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문]
조경, 조경소재개발, 기후변화, 자연환경복원, 녹색복지, 전통문화 등은 나의 관심분야이면서 연구대상이다. 전통조경을 연구하다 전통문화유산에 대하여 관심을 가지게 되었다. 전통문화유산은 한 사회나 사회집단에 나타난 정신적, 문화적, 감성적, 지적인 것의 총체적 복합물로써 인간적 삶의 그 자체이며, 역사성, 장소성, 인생관, 생활양식 등을 간직하고 있어 전통문화유산에 담겨져 있는 의미와 가치를 찾아내는 노력은 잃어버린 옛 향수를 되찾아 현대적 의미와 가치로 복원하는 의미 있는 작업이라 생각한다. - (중략) -
잊혀져가는 해자垓字를 통해 전통문화유산을 찾아 국민들의 정서를 함양시키고 창의적으로 발전시켜 국가의 성장 동력에 밑거름이 되길 기대해 본다.
- 저자 정용조
전통공간이라는 주제의 연구를 진행하다 들여다보게 된 풍류는 상고시대에 기원하여 신라 화랑의 정신적 근간이자 우리민족 고유의 중심사상이었으며 불교와 유교, 도교의 영향을 받기 이전에 유불도 삼교의 중심 가치를 포함한 고유의 종교로서 사회적 역할을 담당하여왔으나 시대와 사회의 변화에 따라 종교적·사상적 의미가 퇴색되고 현대에 이르러서는 향락적인 의미만 부각되어 왔다. - (중략) -
결론적으로 풍류적 사상과 공간의 향유라는 전통적 가치관을 통해 살펴 본 아름다운 경승지를 이용하는 후손으로서의 올바른 방향은 아름다움을 담장안의 뜰에 가두고 채워 개인적 소유로 독점하고 완상하는 경직된 공간, 닫힌 공간으로서의 정원庭園이 아닌, 실용성과 상징성을 중심으로 인위적 조성을 최소화하여 담장 밖의 풍경까지 끌어 들여 이용하고, 필요할 경우 밖으로 직접 찾아 나서며 주변의 자연과 훌륭한 경관자원을 유연하게 포용할 수 있는 열려있는 공간으로서의 정원庭苑으로 의미를 정립하고 활용할 필요가 있다.
- 저자 권오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