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영역
청각장애 / 의사소통장애
4영역 - 청각장애 무엇이 중요한가? / 8
❙ 청력 손실 11
주제 106 청각장애 선별검사 11
주제 107 순음청력검사 16
주제 108 기타 청각장애 유형 50
주제 109 어음청력검사 53
주제 110 5개음 검사/ 6개음 검사 58
주제 111 객관적 청력검사 63
주제 112 청각장애 학생의 특성 64
❙ 교육적 접근 69
주제 113 구화법 69
주제 114 구화법(청능훈련) 71
주제 115 구화법(보청기와 인공와우) 82
주제 116 구화법(독화 지도) 90
주제 117 수화법(수화와 지문자) 94
주제 118 TC와 2Bi 110
주제 119 농맹학생의 의사소통 양식 112
주제 120 통합교육 지원방안 114
4영역 - 의사소통장애 무엇이 중요한가? / 121
❙ 의사소통 장애 125
주제 121 의사소통장애의 정의 및 기본 개념 125
❙ 언어장애 127
주제 122 언어의 구성요소 127
주제 123 언어장애의 진단과 평가 140
주제 124 단순 언어장애 165
주제 125 실어증 166
주제 126 기능적 언어중재 170
주제 127 자연적 언어중재 173
주제 128 환경중심 언어중재 176
주제 129 강화된 환경중심 언어중재 203
주제 130 교사의 발화 전략 213
주제 131 기타의 언어중재 223
❙ 스크립트 문맥 활용 언어중재 226
❙ 낱말 찾기 훈련 I16230
❙ 총체적 언어 접근법 231
❙ 언어 경험 접근법 233
❙ 말장애 240
주제 132 말생성 240
주제 133 유아기에 나타나는 언어발달의 변화 242
주제 134 조음음운 장애 245
❙ 오류형태 250
❙ 음운과정의 오류 형태 256
❙ 조음음운장애 원인 262
❙ 중재 전략 263
주제 135 유창성 장애 268
주제 136 음성장애 277
❙ AAC 280
주제 137 AAC 목적 280
주제 138 AAC의 구성요소(상징) 284
주제 139 AAC의 구성요소(보조기기) 291
주제 140 AAC의 구성요소(전략) 292
주제 141 AAC의 구성요소(선택기법) 302
5영역
지적장애 / 학습장애
5영역 - 지적장애 무엇이 중요한가? / 310
❙ 정의 및 다차원적 접근 312
주제 142 지적장애의 정의 312
주제 143 인간 기능성의 개념적 틀(다차원적 모델) 317
주제 144 다차원적 모델(차원 1 지적 능력) 319
주제 145 다차원적 모델(차원 2 적응행동) 321
주제 146 다차원적 모델(차원 3 건강) 334
주제 147 지원 347
❙ 특성 및 교육적 접근 354
주제 148 지적장애 학생의 인지적 특성 354
주제 149 지적장애 학생의 심리 ․ 정서적 특성 377
주제 150 지적장애 교육과정에서 기본적으로 고려해야 할 원리 382
주제 151 기능 중심 교육과정 386
주제 152 학습 단계 428
5영역 - 학습장애 무엇이 중요한가? / 431
❙ 정의 및 분류 433
주제 153 학습장애 정의 및 분류 433
❙ 정의 434
❙ 분류 435
❙ 진단 437
주제 154 진단 모델 437
❙ 특성 및 교육적 접근 450
주제 155 기본적 심리과정상의 장애 450
주제 156 학문학습의 장애(읽기장애) 453
주제 157 학문학습의 장애(쓰기장애) 515
주제 158 학문학습의 장애(수학장애) 532
주제 159 구체적인 학습전략 5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