와 함께 통일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모색하는 데 앞장서 온 전문가들이다.
2부는 통일을 준비하는 차원에서 교육분야 교류협력이 대단히 절실하다는 점을 보여주고 있다. 최영표 교수는 중국과 타이완 교육 전문가로서 양안 간의 교육교류협력 사례를 정리하였는데, 우리에게는 너무나도 절실한 과제라고 할 수 있다. 김창환 박사는 독일 통일교육에 관한 많은 연구 업적을 갖고 있으며, 여기서는 독일 통일 이전 교육교류의 교훈을 제시하였다. 한만길은 지난 2000년을 즈음하여 남북한 간 교류협력 사업에 참여한 경험을 바탕으로 그 성과와 교훈을 진단하였다. 이러한 중국과 타이완, 그리고 동서독의 교류협력 사례는 우리도 지난 시절 부분적으로 시도했던 경험을 갖고 있으며, 가능하면 빠른 시일 내에 성사되기를 기대하는 과제이다. 통일을 위한 준비에는 무엇보다도 남북한의 점진적인 교류와 협력을 거치면서 서로 상대방을 이해하고 상호 보완할 수 있는 과정이 필요하다.
3부는 북한 청소년, 그리고 탈북청소년에 대한 논의이다. 먼저 조정아 박사는 탈북주민에 대한 심층면담이라는 질적 연구 방법론을 새롭게 개척하였다. 이향규 박사와 김윤영 박사 역시 질적 연구방법론, 문화인류학적 연구를 통하여 탈북청소년에 대한 이론과 실천을 겸비하고 있다. 이들은 질적 연구 방법론에 기초하여 탈북청소년의 다양한 변화 양상과 성장 과정을 분석하였다. 강구섭 박사는 일찍이 1997년 탈북청소년을 주제로 석사 논문을 작성하고 독일 현지에서 통일 이후 교육통합 문제를 연구한 개척자라고 할 수 있다. 강순원 교수는 평화교육과 인권교육, 세계시민교육, 그리고 국제이해교육에 남다른 연구업적을 갖고 있다. 이러한 지속 가능한 가치를 중심으로 통일교육, 탈북청소년 교육 문제를 접근하고 있어서 우리의 안목을 넓혀주는 데 기여하고 있다. 탈북청소년은 통일상황을 전망할 때, ‘먼저 온 미래’라는 상징성을 갖고 있듯이, 남북한 통일사회에서 ‘사람의 통일’을 이루는 데 있어서 중요한 시금석이라 할 수 있다. 이들을 어떻게 이해하고 어떻게 교육하여 남한사회의 성숙한 시민으로서 성장시킬 수 있는가의 문제가 중요하다.
4부는 남북한 교육통합의 방향을 모색하는 글이다. 먼저 김해순 교수는 독일 현지에서 정치사회학을 연구하고 강의한 전문가로서 동서독의 사회문화통합, 정치교육 등 다방면에 걸친 연구 업적을 갖고 있다. 독일 현지에서 이룬 연구업적을 최근에는 한국에서 전파하면서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과 교훈을 주고 있다. 권성아 박사는 홍익인간의 교육이념 연구에 혼신하고 있으며, 여기서는 민족공동체의 접근으로서 홍익인간의 이념을 교육통합의 이념으로 제시하였다. 안승대 교수는 교육학계에서는 보기 드물게 불교사상을 바탕으로 통일교육, 교육통합의 이념과 방향을 연구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한만길은 ‘민족’과 ‘평화’의 공동체를 지향하면서 교육통합의 문제를 진단하였다. 여기에서 통일은 평화를 만들어가는 과정이며, 통일의 결과 또한 평화라는 점을 강조하였다. 이 책을 마무리하면서 결론에 해당하는 글이다.
이 책이 담고 있는 메시지는 한 마디로 ‘평화’라고 말할 수 있다. 통일은 평화를 기반으로 하는 것이며, 평화를 통하여 통일을 실현하는 것이다. 통일의 과정은 평화적이어야 하며, 통일의 결과 또한 평화라야 한다. 이 책에서 다루고 있는 통일교육, 교류협력, 탈북청소년 교육, 그리고 교육통합의 주제는 궁극적으로 평화를 지향하고 있으며 평화를 실현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남북한에서 동시에 평화를 지향하는 가치를 추구하고 있다. 통일의 궁극적 목표와 결과는 평화로운 세상을 만드는 데 있다. 우리 사회 안에서 평화와 안정, 자유와 행복을 만들어 가는 것, 그리고 북한과 함께 그런 가치를 실현하는 것이 통일의 이상이자, 과제라고 할 수 있다.


목차


인사말 / Ⅲ
서장 : 통일 준비, 교육은 무엇을 할 것인가 / 1 한만길

Part Ⅰ. 통일은 교육을 통하여
chapter _1 통일교육의 모형과 방향 탐색 / 19 한만길
Ⅰ. 서론 / 19
Ⅱ. 통일교육의 변화과정 / 20
Ⅲ. 통일교육의 모형 진단 / 25
Ⅳ. 통일교육의 방향과 체계 / 32
Ⅴ. 마무리 / 35

chapter _2 통일교육의 문제와 과제 / 39 박찬석
1. 통일교육의 실제 / 39
2. 통일교육의 문제 인식 / 40
3. 통일교육의 문제 인식에 대한 융합 시도 / 42
4. 통일교육 문제에서 과제로의 발전적 지향과 대안 / 49

chapter _3 통일 이전 서독 통일교육정책의 전개 / 55 김상무
I. 머리말 / 55
II. 서독의 통일정책 변천과정 / 57
III. 주 문교장관회의(KMK) 결정을 중심으로 본 통일교육정책의 변천 / 59
IV. 맺음말 / 67

chapter _4 통일교육의 개선 방향 탐색: 뇌과학적 접근 / 73 오 기성
Ⅰ. 서론 / 73
Ⅱ. 뇌과학의 교육관 / 74
Ⅲ. 현행 통일교육의 분석 / 77
Ⅳ. 통일교육의 개선 방안 / 81
Ⅴ. 결론 / 87

chapter _5 시민사회의 평화교육 / 91 정 지 웅
I. 들어가며 / 91
II. 평화교육의 정의 / 93
III. 한국 시민사회에서의 평화교육 / 95
IV. 현 한국 평화교육의 훈련 모델 / 97
V. 나오며 / 109

Part Ⅱ. 교류협력은 통일의 지름길
chapter _1 중국과 대만의 고등교육 교류협력 / 115 최 영표
Ⅰ. 서론 / 115
Ⅱ. 양안 간 고등교육단계의 교류협력의 경과 / 116
Ⅲ. 양안 고등교육 교류협력의 정책과 현황 / 119
Ⅳ. 양안 고등교육 교류협력의 문제 / 125
Ⅴ. 우리에의 시사점 / 127

chapter _2 독일의 통일 전 청소년 교류협력 / 133 김창환
1. 통일 전 동서독 청소년 교류 정책 / 133
2. 동서독 청소년 교류 추진 현황 / 140
3. 평가 및 남북 청소년 교류에 대한 정책적 시사점 / 145

chapter _3 남북한 교육분야 교류협력의 성과와 과제 / 151 한만길
Ⅰ. 머리말 / 151
Ⅱ. 남북한 교육 교류·협력의 경험과 성과 / 152
Ⅲ. 남북한 교육분야 교류·협력의 평가와 과제 / 160
Ⅳ. 결론 / 167

Part Ⅲ. 청소년의 이해를 위하여
chapter _1 북한의 청소년 문화 / 171 조정아
1. 학교 수업과 조직생활 / 172
2. 또래관계와 놀이문화 / 176
3. 이성교제와 외모 가꾸기 / 180
4. 남한 문화 확산 / 182

chapter _2 탈북청소년의 변화와 성장 / 191 이향규·김윤영
1. 소통 경험 / 193
2. 건강 / 196
3. 지지자 / 197
4. 개인 적응전략의 구사 / 198
5. 출신지 정체성에 대한 유연한 태도 / 201
6. 적절한 교육 환경 / 203

chapter _3 탈북청소년의 남한 사회 및 학교 적응 / 207 강 구섭
Ⅰ. 서론 / 207
Ⅱ.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 적응 현황 / 209
Ⅲ. 탈북청소년의 남한사회 및 학교적응 지도 방안 / 219
Ⅳ. 결론 / 226

chapter _4 국제이해교육의 관점에서 본 탈북 청소년 / 229 강 순원
Ⅰ. 문제제기 / 229
Ⅱ. 국제이해교육의 이해 / 233
Ⅲ. 국제이해교육과 북한이탈청소년 문제의 만남 / 236
Ⅳ. 지속 가능한 미래를 위하여 / 244

Part Ⅳ. 남북한 교육통합의 길을 찾아서
chapter _1 남북한 사회문화 통합을 위한 교육 / 251 김 해순
Ⅰ. 들어가며 / 251
Ⅱ. 민족공동체의 의미와 한계 / 252
Ⅲ. 남북한 사회문화통합을 위한 문화공동체 형성 / 256
Ⅳ. 사회문화통합을 위한 교육의 과제: 독일 민주시민(정치)교육 사례 / 264
Ⅴ. 나오며 / 269

chapter _2 사회통합의 원리로서 홍익인간 교육 / 273 권성아
1. 통일의 궁극적 목적은 사회의 내적 통합 / 273
2. 민족의 정체성과 공동체성을 추구한 홍익인간 이념 / 275
3. 남북한 사회의 특수성을 반영하면서도 보편성을 띤 홍익인간 이념 / 280
4. 홍익인간 이념의 총체적 세계관과 홍익민주주의 / 284
5. 민족통합의 결과는 조화롭고 평화로운 세상 / 287

chapter _3 통일을 위한 교육이념으로서 화쟁사상 / 293 안승대
Ⅰ. 서론 / 293
Ⅱ. 통일교육의 문제점과 화쟁사상의 필요성 / 295
Ⅲ. 분단인과 분단의식의 화쟁의 가능성 / 299
Ⅳ. 분단인과 분단의식의 화쟁의 방법 / 303
Ⅴ. 결론 / 306

chapter _4 남북한 ‘평화’공동체를 지향하는 교육 / 311 한만길
Ⅰ. 서론 / 311
Ⅱ. ‘민족’과 ‘평화’의 공동체를 지향하며 / 313
Ⅲ. 남북한 통일 상황 전망과 문제 / 318
Ⅳ. 남북한 통일을 이루는 교육 / 323
Ⅴ. 맺음말 / 328

찾아보기 / 33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