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혼자, 괜찮아

혼자, 괜찮아

  • 한국미니픽션작가회
  • |
  • 문학의문학
  • |
  • 2018-01-29 출간
  • |
  • 288페이지
  • |
  • 146 X 210 X 17 mm /382g
  • |
  • ISBN 9791187433088
판매가

12,000원

즉시할인가

10,8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0,8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한국미니픽션작가회’의 말

[한국미니픽션 작가회]는 순수문학으로서 미니픽션을 시작한 지 어언 13년이 되었고, 마침내 10집의 작품집을 엮게 되었다. ‘혼자살기’ 주제로 미니픽션 10집 작품집을 엮으면서 알랭드 보통의 말이 마음에 와 닿는다. ‘존재를 알아주면 비로소 존재가 되고, 이해받았을 때 비로소 제대로 이해받은 사람이 되며, 사랑받기 전에는 살아있는 것이 아니다’고 했다. 작가들이 바라본 ‘혼자 살기’ 혹은 ‘홀로살기’ 작품에 대해 독자들의 다양한 이해와 사랑을 기대한다.

[추천사]
혼자 사는 일은 독신, 독거, 이혼, 사별 등 속의 메마른 명사로 환원하기 어렵다. 살아가는 일이 항상 동사의 속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게다가 미니픽션 이야기꾼에게 명사는 너무 짧고, 동사는 너무 길다. 형용사가 안성맞춤이다. 참신하면 더 좋고, 도발적이면 더더욱 좋은데, 그 예가 바로 이 작품집이다. 참신하고 도발적인 형용사로 우리 시대 혼자 살기의 다채로운 무늬를 포착한 작품을 연달아 읽는 즐거움이 있다.
-박병규 (서울대학교 라틴아메리카연구소 HK교수)

리뷰/ 미니픽션이라는 렌즈를 통해 본 ‘혼자 살기’의 다양한 빛깔

이경재 (문학평론가 · 숭실대 교수)

-이제 ‘홀로 살기’는 문학이 집중해서 성찰해야 할 인간 삶의 핵심적인 테마가 되어 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미니픽션작가회의가 ‘홀로 살기’라는 주제로 『미니픽션 10집』을 만든 것은 참으로 시의적절 하다고 할 수 있다. 한국미니픽션작가회는 미니픽션의 전통이 강하지 않은 한국에 미니픽션의 씨앗을 뿌리고 있는 참으로 소중한 단체이다. 10이라는 숫자는 한 단계의 완성과 새로운 시작을 의미하는 숫자이다. 『미니픽션 10집』은 한국 문단에 미니픽션이라는 장르가 단단한 뿌리를 내리게 되었음을 알려주는 하나의 증표라고 할 수 있다.

-20세기 후반 라틴아메리카에서 시작된 미니픽션은 짧은 분량으로 인생과 세상의 본질적 단면을 날카롭게 포착하여 형상화하는 장르이다. 삶의 리듬이 이전과는 비교도 할 수 없이 빨라진 21세기에 미니픽션은 소설 장르의 새로운 전위이자 희망이 될 여지가 충분하다. 실제로도 미니픽션의 작자나 독자는 양과 질 양면에서 나날이 팽창하고 있는 중이다. 이번에 발간된 『미니픽션 10집』은 미니픽션이 다가올 시대에 인간과 세상의 겉과 속을 드러내는 서사 장르의 대표가 되기에 충분하다는 것을 확인시켜주는 구체적 실증이라고 할 수 있다.

-구자명의 「너와 나의 예정된 가을」, 구준회의 「혼밥의 결말」, 김진초의 「하이고」는 부부관계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 모양새의 ‘홀로 살기’를 형상화 한 작품들이다. 부부는 가장 가까운 인간관계이기에 무촌(無寸)이지만, 동시에 완전한 타인이기에 무촌(無寸)일 수도 있는 것이다. 구자명의 「너와 나의 예정된 가을」은 가장 가까운 사이인 부부도 결국에는 ‘너’와 ‘나’일 수밖에 없음을 드러낸 작품이다. 구준회의 「혼밥의 결말」과 김진초의 「하이고」는 서로의 거울상과 같은 작품들이다. 「혼밥의 결말」에서 ‘나’는 아내에게 거의 학대받는 삶을 살아왔다. 결국 남편은 이혼을 선언하고, 아내와 남편은 영원한 ‘너’와 ‘나’라는 타인으로 남게 된다. 김진초의 「하이고」도 「혼밥의 결말」처럼 극적인 반전이 소설의 묘미를 자아내는 작품이다. 또한 이 작품에는 한국사회의 가난이 실감나게 드러나 있다.

- 김민효의 「옆집남자의 가족사진」과 양동혁의 「살아 있는 남자」는 미래를 배경으로 하여, 현재 우리의 ‘홀로 살기’가 얼마나 병적인 것인가를 드러내는 작품들이다. 두 작품은 모두 미래가상소설이라고 할 수 있다. 김민효의 「옆집남자의 가족사진」에서 ‘나’가 사는 아파텔은 “철저하게 혼자인 삶을 보장”하는 곳이다. 양동혁의 「살아 있는 남자」는 가까운 미래라고 할 수 있는 2030년이 배경인 작품이다. 혼자 사는 중년 K는 건강검진을 받고 죽었다는 진단을 받는다.

-윤신숙의 「밤의 아리아」도 환상적인 수법을 전면에 드러내고 있는 작품이다. 윤신숙은 마지막까지 지상과 천상 중의 어느 한쪽에 일방적인 가치를 부여하지는 않는다.


-김혁의 「어떤 고독사」, 배명희의 「해피 버스데이」, 최옥정의 「까스명수」는 사회학적 상상력이 개입된 미니픽션이라고 할 수 있다. 김혁의 「어떤 고독사」는 제목에도 드러난 고독사를 통해 ‘홀로 살기’라는 문제를 드러내지만, 동시에 김 노인의 삶을 통해 현대사의 그늘을 드러낸다. 배명희의 「해피 버스데이」는 밝은 느낌의 제목과는 달리 한국사회의 어두운 면모를 짧은 분량에 조목조목 담아낸 작품이다. 최옥정의 「까스명수」는 자신의 의지와는 무관하게 이 사회의 외톨이(타자)가 될 수밖에 없는 한 인간의 불우한 초상을 그려낸 작품이다.

-이하언의 「더불어 홀로 살아내기」, 임재희의 「선셋증후군」, 김정묘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듣는 밤」, 안영실의 「뼈의 춤」은 인간삶에 내재된 근원적 조건으로서의 ‘홀로 살기’를 보여주는 작품이다. 이하언의 「더불어 홀로 살아내기」가 핏줄이라는 관계 속에서도
허물 수 없는 개체의 벽을 이야기한다면, 임재희의 「선셋증후군」은 생명체 안에 내재화된 프로그램(본능)으로서의 외로움을, 김정묘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과 안영실의 「뼈의 춤」은 인간의 가장 근원적인 욕동이라고 할 수 있는 죽음충동을 형상화하고 있다.

이하언의 「더불어 홀로 살아내기」는 ‘살아내기’라는 말에서 알 수 있듯이, 고통스럽지만 피할 수 없는 인간의 외로움에 대하여 이야기한다. 임재희의 「선셋증후군」에서 남자는 정신과에서 선셋증후군이라 는 진단을 받는다. 김정묘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듣는 밤」은 무반주 첼로 모음곡과 같은 의미 이전의 리듬과 분위기로 존재하는 소설이다. 안영실의 「뼈의 춤」은 소멸의 욕망을 생텍쥐페리의 삶과 죽음에서 발견하고 있는 작품이다.


-심아진의 「친구에게 가는 길」은 아주 오랜만에 우연히 만난 친구를 찾아가는 내용의 여로형 소설이다. 한상준의 「틀린 옛말 없다더니」는 결국 타인과의 관계 속에 놓여질 수밖에 없는 인간의 숙명을 다루고 있는 소설이다.

-부부관계에서 발생하는 ‘홀로 살기’, 현재를 비춰보는 가상의 시공에서 형상화된 ‘홀로 살기’, 사회·정치적 의미망을 거느린 ‘홀로 살기’, 근원적 존재조건으로서의 ‘홀로 살기’ 등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김의규의 「행복 아파트」에 등장하는 행복아파트가 독신자 아파트로 불릴 정도로 독신자들만 가득한 세상에서, 위의 몇 가지 분류만으로 오늘날의 ‘홀로 살기’를 모두 드러낼 수는 없을 것이다. 이를 반영하듯, 『미니픽션 10집』에는 위의 분류에 속하지는
않지만, ‘홀로 살기’가 지닌 중요한 의미를 보여주는 작품들이 있다. 임나라의 「그녀와 그녀를 만나다」, 이진훈의 「기쁜 나의 저승길」,정성환의 「이상형을 찾아서」가 그것이다.

-임나라의 「그녀와 그녀를 만나다」는 ‘홀로 살기’가 삶에서 가질수 있는 긍정적인 측면을 부각시킨 작품이다. 이진훈의 「기쁜 나의 저승길」은 성실과 노력을 강조하는 따뜻하고 훈훈한 휴먼드라마로 두 명의 일식요리사가 등장한다. 정성환의 「이상형을 찾아서」는 제목 그대로 한 남자가 이상형을 찾아 분투한 이야기이다.

-과거에도 ‘홀로 살기’가 아예 없었던 것은 아니다. 이전에 ‘홀로 살기’는 주로 종교적 수행의 측면에서 논의되고 사유되었다. 인간들 사이에 처하면서 잃어버리기 쉬운 영혼의 본질을 탐구하는 성직자들의 고유한 존재방식은 ‘홀로 살기’와 밀접하게 연결되었던 것이다. 성직자들의 ‘홀로 살기’는 신이나 참된 자기와의 만남과 연결되는 특급 통로라고 할 수 있다. 흥미롭게도 『미니픽션 10집』에 수록된 19편의 작품에서는 종교적 차원의 ‘홀로 살기’에 대한 논의는 찾아보기 어렵다. 이것은 현대 사회에서의 독거(獨居)가 지니는 의미가 그만큼 변모했음을 증명하는 것이라고 볼 수 있다.

-『미니픽션 10집』은 참으로 풍성한 미니픽션의 잔치이다. 기존의 소설이 수행해 온 문학적 기능 중에서 미니픽션이 감당할 수 없는 것은 거의 없다고 해도 과언이 아님을 『미니픽션 10집』은 실증해주고 있다.

[저자소개]
한국미니픽션작가회 10집
구자명
1957년 경북 왜관에서 태어나 서울, 하와이 등지에서 청소년기를 보냈으며, 대학에서 심리학
을 전공했다. 1997년 『작가세계』에 단편 「뿔」로 등단, 소설집 『건달』 『날아라 선녀』, 짧은소설집 『진눈깨비』 에세이집 『바늘구멍으로 걸어간 낙타』 『망각과 기억 사이』 등을 냈으며, 한국가톨릭문학상 · 한국소설문학상을 수상했다.


구준회
한국문협, 한국순수문학인회, 갈대시동인회, 광화문시낭송회, 서울교원문학회회원, 한국동
요문화협회, 구상선생기념사업회, 미니픽션작가회 이사.
시집 『우산 하나의 행복』 『사람 하나의 행복』 『그 이후 하나의 행복』 가곡음반 『내 안에 그리움 있다』 외 공저 다수

김민효
서울예술대학에서 문예창작을 중앙대학교 대학원에서 문학예술 전공
작가세계에 「그림자가 살았던 집」으로 등단
소설집 『검은수족관』 『그래 낙타를 사자』 『빛나는, 완전범죄』
영문번역본 『WHERE IS OUR HOME』
공저 『놀러가자 피터팬』 미니픽션 『술集』 외 6권

김의규
화가 · 미니픽션 작가. 저서로 어른을 위한 동화집 『양들의 낙원, 늑대 벌판 한 가운데 있다』,
트윗픽션집 『그러니까 아프지 마』, 미니픽션 2인집 『그녀의 꽃』 등이 있다.

김정묘
『문학과 비평』에 시로, 『한국소설』에 소설로 등단
시집 『하늘연꽃』 외, 미니픽션 동인지 『나를 안다고 하지 마세요』외 다수
한뼘자전소설 교재형 작품집 『내 이야기 어떻게 쓸까?』 공저
한국소설가협회, 한국미니픽션작가회 회원

김진초
1997년 『한국소설』 로 등단. 소설집 『프로스트의 목걸이』 『노천국 씨가 순환선을 타는 까닭』
『옆방이 조용하다』 『당신의 무늬』 『김치 읽는 시간』 장편소설 『시선』 『교외선』 『여자여름』 출간. 인천문학상(2006) · 한국소설작가상(2016) · 한국문협작가상(2016) 수상.

김혁
경희대학교 한의과대학 졸업. 1983년 한국일보 신춘문예 당선. 장편 「장미와 들쥐」 「지독한 사랑」 「누가 울어」외 중·단편 다수 발표.

배명희
2006년 중앙일보 등단. 창작집 『와인의 눈물』

안영실
1996년 문화일보 중편소설 「부엌으로 난 창」으로 등단
2013년 창작집 『큰 놈이 나타났다』
2013년 프랑스 ?itions Philippe Rey에서 공저 『Nocturne d’un chauffeur de taxi』 출간
2015년 한뼘자전소설 『나는 힘이 세다』 이북출간
2016년 소설집 『화요앵담』 출간

심아진
1972년 경남 마산 출생, 1999년 「21세기 문학」을 통해 등단
소설집 『숨을 쉬다』 『그만, 뛰어내리다』 『여우』 『어쩌면 진심입니다』
미니픽션집 공저 『그 길, 나를 곁눈질하다』 『내 이야기 어떻게 쓸까?』 『나를 안다고 하지 마세요』

양동혁
2014년 제6회 구상문학상 젊은작가상을 받으며 등단했다.

윤신숙
『한국산문』에 수필 「클래식 기타와의 여행」으로 등단했다 .
한국산문 이사, 양천문협 이사, 한국미니픽션작가회 회원이다

이진훈

시인, 미니픽션작가. 1956년 경기도 김포 출생. 중앙대학교 문예창작학과 졸업
예일여고를 거쳐 영동고등학교 근무. 서울초중등문학교육연구회 회장

이하언
2007년 평화신문 신춘문예 당선. 2007년 토지문학제 평사리 문학대상 수상
2014년 소설집 『검은 호수』 출간

임나라
서울신문 신춘문예 동화 당선. 대전일보 신춘문예 동화 당선
저서. 『하늘마을의 사랑』 『무화과 나무집』 『사랑이 꽃피는 나무』 『광덕 할머니의 꽃자리』 『그림과 함께 보는 정림사 절 짓는 이야기』 『징검다리 저 하늘』 미니픽션동인집 『거짓말 삽니다』 한국문인협회 회원, 한국아동문학인회 회원, 한국가톨릭문인회 회원, 한국조형예술신문(인터넷)편집인

임재희
소설을 쓰며 번역을 한다. 하나는 원하는 일이고 다른 하나는 원하는 일을 하기 위해 하는
일이다. 그 사이가 멀지 않아 다행이다. 2013년 <세계문학상>을 통해 등단했고, 장편 『당신
의 파라다이스』와 『비늘』을 출간했다. 옮긴 책으로 『라이프 리스트』와 『블라인드 라이터』 등
이 있다.

정성환
경북 영천에서 태어남. 고려대 졸업. 1995년 동서문학에 단편 「알바트로스의 날개」로 등단
「침묵의 소리」 「어제의 시간」 「마지막 카피」 등의 작품을 발표. 창작집 『강구기행』 발간


최옥정
2001년 『한국소설』에 「기억의 집」으로 등단. 허균문학상, 구상문학상 젊은작가상 수상.소설집 『식물의 내부』 『스물다섯 개의 포옹』 『늙은 여자를 만났다』 장편소설 『안녕, 추파춥스 키드』 『위험중독자들』 『매창』 포토에세이집 『On the road』 『오후 세 시의 사람』 에세이집 『삶의 마지막 순간에 보이는 것들』 소설창작매뉴얼 『소설창작수업』 『2라운드를 위한 글쓰기 수업』
한상준
전북 고창 출생. 1994년 『삶, 사회 그리고 문학』지에 「해리댁의 忘祭」를 발표하면서 작품 활동 시작. 소설집으로 『오래된 잉태』 『강진만』 산문집으로 『다시, 학교를 디자인하다』

해설/ 이경재 (문학평론가 · 숭실대 교수)


이성우

대학에서 임상심리학과 명리학을 공부했다. 철학동화를 쓰고 있으며, 동화책으로 『선글라스를 낀 개구리』가 있다.

이현신
건강심리전문가. 한국미니픽션작가회 회원. 번역서 『모래알갱이가 있는 풍경』이 있다.

정혜영
인테리어 및 건축 잡지 기자를 거쳐 편집장과 발행인을 지냈다. 현재 중학교 국어교사로 재직 중이다.

김채옥
임상심리전문가. 경기대학교 교양학부 겸임교수를 지냈으며, 현재는 서울시은평병원 진료부
에 재직하고 있다. 『엄마 네 맘을 알아?』를 공역했다. 한국미니픽션작가회 회원이다.

노길용
구상선생기념사업회 사무차장. 한국미니픽션작가회 회원, 디지털콘텐츠 기획·디자이너.

이청수
30년 일한 방송사를 정년퇴임한 후 또 다른 30년을 위해 사진찍기, 글쓰기 등으로 새로운
삶을 모색 중.

조데레사

천주교 의정부교구에서 소공동체 월간지 편집위원을 지냈으며 중학교 아이들에게 논술과
국어를 가르치고 있다.


목차


구자명/ 너와 나의 예정된 가을 15
구준회/ 혼밥의 결말 25
김민효/ 옆집남자의 가족사진 35
김의규/ 행복 아파트 49
김정묘/ 무반주 첼로 모음곡을 듣는 밤 57
김진초/ 하이고 69
김 혁/ 어떤 고독사 77
배명희/ 해피 버스데이 85

안영실/ 뼈의 춤 95

심아진/ 친구에게 가는 길 105

양동혁/ 살아 있는 남자 115

윤신숙/ 밤의 아리아 123

이진훈/ 기쁜 나의 저승길 133

이하언/ 더불어 홀로 살아내기 147

임나라/ 그녀와 그녀를 만나다 155

임재희/ 선셋증후군 163

정성환/ 이상형을 찾아서 171
최옥정/ 까스명수 181
한상준/ 틀린 옛말 없다더니 191

해설 이경재(문학평론가 · 숭실대 교수)
/ 미니픽션이라는 렌즈를 통해 본 ‘혼자 살기’의 다양한 빛깔 198

미니픽션 신인작가를 추천하며/이진훈 220
심사평 222

이성우/ 기억 저편의 낙원 229
이현신/ 너와 나 239
정혜영/ 파리발 나의 독립일 245
김채옥/ 홀로라는 이름 253
노길용/ 어제의 밤은 누가 돌보았나 263
이청수/ 9회 말 271
조데레사/ 새벽 6시 279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 070-4821-5101
교환/반품주소
  • 부산광역시 부산진구 중앙대로 856 303호 / (주)스터디채널 / 전화 : 070-4821-5101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