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선시대 지방양반의 존재양상

조선시대 지방양반의 존재양상

  • 박진철
  • |
  • 경인문화사
  • |
  • 2017-12-20 출간
  • |
  • 288페이지
  • |
  • 160 X 236 X 21 mm /580g
  • |
  • ISBN 9788949943206
판매가

23,000원

즉시할인가

20,70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0,7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조선시대를 이해하는 데 있어서 최고 신분층이었던 양반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이다. 양반에 대한 이해 없이는 조선시대의 정치·경제·사회·문화 그 어느 것도 바르게 이해하기는 어려울 것이다. 그렇기에 조선시대에 관심을 가진 역사연구자라면 누구라도 양반에 대하여 주목하여 왔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양반의 객관적 실체를 개념적으로 정확하게 규정하기는 쉽지 않다. 그 이유는 양반이란 신분층이 법제적인 절차를 통해서 형성된 계층이 아니라 사회관습을 통하여 형성된 계층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양반은 수도인 서울이나 그 주변에 대대로 거주하는 재경在京 양반과 지방에 거주하는 재지在地 양반으로 크게 나눌 수 있다. 이 책에서 다루고자 하는 것은 조선시대 지방 사회의 주도층이었던 양반兩班, 즉 재지사족在地士族 또는 재지양반在地兩班이라고도 일컬을 수 있는 지방양반地方兩班이다.
양반이란 용어는 문반文班과 무반武班을 합칭하는 관료라는 의미이다. 이에 비해 사족士族이란 말은 ‘사대부士大夫의 족속族屬리라는 의미이다. 그렇기에 양반이라는 말 보다는 사족이라는 말이 조선시대 지배신분층을 가리키는 정확한 용어라는 의견도 있다. 하지만 조선시대에 관료층을 의미하는 양반이라는 말은 현직 관료뿐 아니라 예비 관료와 그 친족까지도 가리키는 용어로 그 의미가 확대되어 갔다. 그러므로 실제적으로 양반이라는 말과 사족이라는 말은 그 의미상 거의 같은 계층을 가리키는 것이다. 그러므로 이를 명확히 구분하여 써야할 필요성이 크지 않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더구나 일반인들은 사족이라는 말을 낯설어한다는 측면에서 이 책에서도 양반이라는 말을 주로 사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측면에서 재지在地라는 용어도 주로 지방地方이라는 말로 바꾸어 사용하였다. 그러나 문맥에 따라 양반兩班과 사족士族, 지방地方과 재지在地을 크게 구분하지 않고 사용하였다.
이렇듯 이 책은 이들 조선시대 지방양반의 사회적 위상과 존재양상의 실체를 다양하고 구체적인 지역 사례 연구를 통해 밝히고자 하는 것이다. 조선시대 지방사회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지방양반에 대한 이해는 필수적 요소라고 할 수 있다. 이 저술은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조선시대 지방양반에 대한 구체적이고 실체적인 모습을 객관적이고 종합적으로 제시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이 책은 필자가 이미 발표한 글들 가운데 조선시대 재지사족, 즉 지방양반과 관련된 글들을 골라 고쳐 쓰고 다듬은 것이다. 목차의 순서에 따라 아래에 관련된 이들 글의 목록을 제시하고, 이 책에 수록된 상황을 밝혀둔다.

제1부
제1장 : 「조선시대 과거 합격자를 통해 본 지방양반의 실태」 『한국민족문화』 제56집, 부산대학교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5.08.31.
제2장 : 「조선시대 지방 거주 사족의 사회적 지위 유지 노력과 사마시」 『이화사학연구』 제41호, 이화사학연구소, 2010. 12.20.
제2부
제1장 : 「조선후기 향교의 청금유생과 지방양반의 동향」 『한국사학보』 제25호, 고려사학회, 2006.11.30.
제2장 : 「조선후기 순천 지방양반의 향촌지배 실태와 동향」 『담론201』 제10집 1호, 한국사회역사학회, 2007.05.31.
제3장 : 「17세기 조선 장흥 향교의 교노비 실태」 『지역과 역사』 제 30집, 부경역사연구소, 2012.04.30.
제3부
제1장 : 「향교 문서를 통해 본 조선후기 지방양반의 실태와 사회적 연대」 『영남학』 제26호, 경북대학교 영남문화연구원, 2014.12.31.
제2장 : 「조선후기 지방양반의 존재 실태와 청원 활동」 『한국학연구』 제53집, 고려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5.06.30.
제3장 : 「19세기 조선 지방양반의 위상 변화와 권익 수호 방식」 『한국민족문화』 제49집, 부산대학교 한국민족문화연구소, 2013.11.30.

목차

책머리에
序 論

제1부 地方兩班과 科擧

제1장 科擧 合格者를 通해 본 地方兩班
1. 地方兩班의 社會的 位相과 文科
2. 地方兩班의 司馬試 入格 實態
3. 長城 地方 主要 士族의 姓貫別 科擧 合格者 實態

제2장 地方兩班과 司馬試
1. 司馬試 分析의 必要性
2. 司馬試 入格者의 前歷과 姓貫
3. 司馬試 入格者의 文科 及第와 社會的 背景

제2부 地方兩班과 鄕校

제1장 地方兩班과 靑衿案
1. 羅州 『靑衿案』 資料 檢討
2. 鄕校의 靑衿儒生과 地方兩班
3. 靑衿儒生과 科擧

제2장 地方兩班의 鄕校 運營
1. 『鄕案』을 통해 본 順天의 支配 士族
2. 地方兩班의 鄕校와 養士齋 運營
3. 『靑衿案』에 나타난 地方兩班의 實態

제3장 鄕校와 地方兩班의 奴婢 經營
1. 『校奴婢案』의 檢討
2. 鄕校 奴婢의 實態

제3부 地方兩班의 權益 守護 方式

제1장 地方兩班의 社會的 連帶
1. 『鄕案』과 科擧 合格 實態를 通해 본 地方兩班
2. 『靑衿案』과 『幼學案』, 『靑衿契案』에 나타난 地方兩班

제2장 地方兩班의 請願 活動
1. 戊申亂 前後 陜川의 地方兩班
2. 地方兩班의 請願 活動

제3장 地方兩班의 位相 變化와 對應
1. 19世紀 地方兩班의 位相 變化
2. 權益 守護를 위한 地方兩班의 對應 方式

結 論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