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교육미학

교육미학

  • 김연희
  • |
  • 교육과학사
  • |
  • 2012-11-30 출간
  • |
  • 278페이지
  • |
  • 176 X 225 X 20 mm
  • |
  • ISBN 9788925406381
판매가

12,000원

즉시할인가

11,880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1,880

이 상품은 품절된 상품입니다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우리 사회에서 예술교육에 대한 요구가 점점 커져가고 있지만, 교육적 문맥 속에서 예술의 본질과 기능, 그리고 그 필요성에 대해 진지하게 고민하는 이론적 접근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예술교육의 실천은 예술의 본성을 제대로 알고 몸으로 느끼는 데서 출발해야 한다. 예술의 본성은 교육의 본성과 맞닿아 있기 때문이다. 저자는 예술의 본성과 교육의 본성이 어떻게 만나는지를 이론화하는 작업을 교육미학이라 명명하였다. 저자가 미학연구자로서 미학의 경계지점에서 학제적이고 실천적 함의를 품은 교육미학 연구를 시작한 배경에는 미학이 예술과 교육 현장의 실천적 변화를 선도할 철학과 이론으로 자리매김해야 할 필요성을 느꼈기 때문이다.
이 책은 이론적이고 철학적인 연구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예술을 통해 우리 사회의 긍정적 변화를 만들 수 있다는 실천적 믿음에서 출발한다. 저자가 이런 믿음을 갖게 된 이유는 국립현대미술관의 큐레이터로서 현장경험에서 얻은 교훈 때문이다. 현장 경험에서 느낀 예술의 교육적 기능, 그 가능성과 한계는 미학연구자로 돌아온 저자가 미학을 예술교육의 철학과 이론으로 만들어 보자고 결심하게 된 동기가 되었다.
교육현장에서의 예술적 실천은 부단히 변화하는 다양하고 미묘한 상황들 속에서 이루어진다. 아무리 잘 만들어진 예술교육과정이나 프로그램도 그 상황에서의 일회적 사건으로서만 의미를 가질 뿐이다. 따라서 예술교사나 예술적 매개자들이 예술적 상황을 감지하는 순발력과 통찰력을 키우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이런 순발력과 통찰력은 교육과 예술의 원리를 몸으로 깊이 있게 체득하지 못하면 획득할 수 없는 능력이다. 그런 이유로 우리는 예술교육에 대한 철학과 이론을 정립할 필요가 있다 할 것이다. 예술교육에 관심을 둔 좀 더 많은 독자들이 예술교육과 관련된 경험적 현상 너머에서 그 현상들이 발생하고 전개되는 이유와 원리에 관해 조금 더 깊이 성찰하는 데 도움이 되기를 바란다.

책의 출전
이 책의 서론에서 4장과 제8장은 저자의 박사논문『존 듀이의 질적 사고와 예술교육』(2008, 홍익대)의 내용을 수정하여 다시 집필하였다. 그리고 제5장은 ?존 듀이의 미적 비평과 교육적 함의?,『미학』 제54집 (2008), 제6장은 ?‘질적 탐구’로서의 미술비평 - John Dewey의 관점에서 교육적 미술비평에 대한 재고찰?.『미술교육논총』. 제23권 1호(2009), 제7장은 ?미술관 교육에서 경험과 이해의 통합적 접근을 위한 고찰?,『미술과 교육』 제10집. 1호(2009)에 실린 글을 수정하여 다시 집필하였다. 부록인 ?해외예술학교 사례-싱가폴 예술학교 교육과정?은 저자의 단독연구인『새로운 예술영재교육을 위한 교육철학과 교육과정-싱가폴 예술학교 교육과정사례를 중심으로』, 한국예술영재교육연구원(2010년 연구보고서)에 실린 내용을 재수록 하였다.


목차


[서론] 교육미학을 위한 예비적 고찰 15
I. 왜 다시 듀이의 미학에서 배우는가? 15
II. 왜 예술교육에 대한 인지적 접근이 필요한가? 22
1. 지각적 사고 / 22
2. 형태심리학 / 24
3. 구성주의적 사고 / 26
4. 인지주의 예술론 / 28

제1부 존 듀이, 이론적 탐색

제1장 프래그머티즘과 예술 33
I. 프래그머티즘의 방법 33
1. 프래그머티즘의 배경 / 33
2. 프래그머티즘의 정의 / 36
II.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41
1. 프래그머티즘과 지식론 / 41
2. 프래그머티즘과 예술론 / 44

제2장 직접적 경험과 예술 49
I.직접적 경험의 의미 49
1. 경험의 개념 / 49
2. 경험과 제임스의 심리학 / 52
3. 경험과 형태심리학 / 55

II. 경험의 직접성 57
1. 성질: 직접성 / 57
2. 상황: 상호작용과 연속성 / 61
3. 센스: 직접적 의미 / 65

III. 경험으로서의 예술 71
1. 경험의 연속성 / 71
2. 하나의 경험과 예술 / 74

제3장 질적 사고와 예술경험 81
I. 질적 사고의 개념 81
1. 사고의 의미 / 81
2. 질적 사고의 배경 / 84
3. 질적 사고의 분석 / 88
4. 질적 사고의 의의와 난점 / 101

II. 질적 사고와 예술경험 104
1. 예술 구성의 논리 / 104
2. 질적 탐구: 예술경험의 과정 / 112

제4장 예술과 탐구: 듀이와 굿맨 121
I. 전체론적 프래그머티즘과 탐구적 재구성 / 121
1. 분석미학에의 영향 / 121
2. 예술과 과학의 재개념화 / 124

II. 예술과 탐구: 정서의 인지적 기능 128
1. 지식에서 이해로 / 128
2. 미적 이해 / 131
3. 인지적 정서와 인지적 진보 / 134

III. 질적 사고와 예술언어 138
1. 듀이와 굿맨의 유사성 / 138
2. 듀이와 굿맨의 차이 / 143

Ⅳ. 듀이 미학의 장점 147

제2부 예술교육, 실제적 이론

제5장 미적 비평과 교육 153
I. 미적 비평의 배경 153
II. 미적 비평과 판단 155
1. 판단으로서의 미적 비평 / 155
2. 판단의 기능: 식별과 통합 / 158

III. 미적 비평과 감상 165
Ⅳ. 미적 비평과 평가 169
Ⅴ. 미적 비평과 교육 174

제6장 예술과 비평적 탐구 177
I. 탐구 관점의 미술비평의 대두 177
II. 비평적 탐구 181
III. 미술비평 교육을 위한 제안 185

제7장 예술경험과 미술관교육 193
I. 미술관교육의 구성요소 193
II. 통합적 경험으로서의 예술경험 197
III. 이해와 시각적 해득력 200
IV. 경험과 이해의 통합 206
V. 사례분석 210

제8장 예술 기반 통합교육 215
I. 지식 패러다임의 변화와 예술교육 215
II. 인식과 문화의 통합과 예술교육 217
1. 인식적 측면 / 219
2. 문화적 측면 / 221

III. 예술 기반 통합교육 224
1. 예술기반연구 / 224
2. 교육 속 예술 / 226

[부록] 해외 예술학교 사례-싱가폴 예술학교 교육과정- 231
1. SOTA 학교의 교육철학과 특징 / 232
2. 교육과정의 체계와 교과목 / 244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