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형도와 20대를 보낸 ‘절친’ 김태연의 기형도와의 간절한 추억!
“그 빈 기쁨들을 지금 쓴다 친구여”
우리는 엄혹한 시대였지만 연세대학교 교내 서클 「연세문학회」에서 만나 잘 놀았다. 아주 신나게, 아주 희한하게, 아주 은밀하게. 푸른 20대를 어깨동무하고서 푸르디푸르게 보내다가 서른 고갯마루 앞에서 기형도는 그만 푸른 노을 대신 검은 노을을 보고 말았다.
어언 만 29년이다. 어느 날 갑자기 기형도가 우리 곁을 기막힌 방식으로 떠난 지도, 벌써....(중략)... 아무리 기막힌 죽음일지라도 대개는 시간과 함께 통증이 줄어들기 마련이다. 기억 역시 마찬가지다. 퇴색하지 않는 게 오히려 이상하다. 허나 나에게 있어 기형도는 예외였다.
나는 왜 지금까지도 기형도를 한시도 잊지 못할까...(중략)... 도대체 왜, 나는 어이하여 기형도한테 이다지도 오래도록 연연하는 것일까.
이 소설은 여기에 대한 나의 진솔한 답이자 기록이다.
-저자 서문 중에서
29세에 세상을 떠난 기형도,
29년 만에 풀어내는 기형도 삶과 죽음의 비의(祕意)!
이 세미-픽션을 쓴 계기는 기형도문학관 유품 수집을 총책임지고 난 후다.
여러 정황상 내가 아니면 할 수 없는 일이라 부득이 먼저 간 글벗을 위하여 무거운 짐을 졌다. 해서 2016년 4월부터 2017년 11월 10일 개관일까지, 기형도와 인연이 조금이라도 닿는 사람이라면 누가 됐든 집중적으로 수소문하고, 통화하고, 만났다. 그 과정에서 기형도 매력을 숱하게 공유하기도 하고 재발견하기도 했다. 하지만 잘못 알려진 경우도 있었다. 특히 사이버 공간에서의 기형도는 내가 알던 기형도가 아니었다. 완전히 딴사람이 되어 있었다. 이건 아니었다. 천부당만부당한 일이었다. 살아 있는 문우로서 악랄한 폄훼를 더 이상 묵과할 수가 없을 정도였다. 일종의 의무감을 느꼈다. 그래서 가능하면 기형도의 푸른 날을 있는 그대로 복원하는 데 중점을 두었다. 독자들의 최종 판단을 돕자는 취지다.
-저자 후기 중에서
『기형도를 잃고 나는 쓰네』는 기형도와 대학 시절 절친한 친구였던 소설가 김태연이 29년간 품어왔던 기형도와의 추억을 풀어낸 소설이다. 저자 김태연은 기형도와 주고받은 편지나 스스로의 기록 등을 토대로 소설 형식을 빌어 이 소설을 사실적으로 ‘기록’했다.
1979년 대학 1학년 때 같은 대학 서클이었던 ‘연세문학회’에서 함께 활동하면서, 함께 술 마시고 노래하고 토론하고, 세상을 아파하고, 철학과 문학과 수학을 얘기했던 그 시절을 작가 김태연은 기형도를 중심축에 놓고 충실히 재현한다.
기형도가 무엇을 아파했고, 무엇 때문에 절망했으며, 무엇 때문에 29세의 새파란 나이(1989년 3월 7일)에 종로 2가 부근의 한 극장에서 새벽 3시 30분경 사망했는지를 이 소설은 들려준다.
기형도가 세상을 떠나고, 작가에게 29년 동안 아프게 간직되었던 슬프고 기쁜 기록들이 이제 세상을 향해 나아간다. 철학과 시를 사랑한 기형도, 수학과 소설을 사랑한 김태연. 둘은 단짝이 되어 연세대의 캠퍼스를 누비며 20대의 찬란한 청춘을 보내는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