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정(倉亭)에서 본초(本初)를 격파하는 조조(曹操)
기주(冀州)를 뺏기 위해 싸우는 원담(袁譚)과 원상(袁尙)
혼란을 틈타 견씨(甄氏:원외의 아내)를 차지한 조비(曹丕)
병풍(屛風)뒤에서 유비와 유표의 대화를 엿듣는 채부인(蔡夫人)
신야(新野)에서 영주(英主)를 만나는 서서(徐庶)
떠나면서 제갈량(諸葛亮)을 천거하는 원직(元直) 서서
삼고초려(三顧草廬)하는 유현덕(劉玄德)
융중(隆中)에서 천하삼분(天下三分)의 계책(計策)을 정하다
공명에게 계책을 구하는 형주성(荊州城)의 공자(公子) 유기(劉琦)
조조에게 형주(荊州) 헌납을 의논하는 채부인(蔡夫人)
단기로 주군(主君)의 어린 아들을 구하는 조자룡(趙子龍)
장판교(長坂橋)에서 장익덕(張翼德)이 적에게 교란작전을 펼치다
주화파를 물리치는 노자경(魯子敬:노숙)
주유(周瑜)에게 격장지계(激將之計)를 펼치는 공명
군영회(群英會)에서 계책에 걸려드는 장간(蔣幹)
뛰어난 계책으로 화살을 얻는 공명(孔明)
조조에게 거짓 투항문서를 바치는 감택(闞澤)
장강(長江)에서 잔치를 열어 시를 짓는 조조
칠성단(七星壇)을 쌓아 바람을 부르는 제갈량
화용도(華容道)의 일을 예상하는 제갈량(諸葛亮)
동오군(東吳軍)과 크게 싸우는 조인(曹仁)
노숙(魯肅)에게 지혜롭게 사양(辭讓)하는 제갈량(諸葛亮)
황한승(黃漢升)을 풀어주는 관운장(關雲長)
오국태(吳國太:손권의 어머니)가 절에서 신랑(유비)을 선보다
두 번이나 주공근(周公瑾:주유)의 감정을 자극하는 공명(孔明)
동작대(銅雀臺)에서 크게 잔치를 여는 조조(曹操)
시상구(柴桑口)에서 주유의 죽음을 조문(弔問)하는 와룡(臥龍)
마맹기(馬孟起:마초)가 군사를 일으켜 원한을 씻다
알몸으로 마초(馬超)와 싸우는 허저(許褚)
도리어 양수(楊修)를 곤란하게 하는 장영년(張永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