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다시, 빛 속으로

다시, 빛 속으로

  • 송호근
  • |
  • 나남
  • |
  • 2018-02-10 출간
  • |
  • 358페이지
  • |
  • 규격外
  • |
  • ISBN 9788930006439
판매가

14,800원

즉시할인가

14,652

배송비

2,5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4,652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경계에 선 작가 김사량
일제강점기 말의 작가 김사량(金史良, 1914~1950)은 26세에 쓴 소설 《빛 속으로》로 1940년 아쿠타가와상 후보작을 수상했다. 당시 심사위원이었던 1968년 노벨문학상 수상작가 가와바타 야스나리(川端康成)는 김사량의 작품을 수상작으로 내정했지만, 그가 ‘반도인’이라는 이유로 후보작을 줄 수밖에 없었다. 이후 일본어와 한국어를 넘나들며 이루어진 그의 작품활동은 민족성, 토속성을 근간으로 했지만, 궁극적으로는 지역을 넘어선 근대적 보편성을 추구했다. 작가 황석영은 그의 작품을 읽고 “조선과 일본을 넘어선 동아시아의 당대 보편성 속으로 훌쩍 넘어가 버렸다. 식민지의 ‘우물 속을 벗어난’ 젊은 루쉰을 보는 느낌이었다”고 평한 바 있다.
그러나 일제강점기와 이후 이어진 해방공간이라는 시대적 혼란은 그의 문학을, 삶을 삼켜 버렸다. 일본 황군 위문단으로 북경에 파견된 그는 일제의 억압을 벗어나고자 연안의 태항산으로 탈출하였고, 그곳에서 조선의용군 선전대에 가담하였다. 광복 후 고향 평양으로 돌아가서는 북조선예술가총연맹 간부로, 6ㆍ25전쟁 종군작가로 활동해야만 했다. 이러한 격변 속에서 김사량의 글은 이데올로기적 도구가 되어 투박하게 변해 갔으며, 전쟁으로 목숨마저 잃어야 했다. 그리고 이후 이어진 체제대결 상황에서 그의 문학은 남ㆍ북 모두에서 삭제되었다.

빛은 어디로부터 오는가?
“분단 이후 무엇이 김사량의 글을 그토록 변하게 만들었는가? 혼란스러운 시대상황 속에서 그가 찾아 헤맨 ‘빛’은 무엇이었는가?” 송호근 작가는 자신이 오랫동안 품어 온, 그리고 김사량 문학 연구자들이 해석하지 못한 이러한 의문에 스스로 답하고자 주어진 자료와 사회학적 상상력을 토대로 “상상의 집을 지어 올”렸다. 문학이라는 형식을 빌려 역사적인 연구를 통해서는 접근할 수 없었던 김사량의 삶, 그리고 그가 추구한 ‘빛’에 더 가까이 다가가고자 한 것이다. 그는 전작 《강화도》로 소설에 입문하게 된 계기에 대하여 “객관의 세계를 떠나 소설적 상상력을 통해 지금 현실을 보여 주고 싶었다”고 밝힌 바 있다.
또한, 이 과정을 통하여 송호근 작가는 김사량으로 대표되는 당대 사람들의 정신과 육체가 체제와 이데올로기로 인하여 얼마나 망가졌는지를 생생하게 묘사한다. 사회학 연구로는 묘사할 수 없었던 시대적 아픔을 소설이라는 형식을 통하여 보다 실감나게 표현하고자 한 것이다.
“빛은 이데올로기에서 나오는 것이 아니다. 인간의 삶을 야만으로 몰고 가는 모든 억압의 가면을 벗기는 행위가 빛이다.” 소설 속 화자를 통해 송호근 교수가 말하는 ‘빛’의 의미이다.

아버지를 찾아서
기록된 바 없는 분단 이후 김사량의 삶을 찾아 나가는 소설 속 주체는 그의 아들이다. 김사량 본인이나 제3자가 아닌 아들의 시선을 통해 그를 발견하고 이해하는 것이다. 사실 김사량의 아들로 대표되는 전후 세대는 ‘아버지가 없는 세대’, 즉 정신적 중추가 없는 세대이다. 일제강점기를 거쳐 온 아버지 세대의 굴종을 부정해야 했고, 6ㆍ25전쟁에 휘말렸던 전쟁 세대의 정신적 빈곤을 거부해야 했다. 누구로 돌아가야 하는가? 누구를 정신의 버팀목으로 설정해야 하는가? 이는 20세기 한국의 정신사적 문제의 핵심이라는 것이 송호근 작가의 진단이다. 결국 아들이 김사량을 찾아 나가는 과정은 김사량이 겪은 고통을 추체험하고 이해하는 작업임과 동시에 대한민국을 성장시켜 온 전후 세대의 정신적 혼란을 진단하고 치유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그리고 소설을 통해 다시 오늘의 세대 또한 전후 세대의 아픔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목차

작가의 말 5

고향만리

태항산채 15
전투 28
취조 38
노선분열 47
의무대원 홍숙영 53
자작나무 숲 62
의무동 71
진격명령 77
회상 82
종전 방송 89
축제 93
고향만리 98
장지민 동지 102
이별예감 110
혁명 풍문 115
숙영의 절규 122
김두봉 128
신다니 도시오 140
허정숙 145
작별 152

아버지를 찾아서

김봉현 기자 161
자유실천문인협의회 169
아버지의 기억 175
김달수 182
퍼즐 189
도쿄 시절 199
《제방》 동인 206
장마 216
중앙정보부 221
정욱제 227
이서현 부장 237
강채원 247
추적 253

다시, 빛 속으로

전화 269
부산행 275
전쟁 282
미처 못 한 말 296
비밀협약 308
하동으로 319
현준식 329
다시, 빛 속으로 336
마지막 편지 341

김사량 연보 351
참고문헌 356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