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교육과정과 삶의 쟁점

교육과정과 삶의 쟁점

  • 조승제
  • |
  • 교육과학사
  • |
  • 2013-08-30 출간
  • |
  • 486페이지
  • |
  • 188 X 257 mm
  • |
  • ISBN 9788925407227
판매가

19,000원

즉시할인가

18,81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8,81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2000년대 말 이후 불어 닥친 세계적인 불황과 불경기에, 전 세계의 각 국가들은 자국의 대외 경쟁력을 향상하기 위한 노력을 하고 있다. IMF 충격 이후 연이어 발생한 미국 모기지론에 의해 발생한 경제 불황, 그리고 유럽 경제 불황에 의해 파급되고 있는 전 세계의 불황은 그칠 줄 모르고 지속되고 있다. 천연자원이 부족하여 수출 의존율이 높은 우리나라는 해외의 경제 공황에 많은 영향을 받기 때문에, 다른 나라보다 자생적인 경제구조를 창출하기 위한 사회개혁과 혁신을 강도 높게 하고 있다.
사회의 전반적인 혁신에 부응하여 교육부문도 전반적인 구조 개혁과 혁신을 추진하고 있다. 교육 부문 중에 특히 교직과정은 교직 교과를 보다 전문화하고, 교과교육과 교육실습 및 인성교육 등을 강화하는 실무중심의 교직과정 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기존의 ‘교육과정과 평가’ 분야는 ‘교육과정’과 ‘교육평가’의 두 교과로 분리되었다. 이러한 움직임은 교직교육의 전문성을 신장하고, 학생들의 수행 역량을 총체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대응하는 전인적인 교육체제를 구축하기 위한 것이다. 교육과정과 교육학 분야의 개혁적인 변화의 특성과 맥락을 파악해 보면 다음과 같은 특성을 이해할 수 있다.
교직교육을 담당을 하는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 그리고 교육대학원 등의 교육학과는 공식적인 학교 교육의 교육과정을 중점적으로 연구하고 실천하였었다. 그러나 이제 교육학과는 교직교육 이상으로 지역사회 주민과 기업을 위한 평생교육을 연구하고 운영하는 역할과 기능을 강화하고 있다. 상당 수 교육학과는 인적자원 개발(기존의 평생교육) 학과로 변모하고 있으며, 인적자원 개발과 운영, 그리고 평가를 위한 각종 교육프로그램 및 연수교육 등을 운영하고 있다. 즉, 학과 명칭의 변경이나 각종 교육프로그램의 개발과 운영 등을 통하여 기업이나 지역사회 주민들의 교육을 바람직하게 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을 실천하고 있다.
교육과정의 분야 역시 기존의 학교 교육의 공식적인 교육과정 이외에 무형식과 비형식 교육과정 등의 분야를 평생교육 차원에서 지원을 하고,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평가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인적자원의 개발 측면에서 볼 때, 교육과정의 의미는 기존의 공식적 차원의 교육을 초월하여 비형식과 무형식 교육을 총괄하는 것이어야 한다. 스펜서는 “세상에서 가장 가치 있는 지식은 어떠한 것인가?”란 의문을 통해, 보비트와 타일러는 직장의 업무에 대한 과정을 분석하여, 보다 효율적인 직무의 수행역량을 강화하려고 하였다. 이후에 교육과정의 연구자들은 지식의 형식, 지식의 의미, 언어의 기능, 앎의 절차, 삶과 문화 등을 연구하였고, 그리고 이러한 기능들은 이론과 실천적 차원에서 개발되고 적용 및 평가와 관련된 교육적 의의를 검증받았다.
아리스토텔레스는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다”라는 명제를 통하여 인류에게 인간의 주체적 상호작용과 객체적 조직과 환경의 영향 등에 대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특히 인류가 궁극적으로 추구하는 행복은 사람들 사이에서 형성되고 선택되며, 또한 재창조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교육과정의 의미를 인적자원 개발의 차원에서 보면, 교육과정은 사람들 사이에서, 사람에 의하여, 그리고 사람을 위한 행복을 찾는 것이다. 이러한 의미는 결국 교육과정의 진정한 의미를 인간관계의 차원에서 규명되어야 함을 나타낸다. 이러한 논리가 비약이 있다고 볼지 몰라도, 평생교육을 지향하는 교육과정의 의미를 올바르게 바라보며 추구하는 것이다.
본 저서는 “인간은 사람들 사이에서, 사람들에 의해, 그리고 사람을 위한 것인 행복을 추구하는데, 결국 이러한 교육활동은 교육과정을 인간관계 차원에서 재정립하는 것”이다. 이러한 노력이 다소 미흡하지만, 이번에는 본인의 졸저인 『교육과정과 평가의 쟁점: 삶과 앎』에 인간관계의 의미와 기능을 연계하여 살펴보았다. 2007년에 간행을 하여, ?문화관광부 우수 학술도서?로 선정이 되었던, 본인의 졸저는 독자들로부터 과분한 대접을 받았다. 독자들에게 감사를 드리고, 교육과정에 대한 안목과 지평을 넓혀 보기 위해 이번에는 과감하게 『교육과정과 삶의 쟁점: 인간관계론』이라는 제목을 가지고 독자들을 찾아가려고 한다. 아주 미흡하지만, 평생교육 체제에 부응하기 위한 교육과정을 정립하기 위한 시도로 보아주시길 당부 드린다.
아래의 머리말은 2007년 머리말에 추가와 보완을 한 것이다. 당신은 지금까지 학교에서 어떤 것을 배워왔는가? 과연 이러한 것들은 당신에게 얼마나 도움을 주었고, 또한 줄 것 같은가? 다시 말해, 당신은 세상에서 가장 가치 있는 것을 무엇이라고 보았는가? 그리고 과연 그러한 것들은 학교교육을 통해서 얼마나 얻을 수 있었는가? 이상적이며 실제적인 삶의 소망인 교육목적, 가치 있는 지식과 경험의 교육내용, 가르치고 배우는 교육방법, 그리고 이러한 교육활동의 전반적인 결과에 대한 교육평가는 교육과정의 근본 문제이다.
오늘날 우리나라의 교육 현실은 고등학교 졸업자의 80% 이상이 대학에 진학을 하고, 자식을 조기 유학을 보낸 기러기 가족이 사회문제로 제기되며, 외국어공부를 하기 위해 대학생이 휴학을 하고, 대부분의 학생들이 사교육을 받고 있으며, 해외의 유명 교육기관이 국내에 진출을 하고 있다. 세계적으로 높은 교육열, 과도한 사교육비 지출, 대학입시만을 대비하는 교사와 학생, 학부모와 산업체의 교육기관에 대한 불만 팽배, 교육관련 종사자의 공교육 분야 재정지원 부족에 대한 불만 표명, 그리고 장기간의 청년실업이 우리가 당면한 교육 현실이다.
우리나라의 교육이 정상화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이 정상화되어야 한다. 학교 교육과정의 총론과 각론이 조화롭게 제정되고, 각 교과교육이 충실하게 운영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교사는 교육과정 개발의 전문가이며, 교육과정 운영의 상담가의 역할을 올바르게 수행 할 수 있어야 한다. 우리 모두가 교육관련 종사자들을 중심으로 잘 가르치고 배울 수 있는 교육 환경 구축을 위해 전념해야 한다.
화려한 구호와 정파적인 놀음이 아닌, 교육 현장의 교사가 교육과정 개발 전문가, 교육과정 운영 상담가의 역할을 통해 학생과 진정한 만남을 이룩할 수 있어야 한다. 이 책은 이러한 고민을 조금이라도 덜어보기 위해 교육과정의 주요 이론적 과제와 실제적인 문제들의 쟁점을 검토하고, 그 대안을 독자들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집필되었다. 이 책에서 다룬 내용들은 교육과정 연구, 교육과정 결정, 교육과정 시행, 교육과정 평가의 쟁점, 그리고 새롭게 추가된 인적자원 개발과 인간관계론의 쟁점에 관한 것들이다.
제1부 교육과정 연구와 이론의 쟁점 분야는 교육과정의 정체성을 규명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개념과 정의, 교육과정 연구의 방법과 실제, 그리고 교육과정 이론의 특징과 원리를 살펴보았다. 제2부 교육과정 결정 문제의 쟁점 분야는 교육과정의 영향 요인을 탐구하기 위해, 교육과정 결정준거와 유형, 교육과정의 결정구조와 철학적 이해, 그리고 교육과정 개발과 학교중심 교육과정이 제시되었다.
제3부 교육과정 시행과 교과운영 및 평가의 쟁점 분야는 교육과정의 실제 문제를 진단하기 위해, 교육과정 시행의 연구 관점과 실제, 교과교육과 교과서 개발, 그리고 교육평가의 원리와 실제를 살펴보았다. 제4부 교육과정 평가와 교육개혁의 쟁점 분야는 교육과정의 미래 동향을 예측하기 위해, 교육과정의 평가와 교육과정 정책, 교육과정 개정과 교원업적 평가, 그리고 포스트모더니즘과 열린교육이 탐구되었다.
제5부 인적자원 개발과 인간관계론의 쟁점 분야는 지식기반시대의 인적자원 개발의 특징을 규명하기 위해, 인적자원 개발의 육성 체제, 교수체제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일터 학습이론과 교육프로그램 평가를 조명하였다. 지식창조시대의 인간관계론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살펴보기 위해, 웹 시대의 인간관계론, 요구 개념과 요구사정 절차, 그리고 경영관리와 인간관계론을 분석하였다.
책을 집필 할 때마다 느끼는 두려움이지만, 탈고를 하고 보니, 선무당이 존경하는 은사님께 오히려 심려와 누를 끼치는 일만 한 것 같아 죄송스럽기만 하다. 그러나 이번에도 용감하고, 겸손하게 자기를 낮추며 살라고 하신 스승님의 말씀을 되내이며, 앞으로 이 책을 좀 더 보완할 것을 약속드리겠다는 말로 인사를 대신 드립니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여러분들의 사랑의 가르침과 도움이 매우 컸습니다. 특히 오늘날까지 필자를 학문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이끌어 주셨던 부모님과 이성호 교수님, 한종철 교수님, 김수천 교수님, 이칭찬 교수님, 피정만 교수님, 안범희 교수님, 이종각 교수님께 부끄러움을 무릅쓰고 이 책을 바칩니다.
여러 번의 여름과 겨울 방학 내내 원고 집필을 마칠 수 있도록 도와준 아내 희경에게 감사하고, 언제나 기쁨과 희망을 주는 범래에게 미안함을 이 책으로 대신합니다. 날이 갈수록 희망의 꿈과 행복의 비전을 제시해주는 희경이와 범래에게 감사를 드립니다. 그리고 무더운 여름, 책이 거듭 날 수 있도록 새로운 체제 형태의 발간을 허락해 주신 교육과학사 가족분들에게 거듭 감사를 드립니다.


목차


머리말/3


제1부 교육과정 연구와 이론의 쟁점

제1장 교육과정의 개념과 정의 15
제1절 교육과정의 본질 16
1. 교육과정의 의미/16
2. 교육과정의 기능/23
제2절 교육과정의 정의 28
1. 정의와 연관된 논쟁/28
2. 전통적 입장의 오류/30
3. 새로운 입장과 교육과정 재개념화/32
제3절 교육과정에 대한 관점 34
1. 이분법적 논의와 일원론/34
2. 이분법적 논의 이외의 견해/36
3. 교육과정 선택의 과제/38
4. 교육과정 적용의 과제/40


제2장 교육과정 연구의 방법과 실제 45
제1절 교육과정 연구방법의 관점 46
1. 인간관계에 관한 연구방법의 관심/46
2. 교육과정 연구의 성격과 방향/51
3. 교육과정 연구의 패러다임 논쟁/53
제2절 교육과정 연구의 내용 55
1. 과학주의 연구방법/55
2. 인본주의 연구방법/59
제3절 교육과정 연구의 특징과 과제 65
1. 교육과정 연구의 특징/65
2. 교육과정 연구의 주요 논쟁/69
3. 교육과정 연구의 과제와 전망/72

제3장 교육과정 이론의 특징과 원리 77
제1절 교육과정 이론의 특징 78
1. 교육과정 이론의 주요 과제/78
2. 교육과정 이론의 구조/81
제2절 교육과정 이론의 정의와 형식 83
1. 교육과정 이론 연구의 근거/83
2. 교육과정 이론의 정의/85
3. 교육과정 이론의 기능/90


제3절 교육과정 이론의 원리 95
1. 타일러의 교육과정 이론/95
2. 듀이의 교육과정 이론/98
3. 브루너의 교육과정 이론/101
4. 문화재생산론의 교육과정 이론/104


제2부 교육과정 결정 문제의 쟁점

제4장 교육과정 결정 준거와 유형 111
제1절 교육과정 결정 문제와 교육적 인간상 112
1. 인류의 인간관계 역사와 교육과정 결정 문제/112
2. 교육적 인간상과 자유교육의 쟁점/116
3. 교과의 특성과 교육의 사회적 책무/120
제2절 교육과정 결정 준거의 현황과 과제 124
1. 자유주의와 신자유주의/124
2. 교육과정 결정 준거의 보수와 진보 논쟁/129
3. 교육과정 결정 준거의 교류 전망/133
제3절 교육과정의 유형과 학습이론 136
1. 교과중심 교육과정과 형식도야 이론/136
2. 경험중심 교육과정과 동일요소설/138
3. 학문중심 교육과정과 일반전이설/140
4. 인간중심 교육과정과 대뇌기능이론/143

제5장 교육과정의 결정 구조와 철학적 이해 147
제1절 교육과정 결정 구조와 개념 148
1. 교육과정 결정의 철학적 구조/148
2. 교육과정 결정의 행정적 구조/154
3. 교육과정의 편제와 결정 구조/155
제2절 교육과정 계획과 상담가 159
1. 교육과정 계획과 변화 요인/159
2. 사회적 가치와 교과서 편찬 체제/164
3. 교육과정 상담가의 책무/166
제3절 철학적 태도 유형과 철학사조 170
1. 철학적 태도 유형의 점검/170
2. 다섯 가지 철학사조의 내용/174

제6장 교육과정 개발과 학교중심 교육과정 179
제1절 교육과정 개발 전략과 모형 180
1.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와 특성/180
2. 교육과정 개발 참여자와 기관/184
3. 교육과정 개발 절차의 모형/187
제2절 타일러의 교육과정 개발 원리 192
1. 교육목표의 설정/192


2. 학습자의 필요/195
3. 현대사회의 요구와 교육철학적 근거/197
4. 학습경험과 교육평가의 과제와 전망/200
제3절 학교중심의 교육과정 개발 203
1.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의미와 역사/203
2.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환경과 전략/205
3. 학교중심 교육과정 개발의 구조와 특징/207


제3부 교육과정 시행과 교과운영 및 평가의 쟁점

제7장 교육과정 시행의 연구 관점과 실제 215
제1절 교육과정 시행의 연구 관점 216
1. 교육목표의 충실성 관점/216
2. 사회적 맥락의 상호적응 관점/220
3. 교사와 학생의 형성 관점/223
제2절 교육과정 시행의 개념 228
1. 시행의 개념적 정의와 기본 가정/228
2. 시행 요소와 연구방법론의 가정/231
3. 3가지 관점 시행의 과제와 전망/233
제3절 교육과정 시행의 실제 235
1. 교육과정 시행의 유형/235
2. 교과 편제의 조직과 시행/239

제8장 교과교육과 교과서 개발 245
제1절 교육내용과 교육방법 246
1. 교육내용의 두 유형/246
2. 교육방법의 두 유형/250
제2절 교과목의 운영 실태와 문제 253
1. 언어학과 외국어/253
2. 수학과 과학/258
3. 사회와 예?체능 및 다중지능의 교과지도/261
제3절 교과서 개발과 활용의 과제 267
1. 교과 연구를 위한 기본 틀/267
2. 교과서의 가치와 내용 통제/271
3. 흥미분야별 교과계열 측정/274

제9장 교육평가의 원리와 실제 277
제1절 교육평가의 시각과 유형 278
1. 교육평가의 의미와 시각/278
2. 교육평가의 기능과 모형/281
3. 교육평가 유형의 특징/284
제2절 교육평가 도구와 교육목표의 평가 287
1. 교육평가의 시기와 도구의 측정학적 특징/287


2. 교육목표의 분류와 진술/292
3. 객관식평가와 주관식평가/296
제3절 정의적 교육의 의미와 실제 299
1. 정의적 교육의 의미와 강화 방안/299
2. EQ의 특성과 예시적 측정/304


제4부 교육과정 평가와 교육개혁의 쟁점

제10장 교육과정 평가와 교육과정 정책 315
제1절 교육과정 평가의 역사와 구성 요소 316
1. 교육과정 평가의 역사/316
2. 교육과정 평가의 방법과 사정 활동/319
3. 교육과정 평가의 구성 요소와 범위/322
제2절 교육과정 평가의 방법과 영향 325
1. 교육과정 평가의 방법과 정치적 기능/325
2. 교육과정과 평가의 관계/327
3. 교육과정 평가의 영향력과 전망/330
제3절 교육과정 정책의 기능과 특성 334
1. 교육과정 정책의 정의와 목표/334
2. 교육과정 결정 참여자와 주도 집단/337
3. 교육과정 결정 절차와 상호작용 모형/340

제11장 교육과정 개정과 교원업적평가 345
제1절 교육과정 개정의 특성과 운영 현황 346
1. 교육과정 정책의 기본 방향/346
2. 교육과정의 개정 시기별 주요 사항과 특징/348
3. 교육과정 개정의 목적과 운영의 실제/352
제2절 교육과정 개정의 영향 요인 356
1. 교육과정 개정의 종교, 정치, 실용주의/356
2. 교육과정 개정의 평등성과 수월성/362
제3절 교직의 특성과 교원업적평가 368
1. 교직의 특성과 교직관의 유형/368
2. 교원업적평가의 목적과 사례/372

제12장 포스트모더니즘과 열린교육 381
제1절 신세대와 열린교육의 이해 382
1. 신세대의 주장과 수요자중심 교육/382
2. 신세대의 특성과 포스트모더니즘/384
3. 신세대의 사고와 생활의 열린교육/387
4. 지식기반사회의 업무 특성/389
제2절 포스트모더니즘의 교육적 경험과 열린교육 392
1. 과학적 합리성과 절대성의 부정/392
2. 창의성과 다원성의 추구/394


3. 의사소통과 문화의 상대성/397
제3절 열린교육의 특성과 교육개혁 과제 399
1. 열린교육의 의미와 특성/399
2. 열린교육의 교육개혁 방안/402
3. 열린교육의 교육적 가치와 과제/406


제5부 인적자원 개발과 인간관계론의 쟁점

제13장 지식기반시대의 인적자원 개발 411
제1절 인적자원 개발의 육성 체제 412
1. 선발과 교육 및 직무역량/412
2. 기본 역량과 역량의 특징/414
3. 인적자원 개발의 역량모형과 직무분석/416
제2절 교수체제와 교육프로그램 개발 420
1. 교수체제 개발 모형/420
2. 교수활동의 분석과 설계/422
3. 개발 및 대안적 접근/424
제3절 일터 학습이론과 교육프로그램 평가 426
1. 성인학습 이론/426
2. 커크패트릭의 4수준 평가/430
3. 성공사례 방법의 특징/431

제14장 지식창조시대의 인간관계론 433
제1절 웹 시대의 인간관계론 434
1. 웹 시대의 교육환경과 인간 삶의 변화/434
2. 웹 시대의 인적자원 개발과 인간관계의 영향 요인/438
3. 세계적 인간관계 생활양식과 문화/443
제2절 요구의 개념과 요구사정 절차 446
1. 요구의 개념과 요구조사 매트릭스/446
2. 요구사정의 3단계 절차/449
제3절 경영관리와 인간관계론 453
1. 목표관리와 인간관계/453
2. 갈등관리와 집단지도/457
3. 합의적 의사결정의 유형/459

참고문헌 463
찾아보기 48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