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

교육과정 및 교수방법

  • 양미경
  • |
  • 교육과학사
  • |
  • 2013-02-20 출간
  • |
  • 570페이지
  • |
  • 188 X 254 X 35 mm /1200g
  • |
  • ISBN 9788925406503
판매가

24,000원

즉시할인가

23,76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3,76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증보판과 마찬가지로 3판에서는 전체를 다시 고쳐 쓰기보다는 기존의 관점과 일관된 시각에서, 내용교수 지식(9장), 협력학습(15장), 강의평가(16장), 학제연구(23장), 집단지성(24장) 등의 주제를 중심으로 새로운 논의를 추가하였다. 급변하는 학문적, 사회적 변화가 던지는 메시지를 교육을 본위로 한 시각에서 새롭게 해석하고자 한 것이다.
9장에서는 교과교육학의 정체성을 이루는 핵심 개념이라 할 수 있는 ‘내용교수 지식(pedagogical content knowledge)’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검토하고, 이 분야의 연구가 지니고 있는 공통적인 한계를 비판하였다. 15장에서는 그동안 이론적, 실천적으로 상당한 지지를 받아 온 ‘협력학습’의 원리를 최근 그 가치가 주목되고 있는 ‘집단지성의 구현’이라는 관점에서 새롭게 분석해 보았다. 16장에서는 대학 강의의 질적 향상 등을 목적으로 최근 강화되고 있는 ‘학생의 평정에 의거한 대학 강의평가 방식’의 의의와 한계를 비판적으로 고찰하였다. 23장에서는 최근 국내외에서 강조되고 있는 ‘학제연구’의 목적과 방법을 비판적으로 분석하였다. 끝으로 24장에서는 최근 컴퓨터 통신체계의 발달과 함께 많은 주목을 받고 있는 ‘집단지성’의 의의를 교육학적으로 해석해 보고자 하였다.


목차


제Ⅰ부
교육과정의 구성

제1장
학교의 기능과 교육 3
1. 학교의 다중적 기능 3
2. 학교 정책 결정의 난점: 가치관의 개입과 갈등 9

제2장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 17
1. 교육과정 개발의 패러다임 19
2. 교육과정 이해의 패러다임 25
3. 교육과정 연구의 관점 선택 36

제3장
교육 본위 교육과정 연구의 논리 41
1. 교육과정 연구의 동향과 그 한계 41
2. 교육 본위 교육과정 연구의 이론적 전제 46
3. 학교교육과정 편성에 대한 실천적 시사 55

제4장
지식과 교육과정 67
1. 진리관 및 언어관의 변화 67
2. 교육과정 구성 논리의 재조명 72

제5장
정보 사회와 학교 교육과정 83
1. 정보 사회의 지적ㆍ문화적 특성 84
2. 학교 교육과정 재구조화의 필요성과 방향 95

제6장
교과 통합지도의 의의와 방법 107
1. 의의 및 인식론적 배경 108
2. 유형과 준거 112
3. 사례에 대한 비판적 분석 120

제7장
교과서의 성격과 구성 129
1. 학교의 기능과 교과서 129
2. 자기주도적 학습의 강조 134
3. 정보화 시대의 맥락과 교과서 138
4. 교과서 구성의 방향 143

제8장
교과내용 적정화: 방법 및 제약 요인 157
1. 교과서 내용 분석의 방법론적 동향 158
2. 교과서 집필 기준과 내용 구성의 실제 168
3. 내용 구성 방식의 전환을 어렵게 하는 구조적 요인 171

제9장
내용교수 지식의 이해 181
1. PCK 개념의 의미 및 의의 183
2. PCK 관련 선행연구의 타당성 검토 184

제Ⅱ부
교육적 상호작용

제10장
배움과 질문 197
1. 학습자의 질문의 교육적 의의 199
2. 질문 생성의 요건 204
3. 질문의 생성을 촉진하는 교육 방법 207

제11장
가르침과 질문 221
1. 교사의 질문의 특성 222
2. 선행 연구의 동향과 한계 224
3. 교사의 질문 목적 230
4. 질문의 활용과 학생 반응의 처리 234

제12장
교육적 대화의 특성 241
1. 유사 개념과의 차별화 243
2. 교육적 대화의 특성과 조건 253
3. 대화적 학교 문화의 조성 263

제13장
교육과 언어적 상호작용 265
1. 대면관계의 의의 267
2. 언어와 체험 271

제14장
체험학습의 조건 281
1. 언어주의 교육의 한계 283
2. 경험의 이론 의존성 286
3. Dewey의 경험 이론의 시사점 289
4. 상황적 학습 이론의 시사점 291
5. 체험학습의 조건과 원리 297

제15장
집단지성과 협력학습의 원리 303
1. 집단지성의 의미와 특성 305
2. 집단 과제수행 효과에 대한 비판적 검토 307
3. 집단지성의 구현을 위한 협력학습의 원리와 과제 315

제16장
강의평가의 의의와 한계 329
1. ‘우수 강의’의 성격과 강의평가의 의의 330
2. 학생의 평정 방식의 한계 338

제Ⅲ부
교육학적 재해석

제17장
수행평가의 의의와 한계 357
1. 수행평가 정책의 개요 358
2. 수행평가의 의미와 방법 360
3. 수행평가 시행상의 딜레마 362
4. 수행평가 정책의 향후 과제 369

제18장
학습자 오류와 평가 375
1. 지식의 성장과 인식의 오류 377
2. 오류의 상대성 380

제19장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 387
1. 학습자의 인식론적 신념에 대한 연구의 동향 389
2. 교육적 재해석과 향후 연구과제의 탐색 402

제20장
교육과 시간 415
1. 객관적 시간과 체험적 시간 417
2. 시간 체험의 다양성 421
3. 교육적 기다림 426
4. 변화 가능성 432
5. 유한성 435

제21장
교육과 사이버 공간 441
1. 사이버 공간의 매체적 특성 443
2. 교육적 관계의 특성 447
3. 사이버 공간에서의 교육적 관계 형성 450
4. 사이버 공간의 교육적 기획 455

제22장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 459
1. 하이퍼텍스트의 특성 460
2. 하이퍼텍스트 학습 환경의 이해 463

제23장
학제연구의 목적과 방법 475
1. 분과학문 체계의 형성과 그 의의 및 한계 476
2. 학제연구의 목적 및 방법의 검토 481

제24장
집단지성의 특성과 교육적 시사 499
1. 집단지성의 의미와 특성 500
2. 집단지성의 형성 조건 및 기제 510
3. 집단지성 논의의 교육적 의의와 시사점 521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