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중국 역사서에 기록된 제나라,
다시 되찾아야 할 소중한 우리의 역사!!
우리의 역사에서 기억하지 않는 잃어버린 왕국, 이 책은 고구려 유민 이정기가 세우고 그의 후손들이 지켜갔던 최후의 고구려 왕국 ‘제(齊)나라’를 환원한다. 이정기는 중국 대륙에 고구려인들이 주축이 된 한반도 크기에 버금가는 제나라를 세웠고, 그 제나라는 4대 60년 동안 당과 대치하면서 군림했다.
주몽의 정신을 이어받아 마지막까지 고구려인으로 살다간 인물들인 이정기 가문은 산동반도와 운주를 중심으로 한 주변 15개 주를 통치하면서 당당하게 당과 어깨를 견줬고, 천하를 노렸다. 즉 강력한 군사력과 탁월한 통치력, 그리고 막강한 경제력을 통해 강국을 건설해 지리멸렬하고 있던 당나라와 대치했던 나라가 바로 고구려 유민들의 나라, 제였다. 그리고 바로 제나라 60년의 역사는 바로 고구려 역사의 연장이며, 곧 우리의 역사인 것이다.
‣‣‣ 살아서도 죽어서도 영원한 고구려인!
668년 고구려 멸망 후 그 많던 고구려인들은 어떻게 되었을까? 고구려의 정신을 계승해 당나라 군사와 맞서 싸우기도 했고, 옛 고구려 땅을 찾아 떠나기도 했다. 그 중에는 서역을 정복한 고선지 장군도 있었고, 당의 최전성기를 열었던 현종의 시대를 가능하게 했던 책사 왕모중도 있었으며, 당나라에 항복하고 신라와 손잡아 고구려를 멸망시켰던 장본인 연남생도 있었다.
하지만 이들은 단지 뿌리만 고구려일 뿐, 죽는 날까지 당나라에 충성하며 일생을 영화롭게 살았던 사람들이다. 이정기와 그의 후손들 또한 이들처럼 당나라의 신하로 남을 수 있었다. ≪신•구당서≫ ≪자치통감≫ 등 중국 역사책에는 “당나라는 제나라를 회유하기 위해 수시로 이정기와 그의 후손들에게 관직을 내렸다”는 기록을 남기고 있다.
하지만 그들은 당나라의 유혹에 결코 넘어가지 않았다. 오히려 제나라 안에 고구려 왕국을 세우고, 고구려 유민들과 함께 제나라가 최후를 맞는 날(819)까지 당과 맞서 싸우고 또 싸웠다. 단 한시도 고구려인임을 잊지 않은 채….
‣‣‣ ‘해상왕’ 장보고의 기반이 된 제나라의 해상 네트워크!
이정기와 함께 나라를 이끌었던 고구려 유민들의 활동은 제나라가 끝난 뒤에도 중국에 사는 한반도 출신 유민들에게 소중한 경험으로 남았다. 제나라 땅 안에 터전을 마련하고 살던 신라인들에게 서로 힘을 모았을 때 얼마나 강력한 세력이 될 수 있는지, 깨닫게 한 것이다. 신라인이 마을을 이루고 살았던 밀주와 신라관과 발해관이 있는 등주 땅은 제나라의 땅이었다. 해상왕 장보고의 동아시아 국제 무역은 바로 이러한 바탕 위에서 만들어졌다. 이정기와 그의 후손들이 세운 제나라는 고구려가 멸망하고도 그 이름을 수년 동안이나 잇게 한 마지막 고구려 사람들이었던 것이다. 저자가 ‘고구려 역사의 마침표로 발해가 아닌 이정기가 세운 제나라’를 꼽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 중국 역사책에는 있고, 우리 역사책에는 없는 제(齊)
이정기와 그의 후손들은 우리의 역사책에는 나오지 않는 이름들이다. 유일하게 육당 최남선의 ≪국민조선역사≫에 “중국 안 넓은 지역을 다스렸던 고구려 유민”이라고 기록되어 있을 뿐이다. 중국 역사책에도 있는 기록이 왜 우리 역사책에는 없는 걸까? 저자는 그 이유를 다음과 같이 든다. “당의 제후국임을 자처했던 신라와 유교사상이 지배이념으로 자리 잡은 조선에서, 감히 당과 패권을 두고 다퉜던 고구려 국가 제나라에 관해 함부로 붓을 놀릴 수 없었다”고. 안타까운 마음은 둘째치고라도, 이대로 역사의 진실을 외면할 것인가? 이 책은 제나라와 제왕 이정기에 대해 중화사관을 걷어내고 제대로 된 역사를 한국 역사 속으로 생생히 복원한다.
더 이상의 역사왜곡은 ‘NO’, 역사는 지킬 때 우리 것이 된다!
중국이 ‘동북공정 프로젝트’를 시작한 지 20여 년이 넘고 있다. 고조선, 고구려 그리고 발해의 역사를 왜곡하는 중국의 세밀하고도 지독한 이 작업은 한국이 통일된 뒤, 한반도에 대한 자신들의 종주권 주장의 역사적 정당성을 위함이다. 저자 지배선은 동북공정이 이슈가 되기 전부터 중국 대륙에 남아 있는 우리 역사의 다양한 흔적들을 찾는 데 노력해 왔다. 그리고 1998년부터 이정기 4대와 제나라에 관한 이야기를 중국 역사책에서 정리하여, 동북공정의 허구를 밝히는 데 앞장서 왔다. 저자의 이러한 노력은 ‘역사의 진실을 찾아 복원하는 일’에 느슨한 생각을 품었던 우리에게 긴장감을 갖게 한다. 최근 고구려 역사가 집중적으로 조명되고 있다. 외면되고 있던 역사가 많은 사람들의 관심을 끌게 된 것은 좋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