꿈을 강요하는 시대, 자유롭게 꿈꿀 권리를 외치다!
“엄마, 나 꿈이 바뀔 거 같은데 생기부 어쩌지요?”
10대들의 생기부는 장래희망 칸에 적어 넣는 글자 하나에도 긴장감이 파르르 스친다. 학교에서는 진로 교육의 일환으로 어릴 때부터 구체적인 꿈을 가지라고 권하지만, 정작 준비가 덜 된 아이들은 꿈이 없다고 하소연하고, 애가 달은 부모님들이 손수 진로를 정해 주는 일이 잦아진다고. 때문에 뒤늦게 ‘이게 정말 내 길인가?’라는 고민에 빠진 아이들은 졸업 후, 대학생이 되거나 사회 초년생이 되어서까지 긴긴 방황을 하게도 된다. 지금 아이들에게는 꿈꾸는 일조차 버거운 숙제가 되어 버린 것이 아닐까?
『꼴값』은 아이들을 둘러싼 정글 같은 현실을 날카롭지만 따뜻한 시각으로 비추어 온 작가 정연철의 두 번째 청소년 장편 소설이다. 남들이 어떻게 보든 “내 꼴에 맞는 값어치를 반드시 하겠다”고 작심한 중학생의 하루하루를 그리고 있다. “헤어스타일을 포기하는 건, 인생을 포기하는 거야!” 최고의 헤어 디자이너가 되기로 결심한 중3 조창대의 똥꼬 발랄 봄바람 같은 꿈 분투기!
통닭집 외아들로 호텔 주방장을 꿈꾸지만 엄마의 반대에 부딪히는 ‘병국’(《주병국 주방장》), 친구들에게 빈대 취급 받지만 내일의 꿈을 포기하지 않는 ‘수호’(《열일곱, 최소한의 자존심》) 등, 작가는 한 사람 한 사람 제몫의 삶에서 전인미답의 길을 걷고 있는 방랑자이자 개척자인 아이들의 고군분투를 그려 왔다. 《꼴값》 또한 집과 학교 그 어디에서도 환영받지 못하는 중학생 창대가 바위로 돌진하는 계란이 된 심정으로, 누구보다 비싼 ‘꿈값’을 치르고 있다.
인생은 상품이 아닙니다, 강매하지 마세요!
대한민국 50만 수험생의 운명을 가를 중3 여름방학을 앞둔 창대! 선생님은 창대더러 새대가리에 말이 안 통하는 꼴통이라며 부진아 수업을 신청하라고 종용하지만 창대 마음은 콩밭에 가 있다.
인생은 오색찬란하다. 까만 직모로 태어났지만 각양각색으로 바꿀 수 있는 인생이 난 참 좋다._26쪽
창대는 장담한다. 만약 ‘영재 발굴단’이 미용계 신예를 수소문한다면 그 주인공은 자기일 거라고. 미용실 알바를 갈 때면 가슴은 쿵더쿵쿵더쿵 뛰고, 머리 잘라 오라는 엄마 돈 떼어먹고 헤어쇼를 볼 때면 시꺼먼 피시방도 오아시스 못지않다. 하지만 이를 어쩐담? 그동안 집에는 비밀로 해 온 미용실 알바를 누나 현미(고미)에게 들켜 버렸으니.
누나가 칠칠맞게 흘린 말은 아빠 ‘기복 씨’ 귀에까지 들어갔다. 남자라면 사관학교로 진학해야 출셋길이 열린다고 믿는 아빠는 창대 방을 샅샅이 뒤져 목숨처럼 소중한 미용 도구들을 짓밟고 망가뜨린다.
학교는 집보다 더 숨이 막힌다. 하루라도 머리를 하지 않으면 입에 가시가 돋칠 정도인데 생활지도부장 선생님 ‘개복 씨’가 그런 창대를 가만둘 리 없다. 구한말 단발령 때가 이랬을까? 교문 단속 피하느라 오리걸음으로 길을 돌아 뒷담 넘기, 새벽같이 일어나 등교하기, 신종 독감이라고 거짓말 쳐서 결석하기……. 정말이지 눈물겹다.
꼴찌라는 성적표, 꼴통이라는 꼬리표, 꼴값 떤다는 폭언까지……. 핵짜증인 일상을 버티던 창대는 묘안을 낸다. 부러 개복 씨의 분노를 부추겨 뭔가 사달이 나면 그 모습을 동영상으로 찍어 고발하겠다는 것.
인터넷 기사를 열독한 끝에 학생 인권에 대한 지식으로 바싹 무장을 한 창대는 개복 씨에게 두발 단속이 인권 침해라고 주장한다. 그러나 개복 씨는 두발 규제는 일종의 사회적 전통이라는 원론적인 이야기를 반복할 뿐이다. “헤어스타일 맘대로 하는 게 그렇게 나쁜 거예요? 그게 흡연보다 음주보다 학교 폭력보다 왕따보다 나쁜 거예요?”라고 받아치던 창대는 감정이 복받쳐 눈물 콧물까지 쏟는다.(108~111쪽)
멋진 반란을 꿈꾸었던 창대의 꿍꿍이는 선도위원회 소환으로 보기 좋게 무너지고, 때마침 아빠의 가발 공장 파산 소식을 듣게 되는데……. 과연 창대는 미용 고등학교에 진학해 꿈에 한발 다가설 수 있을까?
‘헤어 디자이너’라는 꿈은 절묘하게도 진로와 인권, 두 가지 테마를 동시에 떠올리게 한다. 꽉 짜인 시간표, 시험 문제 한 개 맞고 틀리고에 희비가 엇갈리는 현실은 종종 학생다움이라는 가치를 내세워 인간다움을 잊고 살라고 강제한다. 게다가 모험보다는 안정을 추구할 수밖에 없는 기성세대가 제시하는 고만고만하게 비슷한 목표를 향해 달려가는 10대의 삶 속에서, 꿈꾸는 것은 가당치 않아 보인다.
창대는 “내가 아닌 여러 학생들 중 하나”가 되지 않기 위한 비책으로 ‘꿈’을 가꾼다. 일부 교육청에서 학생인권조례가 공포된 지는 8년차에 접어들고, 온 인간의 자유를 선언한 인권 선언이 탄생한 지는 200년도 훌쩍 지났다. 미래를 꿈꾸는 오래된 유전 인자를 지닌 사람이라면 누구든 창대의 재기 넘치는 교실 헤어쇼에 반하지 않을 수 없으리라.
성역할에 대한 고정관념을 깨는 살아 있는 캐릭터들
《꼴값》 속에는 이야기 갈피마다 또 다른 꿈을 품고 분투하고 방황하는 아이들이 등장한다.
창대의 ‘불알친구’를 자처하는 장미는 어떤가. 학교에서는 철저한 원칙주의자이지만 학교 밖에서는 철저한 자유주의자인 자유로운 영혼의 소유자 장미는 선도부장이다. 아빠의 폭력으로부터 엄마를 지켜내고 싶어 강한 사람이 되고자 일찌감치 여군이 되는 길을 준비해 왔지만, 어느 날 덜컥 아빠가 교도소에 가고 나자 자신이 군인이 되고 싶은 이유를 잃어버린다. 하지만 집과 학교 그 어디서도 축하받지 못하는 창대가 자신의 꿈을 꿋꿋이 키워 나가는 모습을 가장 가까이에서 지켜보며 여군 체험 캠프에 지원해 자신을 시험해 보기로 한다.
또 하나 관중이. 집 나간 엄마, 식당 일로 늦게 들어오는 아빠의 사정 때문에 부모님의 보살핌을 받지 못하지만, 칸트니 피히테니 생텍쥐페리니 하는 이상한 할아버지들의 명언을 줄줄이 꿰고 다닐 만큼 남다른 포스를 풍긴다. 그런 관중이는 어느 날 장미의 박력과 야성미에 이끌려 틈날 때마다 종이 장미 접기에 빠져 있더니 어느 날 뜬금없이 퀼트 가게 사장님이 되고 싶다고 고백한다.
창대, 장미, 관중이, 세 아이의 공통점은 어딘가 하나씩 보이지 않는 멍을 품고 있지만, 가슴속에 꿈을 키우고 있다는 것이다. 그 꿈들은 기성세대의 가치관에 의문을 던질 만큼 자유롭고, 아이들의 캐릭터 역시 그들이 꾸는 꿈만큼이나 생동감이 넘친다. 보다 빠르게 변화하는 직업의 시대, 편견에 가까운 성 역할도 급속히 무너지고 있는 가운데 우리 아이들의 분투를 진솔하게 담아내고 있다고 볼 수 있겠다.
현직 국어 교사인 작가는 말한다. 학기 초, 아이들과 상담할 때 장래 희망을 물어보면 어물쩍 넘어가는 경우가 꽤 많다고. 그 아이들에게도 언젠가 새싹처럼 고개를 디밀었던 꿈, 그 꿈이 멍울진 마음을 달래는 특효약이 아닐까 한다고. 봄바람이 겨울을 밀어내듯 꽃망울이 돋길 응원하는 마음으로 써 내려간 이 소설은 우리가 꿈꿀 때의 열망과 절망을 고스란히 담아내면서도 낭만과 현실의 간극에서 주저앉지 않고 전진하는 아이들의 모습을 발랄한 필치로 그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