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전환교육의 이해와 실행

전환교육의 이해와 실행

  • 김형일
  • |
  • 교육과학사
  • |
  • 2013-08-30 출간
  • |
  • 488페이지
  • |
  • 188 X 235 X 30 mm /1090g
  • |
  • ISBN 9788925407302
판매가

23,000원

즉시할인가

22,77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2,77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1판이 나오고 이 책을 학생들과 전환교육의 교재로 수업하면서 많은 부분에서 부족함을 느꼈고, 내가 적은 글에 대한 부끄러움이 많이 들었다. 그 동안 수업을 하면서 틈틈이 내용을 수정하였고, 기존 원고를 보완하려고 자료도 모았지만, 전체 내용을 수정할 여유와 시간이 나지 않았다. 1판이 모두 소진되어 이것으로 마무리 하려하였지만, 이후 수업 진행의 필요와 여러 분들이 요청이 있다고 하여, 아쉽지만 일부분만 수정하여 2판을 내기로 하였다. 2판은 4장 전환교육과정, 10장 학습장애학생의 사회적 행동 특성과 훈련은 기존의 내용은 빼고, 새로운 내용으로 원고를 다시 작성하였다. 그리고 각 장들은 부분적으로 내용을 수정하였다. 더 많은 내용을 수정하지 못한 아쉬움이 남지만, 원고를 다시 쓸 기회가 나면 그때는 시간과 여유를 가지고 작성하겠다는 여지를 남기고 말았다. 부족하지만 이 책을 강의 교재나 수업 자료로 활용해 주신 분들과 소중한 의견과 충고를 주신 분들께도 진심으로 감사드린다.


목차


저자 서문?iii

1부
전환 체제와 계획
1장?전환교육의 이론적 모형__3
01 개요 4
02 초기 진로교육 모형 6
03 협의의 모형과 포괄적 모형 6
04 직업 준비에 강조점을 둔 모형 10
05 학교에서의 교육내용에 중점을 둔 모형 13
06 국내 전환교육 관련 모형 15
07 교육적 시사점 21
??연구문제?23

2장?전환교육의 진단과 평가__25
01 전환평가의 의미와 영역 26
02 전환평가의 목적과 특징 29
03 전환평가의 단계 31
1) 1단계 31
2) 2단계 32
3) 3단계 33
04 전환평가의 유형 34
1) 형식적 평가와 비형식적 평가 34
2) 조사와 인터뷰 37
3) 직접관찰 41
4) 기능적 평가 42
5) 교육과정 중심 평가 43
6) 작업표본 평가 44
7) 직무현장평가 46
05 전환계획 시 고려해야 할 평가 영역 48
1) 사회성/대인관계/정서 48
2) 가정생활기술 평가 49
3) 지역사회 참여와 여가기술 평가 50
06 기관 간 전환평가 50
??연구문제?52

3장?개별화 및 전환교육계획__53
01 개별화교육의 기본 이념 54
02 개별화교육계획 관련 법규 58
03 개별화교육계획의 구안과 실행 61
1) 개별화교육계획의 기본 방향 61
2) 개별화교육계획 작성의 실제 62
04 개별화교육 실시의 고려할 점 72
1) 특수교육의 방향에 대한 명확한 인식 72
2) 지역사회 적응과제의 인식 75
3) 부모의 교육적 요구 파악 76
05 전환교육계획과 관련법 78
06 졸업 이후의 궁극적 목적 79
07 전환 일정계획 80
08 전환계획의 과정 82
09 개별화전환교육계획 작성 83
1) 작성 절차 83
2) 개별화전환계획의 구성 내용 90
3) ITP 작성 예시 100
??연구문제?105

2부
전환내용과 방법
4장?전환교육 과정__109
01 개요 110
02 일반교육과정의 접근 111
1) 일반교육과정 접근의 법적 의미 112
03 전환과 표준중심 교육과정 모형 113
1) 교과교육 115
2) 진로 및 기술교육 116
3) 생활기술 교육 117
4) 일반교육과정의 접근 방법 117
04 생태학적 교육과정 130
1) 생태학적 교육과정 구조 130
2) 생태학적 교육과정의 졸업이후 결과와 교수 132
??연구문제?135

5장?전환교수와 전략__137
01 전환교수의 전제 조건 138
1) 전환 목표의 IEP 통합 138
2) 통합 환경 교수 138
3) 결과-중심 과정 138
4) 협력적 활동 139
5) 학생의 요구와 선호, 흥미 139
02 작업 경험 기회 140
03 지역사회 중심의 기능적 전환교수 142
1) 지역사회 중심 교수의 중요성 142
2) 목표 선정 143
3) 과제분석(task analysis) 144
4) 일반 사례 분석 146
5) 기초선 측정 149
6) 교수 수행 149
04 인지적 전환교수 156
1) 환경 분석 156
2) 직무 분석 156
3) 직무 과제분석 157
4) 인지적 전략 157
??연구문제?162

6장?전환교육의 자기-결정 전략__163
01 자기-결정의 성격과 개념 164
1) 성격 164
2) 자기-결정의 개념 165
02 자기-결정 전략의 중요성 168
03 자기-결정 교수 전략 170
1) 자기-결정의 하위 기술 170
2) 자기-결정의 지도 방법 171
04 자기-결정을 통한 전환계획에서의 학생 참여 176
05 자기-결정과 자기-주장 178
??연구문제?179

3부
전환의 결과
7장?전환교육과 고용__183
01 개요 184
02 비고용 185
03 무보수 185
04 보호작업장 186
05 지원고용 186
1) 지원고용의 개념 186
2) 지원고용의 절차 191
3) 지원고용의 유형 197
06 소비자 중심 고용 206
07 경쟁고용 209
??연구문제?209

8장?주거와 지역사회 생활__211
01 주거생활의 발달 212
1) 자선과 무시 기간 212
2) 시설 개혁 기간 213
3) 독립생활 운동 213
4) 지원 생활 운동 214
02 주거 유형 215
03 대안적 주거생활 지원 220
1) 지원 생활 220
2) 개별 중심 지원 222
04 주거생활 준비 225
1) 주거 희망 및 선호도 조사 226
2) 주거 및 재정적 계획 세우기 228
??연구문제?230

9장?지적장애인의 직장 대인 문제해결 능력__231
01 개요 232
02 대인문제해결 능력의 이론적 이해 233
03 지적장애인의 직업 관련 사회적 대인문제해결 능력의 특성 236
04 직업 관련 사회적 대인능력의 훈련 방법 240
1) 대인문제해결 훈련의 사회적 상황 240
2) 훈련 내용과 방법 242
05 결론 및 시사점 243
??연구문제?245

10장?지적장애 학생의 중등과정 이후 교육과 전환__247
01 개요 248
02 지적장애학생을 위한 중등과정 이후 교육의 실태 및 필요성 248
03 중등과정 이후 교육의 유형 251
1) 혼합?혼성 모형 252
2) 분리 모형 253
3) 통합모형 254
04 성공적인 중등과정 이후 교육의 특징 255
1) 개별화, 학생중심 계획 255
2) 기관간 협력 256
3) 대학의 교직원들의 준비 257
05 중등과정 이후 대학 프로그램 258
1) 대학 프로그램의 경로 258
2) 중등과정 이후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준비 261
3) 관련된 생존 기술 개발 264
4) 개별화된 지원 계획 개발하기 267
5) 대학 생활 준비를 위한 교사와 학생의 역할 269
??연구문제?273

11장?지역사회 전환을 위한 사회성 기술__275
01 사회적 기술 276
1) 사회적 기술 정의 276
2) 사회적 기술 지도의 중요성 278
3) 사회적 기술의 획득 278
4) 사회적 경험 넓혀 주기 280
5) 사회적 실수 줄이기 281
02 사회성 기술 평가 281
1) 면접법 281
2) 관찰법 282
03 사회적 기술 훈련 모델 284
1) 모델링(modeling) 284
2) 시연(rehearsal) 284
3) 강화(reinforcement) 285
4) 지적해주기(coaching) 285
5) 긍정적 자기-진술(positive self-statement) 286
04 사회적 기술지도 286
1) 지원수준 결정하기 286
2) 훈련 288
05 지역 사회 참여 기술 293
1) 현장학습 지도수준 정하기 293
2) 현장학습 단계별 지도계획 294
3) 훈련방법 295
4) 현장학습 지도 단계별 활동 295
5) 현장학습 수행 시 유의사항 296
??연구문제?297

12장?여가와 레크레이션__299
01 여가 및 레크레이션의 의미와 중요성 300
02 여가에 대한 관심 및 흥미 평가 302
03 목표 설정 306
1) 학생의 요구 파악 307
2) 결과 중심 목표 설정 307
3) 기관 간 책무와 연계 307
4) 학교에서 졸업 이후 활동 준비 308
5) 집중지도 및 다양한 경험 308
04 여가 및 레크레이션 지도 309
1) 교수적 접근 310
2) 자가-결정 중심 지도 311
3) 대안적 전략 312
??연구문제?314


4부
전환의 지원
13장?전환교육의 정책적 지원__317
01 개요 318
02 전환교육 현황 및 정7책적 지원 방안 321
1) 전환교육에 관한 일관성 있는 모형 정립 321
2) 현행 특수교육 직업관련 교육과정의 현실화 325
3) 평가체제 및 평가주체의 확립 328
4) 전문 인력 양성 331
5) 범정부 차원의 추진기구의 구성과 역할 제고 334
6) 취업 활성화 위한 정책적 지원 강화 335
03 제안 337
??연구문제?338

14장?전환교육과 관련 기관 간 협력__339
01 기관 간 협력의 필요성 340
02 기관 간 협력 관련 주요 개념 341
03 기관 간 협력 팀의 개발과 과정 342
1) 전환계획 팀의 개발목적 343
2) 기관 간 협력 팀의 개발형태 344
3) 기관 간 협력 팀의 개발과정 348
4) 기관 간 협력 팀의 개발단계 349
04 기관 인사의 역할 354
1) 학생 354
2) 가족 355
3) 학교 356
4) 직장 358
05 기관 간 협력 강화를 위한 전략 359
1) 기관 간 비전 설정 359
2) 연계 환경 점검 360
3) 팀 구성 전략 360
4) 정보 공유를 위한 의사소통 전략 362
5) 학생 참여 전략 363
6) 가족의 참여 전략 364
7) 성인 서비스 기관의 참여 전략 364
06 기관 간 협력의 문제점 및 제안 365
1) 한국 전환교육의 기관 간 협력의 문제점 365
2) 전환교육의 기관 간 협력 개선 방안 366
??연구문제?369

15장?전환에서의 보조공학__371
01 보조공학의 정의 372
02 보조공학 장치 373
03 보조공학의 활용 376
1) 컴퓨터의 활용 376
2) 수업에서의 활용 377
3) 보상적 기능의 보조공학 381
4) 교정적 기능의 보조공학 382
5) 관련 서비스로의 보조공학 383
04 전환에서 보조공학 접근 384
1) 팀 접근 384
05 보조공학 장비의 선정 386
??연구문제?389

16장?전환에서 부모 참여__391
01 부모 참여의 중요성 392
02 부모 참여 저해 요인과 대안 394
03 전환교육 부모 참여 전략 397
1) 가족들과 함께 작업하기 397
2) 효과적인 가족-전문가 동반 관계 높이기 399
3) 정확하고 이해할 수 있는 정보 제시하기 400
4) 작업 경험 갖게 하기 400
5) 부모 대 부모를 통한 지원하기 401
6) 가족들의 적극적인 역할 유도하기 401
??연구문제?405

부록
부록1?개별화교육계획(IEP)__409
1-1 보호자 요구 조사서: 일상생활 능력과 교과학습에 관한 기초조사(서울정문학교 양식) 409
1-2 학생 인적 사항 412
1-3 개별화교육계획 413

부록2?개별화전환교육계획(ITP)__414
2-1 학생 인적 사항 414
2-2 영역별 목적 415
2-3 수행 내용 요약 417

부록3?미래 계획 검사(부모/보호자/교사용)__418
부록4?자기-결정 및 자기-주장 기술__425
4-1 자기-결정 및 자기-주장 기술 질문지(학생용) 425
4-2 자기-결정 및 자기-주장 기술 질문지(부모용) 428
4-3 자기-결정 및 자기-주장 기술 질문지(교사용: 교과기술) 432
4-4 자기-결정 및 자기-주장 기술 질문지(교사용: 고용-기술) 434
4-5 자기-결정 및 자기-주장 기술 점수 요약 436

부록5?지원고용 양식__437
5-1 사업체 직무분석지 437
5-2 직무분석조사표 445
5-3 지원고용대상자-직종 적합성 분석지 447
5-4 지원고용동의서 451
5-5 지원고용실시동의서 452
5-6 개인별 지원고용계획서 453

참고문헌?454
찾아보기?485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