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신재생에너지 산업분야별 국내외 이슈분석과 핵심사업 시장전망(2018)

신재생에너지 산업분야별 국내외 이슈분석과 핵심사업 시장전망(2018)

  • 편집부
  • |
  • 미래산업리서치
  • |
  • 2018-01-08 출간
  • |
  • 536페이지
  • |
  • 211 X 299 X 32 mm /1863g
  • |
  • ISBN 9791196083816
★★★★★ 평점(10/10) | 리뷰(1)
판매가

400,000원

즉시할인가

360,00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360,00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목차

Ⅰ. 에너지시장의 패러다임 변화와 대응기술 동향 39
1. 신기후변화체제 등장과 기후변화 대응기술 39
1-1. 파리기후협약과 온실가스, 기후변화 대응기술 39
1) 新기후변화체제 등장 39
2) 신재생에너지 전망 44
3) 기후변화 대응기술 47
(1) 기후변화 대응기술 확보 로드맵(CTR)(안) 47
(2) 국내 기후기술 현황 및 GHG 감축효과 50
(3) 기후변화대응 30대 기술혁신 과제별 성과 및 15년도 지원 현황 52
1-2. 세계 에너지시장동향과 전망 56
1) 2017년 주요 에너지 가격 동향 56
(1) 석유 56
(2) 천연가스 56
(3) 전력용 유연탄 57
(4) 우라늄 57
2) 2017년 분기별 석유 수급 추이 및 전망 58
(1) 세계 수급 동향 58
(2) 주요 생산지역 동향 61
3) 2017∼2018년 세계 석유·가스 수급 및 가격 전망 62
(1) 세계 석유 수급 전망 62
(2) 세계 천연가스 수급전망 65
4) 글로벌 석유·가스 업스트림 산업 동향 65
5) 주요 국가별 에너지 시장동향 67
(1) 미국 67
(2) 캐나다 69
(3) 이란 70
(4) 일본 70
(5) 호주 71
(6) 프랑스 72
6) 주요 글로벌 에너지 기업 동향 73
2. 청정에너지 기술과 개발 전략 77
2-1. 청정에너지기술 발전 전략(안) 77
1) 청정에너지기술 발전전략 개요 77
(1) 청정에너지기술 발전전략 수립 배경 77
(2) 청정에너지기술의 정의 및 범위 78
(3) 국내 정책동향 및 청정에너지기술 현황 79
2) 청정에너지기술 발전전략 주요내용 82
2-2. 청정에너지 기술 개발 로드맵 85
1) 태양광 분야 85
2) 풍력분야 86
3) 수소연료전지 분야 87
4) 바이오 분야 88
5) 산업효율분야 90
6) 수송효율 91
7) 건물효율 분야 92
8) ESS분야 93
9) E-프로슈머 분야 94
10) 원자력 분야 95
11) 스마트그리드 분야 96
12) 청정화력 분야 97
13) 기타 신재생분야 98
14) 폐기물 분야 100
3. 제3차 에너지기술 개발계획(‘14∼‘23) 101
3-1. 개요 101
1) 수립배경 및 추진경과 101
(1) 수립배경 101
(2) 추진경과 101
2) 미래 에너지사회 도래에 따른 여건변화 102
(1) 글로벌 트렌드에 따른 기술수요 변화 102
(2) 해외 에너지 R&D 동향 104
(3) 국내 에너지기술 동향 107
3) 에너지기술 개발 성과 및 평가 108
(1) 에너지 R&D 투자현황 108
(2) 성과 및 시사점 109
3-2. 제3차 에너지기술 개발계획 주요 내용 112
1) 제3차 에너지기술 개발계획의 기본방향 112
(1) 에너지 R&D 기본방향 112
(2) 비전 및 추진전략 113
2) Energy Innovation Architecture 2025 프로그램 114
(1) 추진배경 114
(2) 프로그램 구성 115
(3) 프로그램별 세부 추진내용 117
3) 주요 정책과제 121
(1) 미래선도를 위한 新 R&D체계 구축 121
(2) 시장창출을 위한 사업화 R&D 강화 126
(3) 생태계 중심의 협력R&D 기반 마련 130
(4) 역량강화를 위한 혁신인프라 구축 133
4) 기대효과 및 소요예산 135
(1) 기대효과 135
(2) 소요예산 136
5) 이행 계획 137
4.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안) 138
4-1. 추진 경과 138
1) 개요 138
(1) 전력수급기본계획의 개요 138
(2)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 대한 평가 138
2)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수립의 기본방향 139
(1) 정책환경의 변화 139
(2) 계획수립의 기본방향 139
4-2.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의 주요 내용 140
1) 전력수요 전망 140
(1) 수요전망 모형 140
(2) 전망 전제 140
(3) 전망 결과 140
2) 수요관리 141
(1) 기본방향 141
(2) 추진계획 141
(3) 목표수요 142
(4) 적정 설비예비율 143
(5) 발전설비 계획 143
(6) 전력수급 전망 144
(7) 전원믹스 전망 145
(8) 경제급전과 환경급전의 조화 146
(9) 환경 개선효과 146
(10) 발전량 및 전기요금 전망 147
(11) 분산형전원 확대 148
(12) 전력계통 계획 149
4-3. 향후 계획 150
1) 사후 관리계획 150
2) 연도별 목표수요 전망 151
3) 연도별 전력수급 전망 152
5.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안) 153
5-1. 개요 153
1) 추진경과 153
2) 재생에너지 보급현황 및 평가 153
5-2. 주요 내용 155
1) 보급목표 155
(1) 총괄 155
(2) 원별 155
(3) 연도?주체별 155
2) 보급목표 이행방안 157
(1) 국민참여 확대 157
(2) 지자체 주도의 계획입지 도입 158
(3) 대규모 프로젝트 추진 159
(4) 재생에너지 확대를 위한 보급여건 개선 159
(5) 환경을 고려한 재생에너지 확대 161
3) 3020을 통한 에너지新산업 육성방안 161
(1) 재생에너지 산업경쟁력 강화 161
(2) 분산전원 기반 에너지新산업 육성 162
(3) IoE 활용 수요관리 서비스산업 육성 163
(4) 스마트시티를 통한 新산업 실증 164
4) 소요재원 및 추진체계 164
(1) 소요재원 164
(2) 추진체계 165

Ⅱ.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시장실태와 전망 169
1. 국내 신재생에너지 산업 실태와 전망 169
1-1. 국내 신재생에너지 수급 현황 169
1) 신재생에너지 보급량 169
(1) 신재생에너지 보급량 169
(2) 원별 생산량 비중 및 증가율 170
2)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172
(1) 신재생에너지 발전량 172
(2) 원별 발전량 비중 및 증가율 173
3) 신재생에너지 보급용량 175
(1) 신재생에너지 보급용량 175
(2) 원별 보급용량 비중 및 증가율 176
4) 국내 신재생에너지 잠재량 176
1-2.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 과제와 전망 177
1) 협소한 국내 시장규모 177
2) 신정부의 에너지 정책으로 ESCO기업에 사업 기회 177
3) 해외진출과 금융상품 활용 필요 178
1-3. 국내 신·재생에너지 주요 정책 추진현황 180
1) 보조·융자 지원정책 180
2) 의무화 사업 180
3) 새로운 사업모델 개발 및 새로운 시장 창출 183
4) RPS 제도 추진현황 및 변경 184
(1) RPS 제도 추진현황 (∼2015.12.31.) 184
(2) RPS 제도의 변경 (2016.01.01.∼) 186
5) 연료전지 인증제도 187
6) 기타 제도개선 내용 187
1-4. 2017년 추진 신재생에너지 규제개선내용 188
1) 개요 188
2) 주요 규제 개혁 및 2017년 변경 추진내용 188
1-5. 에너지신산업 규제개혁 대책과 에너지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 190
1) 에너지신산업 성과확산 및 규제개혁 종합대책 190
(1) 신재생 등 에너지신산업에 2020년까지 총 42조원을 투자 190
(2) 에너지신산업 활성화를 위해 에너지시장의 민간참여 활성화 193
(3) 기대효과 196
2) 에너지 빅데이터 산업 활성화 방안 196
2.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동향과 주요국 동향 198
2-1. 세계 신재생에너지 시장동향 198
1) 세계 신재생에너지 발전용량 및 전망 198
2) 전 세계 신재생에너지 자원 사용분포 199
3) 세계 신재생에너지 투자 동향 200
2-2. 인도 신재생에너지 시장동향 202
1) 개요 202
(1) 신재생에너지 발전 설비 현황 202
(2) 인도 신재생에너지 지역별 현황 204
2) 주요 신재생에너지별 현황 및 전망 207
(1) 태양광 207
(2) 풍력 211
3) 인도 신재생에너지 정책과 투자 전망 214
2-3. 러시아 신재생에너지 시장동향 217
1) 러시아 신재생에너지 사용 현황 217
2) 러시아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잠재력 217
3) 러시아 신재생에너지 정책 218
4) 시베리아 지역 신재생에너지 사업 사례 및 전망 219
2-4. 대만 신재생에너지 시장동향 220
1) 신재생에너지 정책동향 220
(1) 신재생에너지를 7대 신산업에 포함 220
(2) 태양광, 풍력에 주력 220
2) 2025년, 탈원전 목표 222
(1) 원전 운전현황 및 폐쇄일정 222
(2) 전력수급 불안정이 과제 222
3) 화력발전으로 대응 223
2-5. 중국 신재생에너지 시장동향 225
1) 중국 신재생에너지 시장 현황 225
(1) 풍력발전 현황 225
(2) 태양광발전 현황 226
2) 중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26
3) 중국 정책으로 주목받는 간쑤성 신재생에너지 산업 동향 226
(1) 간쑤성 신재생에너지 산업 현황 226
(2) 간쑤성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228
(3) 간쑤성 신재생에너지산업 발전 전망 228
2-6. 태국 신재생에너지 시장동향 229
1) 신재생에너지 시장동향 229
(1) 태국 신재생에너지 발전 현황 229
(2) 태국 정부의 신재생에너지 중점추진 분야 230
2) 신재생에너지 투자동향과 제도변경 230
(1) 2017년 신재생에너지 사업자 라이선스 입찰 계획 230
(2) 태국, 2017년 전력구매계약(PPA) 형태 변경 231
3. 유망 신재생에너지 시장별 동향과 전망 232
3-1. 태양광 시장동향과 전망 232
1) 세계 태양광산업 동향 232
(1) 세계 시장동향 232
(2) 중국 태양광 시장 233
(3) 미국 태양광 시장 234
(4) 태양광발전 신흥시장동향 235
2) 태양광 관련 주요 부품/소재 시장동향 237
(1) 폴리실리콘 237
(2) 태양전지 238
(3) 태양광 모듈 239
3) 국내 태양광산업 동향 242
(1) 태양전지 및 모듈 수출입 동향 242
(2) 국내 태양광 기업 동향 244
(3) 미국의 태양광 세이프 가드 청원 244
(4) 향후 과제와 전망 246
3-2. 풍력(해상풍력) 시장동향과 전망 248
1) 세계 풍력발전 동향 248
(1) 최근동향 248
(2) 세계 풍력시장 전망 251
(3) 주목되는 해상풍력 시장 253
(4) 세계 풍력 기업 동향 255
2) 국내 풍력발전 동향 257
(1) 국내 풍력발전 현황 257
(2) 과제와 향후 전망 260
3-3. 바이오(바이오매스, 폐기물)에너지 시장동향과 전망 261
1) 바이오에너지 261
(1) 개요 261
(2) 세계 시장동향 261
(3) 국내 시장동향 264
2) 폐기물에너지 268
(1) 개요 268
(2) 세계 시장동향 269
(3) 국내 시장동향 270
3-4. 기타 신재생에너지 274
1) 수력 274
(1) 세계동향 274
(2) 국내 동향 276
2) 지열 278
(1) 개요 278
(2) 세계시장동향 279
(3) 국내 시장동향 284
3) 석탄 액화·가스화 286
(1) 개요 286
(2) 세계 시장동향 289
(3) 국내 시장동향 294
4. 신재생에너지/발전 분야 미래성장동력화 종합계획 296
4-1.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분야 미래성장동력 전략 296
1) 개념 및 범위 296
(1) 개념 296
(2) 범위 296
(3) 주요 핵심기술별 정의 297
(4) 2020년 핵심 제품 및 서비스 유형과 수준 298
2)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시장동향과 전망 299
(1) 세계 및 국내 산업 변화 299
(2) 시장 전망 300
(3) 국내외 주요기업 동향 301
(4) 국내 산업 경쟁력 301
(5) 국내외 주요국 정책 현황 302
3)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시스템 종합분석 및 추진전략 304
(1) 종합분석 304
(2) 추진전략 305
4) 목표 및 단계별 추진전략 306
5) 전략별 세부 추진내용 307
(1) NRE-H 시스템 핵심 기술 확보 및 Platform 구축 307
(2) NRE-H 시스템 인테그레이션 최적화 및 사업화 310
(3) 신비즈니스 모델 구현 및 해외진출 지원체계 구축 314
6) 추진 로드맵 318
7) 추진과제별 담당 부처(부서) 및 소요예산 319
8) 연차별 실천계획 324
(1) 추진목표 324
(2) 추진실적 (’14~’15) 324
(3) 2016년도 중점 추진방향 324
(4) 투자계획(억원) 324
4-2. Multi-Terminal HVDC(직류 송ㆍ배전) 시스템 분야 미래성장동력 전략 325
1) 개요 325
2) 직류 송ㆍ배전 시장동향과 전망 328
(1) 산업 생태계 현황 328
(2) 시장 현황 330
(3) 기술 현황 331
(4) 우리나라의 경쟁력 332
3) 직류 송·배전 시스템 종합분석 및 추진전략 333
4) 목표 및 단계별 추진전략 335
5) 전략별 세부 추진내용 335
(1) 세계 최고 수준의 기술경쟁력 확보 335
(2) 산업발전 생태계 조성 337
(3) 법·제도 기반구축 339
6) 추진 로드맵 340
7) 추진전략별 담당부처 340
8) 연차별 실천계획 341
(1) 추진목표 341
(2) 추진실적 (’14~’15) 341
(3) 2016년도 주요 추진내용 341
(4) 투자계획(억원) 341
4-3. 초임계 CO2 발전시스템 분야 미래성장동력 전략 342
1) 개요 342
2) 초임계 CO2 발전시스템 시장동향과 전망 344
(1) 산업 생태계 344
(2) 초임계 CO2 발전 기술 현황 347
3) 초임계 CO2 발전시스템 종합분석 및 추진전략 348
(1) 국내 실증기술 확보의 시급성 348
(2) 목표와 추진전략 349
4) 전략별 세부 추진내용 349
(1) 10MW급 실증 통한 300MW 대형 상용 설계패키지 생산
기술 개발을 통한 선도기술 확보 349
(2) 중소?중견?대기업의 실증기술 공동 개발을 통해 산업 생태계
건전성과 경쟁력 확보 354
5) 추진 일정 및 담당 부처 358
6) 연차별 실천계획 359
(1) 추진목표 359
(2) 추진실적 (’14~’15) 359
(3) 2016년도 중점추진방향 359
(4) 투자계획(억원) 359

Ⅲ. 신재생에너지 관련 기술 개발 연구과제 363
1. 2017년 에너지기술 개발사업 신규과제 363
1-1. 신재생에너지(공통) 분야 363
1) 도심형 대량 신재생에너지 하이브리드 열공급 스마트 플랫폼 개발 363
(1) 지원필요성 363
(2) 품목정의 363
(3) 지원기간/추진체계 364
2) 수MW급 이상 신재생 융복합 발전시스템 실증 및 운영기술 개발 364
(1) 지원필요성 364
(2) 품목정의 365
(3) 지원기간/추진체계 365
3) 대형풍력 잉여전력을 활용한 수소변환 및 공급시스템 기술 개발 366
(1) 지원필요성 366
(2) 품목정의 366
(3) 지원기간/추진체계 366
4) 모듈화형 태양광·열 융합 시스템 및 운영 기술 개발 367
(1) 지원필요성 367
(2) 품목정의 367
(3) 지원기간/추진체계 등 368
1-2. 태양광 분야 369
1) 태양광 보급 확대를 위한 국내 태양광발전시스템 빅데이터 기반의
유지관리비용 저감 기술 개발 369
(1) 필요성 369
(2) 연구목표 369
(3) 기타 지원 요건 370
(4) 지원기간/추진체계 370
2) 학교 건물일체형 태양광 제품 및 융합시스템 개발 371
(1) 필요성 371
(2) 연구목표 371
(3) 지원기간/추진체계 372
3) 화학증착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 양산 기술 개발 373
(1) 지원필요성 373
(2) 품목정의 373
(3) 지원기간/추진체계 373
4) 고효율 Advanced PERC 태양광 모듈 핵심기술 개발 374
(1) 지원필요성 374
(2) 품목정의 374
(3) 지원기간/추진체계 375
5) 건자재 성능확보 BIPV 모듈 실증을 통한 옥외 시험 평가 기술 개발 375
(1) 지원필요성 375
(2) 품목정의 375
(3) 기타 지원 요건 376
(4) 지원기간/추진체계 376
6) 독립형 태양광발전/ESS 모듈화 시스템 개발 376
(1) 지원필요성 376
(2) 품목정의 377
(3) 지원기간/추진체계 377
7) 장기내구성을 갖는 지붕용 플렉서블 박막태양광 모듈 개발 377
(1) 지원필요성 377
(2) 품목정의 377
(3) 기타 지원 요건 378
(4) 지원기간/추진체계 378
8) 대면적 적층형 2차원 나노복합소재 기반 태양전지 기술 개발 378
(1) 지원필요성 378
(2) 품목정의 379
(3) 지원기간/추진체계 380
9) 친환경 콜로이드 양자점 기반 고효율 태양전지 소재 및 소자기술 개발 380
(1) 지원필요성 380
(2) 품목정의 380
(3) 지원기간/추진체계 381
10) 염료감응 태양전지 패널화를 위한 접합기술 개발 381
(1) 지원필요성 381
(2) 품목정의 381
(3) 기타 지원 요건 382
(4) 지원기간/추진체계 382
11) 농사와 병행할 수 있는 농업 공존형 태양광 시스템 개발 및 실증 382
(1) 지원필요성 382
(2) 품목정의 382
(3) 기타 지원 요건 383
(4) 지원기간/추진체계 383
12) 25%급 고효율 Advanced PERC 태양광 모듈 핵심기술 개발 383
(1) 지원필요성 383
(2) 품목정의 384
(3) 지원기간/추진체계 등 384
13) 화학증착법을 이용한 태양전지용 단결정 실리콘 웨이퍼 양산 기술 개발 384
(1) 지원필요성 384
(2) 품목정의 385
(3) 지원기간/추진체계 등 385
14) 고효율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용 전하선택접촉 기술 개발 385
(1) 필요성 385
(2) 연구목표 386
(3) 기타 지원 요건 386
(4) 지원기간/추진체계 386
15) 수상태양광 시스템 MW급 해외 실증 387
(1) 지원필요성 387
(2) 품목정의 387
(3) 기타 지원 요건 387
(4) 지원기간/추진체계 등 387
16) 연속성장공법을 이용한 원가절감형 고품위 4m 실리콘 단결정
잉곳성장 기술 개발 388
(1) 필요성 388
(2) 연구목표 388
(3) 지원기간/추진체계 389
17) Kerf-loss free 실리콘 웨이퍼를 활용한 태양전지 및 모듈 제조 기술 개발 389
(1) 필요성 389
(2) 연구목표 389
(3) 기타 지원 요건 390
(4) 지원기간/추진체계 390
18) 범용 무독성 칼코지나이드 광흡수층 기반 플렉시블 무기 박막태양전지 개발 391
(1) 필요성 391
(2) 연구목표 391
(3) 기타 지원 요건 392
(4)지원기간/추진체계 392
19)태양광 도로 구현을 위한 고내구·고기능 도로일체형 태양광 모듈
시스템 개발 392
(1) 필요성 392
(2) 품목정의 392
(3) 지원기간/추진체계 등 393
20)고신뢰 유기태양전지용 풀러렌-프리 광활성층 소재 및 소자 기술 개발 393
(1) 필요성 393
(2) 연구목표 393
(3) 기타 지원 요건 394
(4) 지원기간/추진체계 394
1-3. 풍력분야 395
1) 풍력 개발 단지 마이크로사이팅 기술 고도화 395
(1) 필요성 395
(2) 연구목표 395
(3) 기타 지원 요건 396
(4) 지원기간/추진체계 396
2) 풍력터빈 부품/시스템 복합 시험 평가단지 구축 396
(1) 지원필요성 396
(2) 품목정의 397
(3) 지원기간/추진체계 397
3) 해상풍력 단지 유지보수 기반 기술 개발 398
(1) 지원필요성 398
(2) 품목정의 398
(3) 지원기간/추진체계 398
4) 블레이드 신뢰성 확보를 위한 on-site 비파괴 검사 자동화 기술 개발 399
(1) 지원필요성 399
(2) 품목정의 399
(3) 지원기간/추진체계 399
5) 풍력발전 국산화율 향상을 위한 핵심부품 개발 400
(1) 지원필요성 400
(2) 품목정의 400
(3) 기타 지원 요건 400
(4) 지원기간/추진체계 등 400
6)한국형 다중등급 대용량 풍력발전시스템 개발 401
(1) 지원필요성 401
(2) 품목정의 401
(3) 지원기간/추진체계 등 401
7)풍력발전단지의 입지 제약조건 완화를 위한 계통연계 비용 최적화 기술 개발 401
(1) 지원필요성 401
(2) 품목정의 402
(3) 지원기간/추진체계 등 402
1-4. 연료전지 분야 403
1) 미세먼지 무배출 선박용 연료전지-배터리 하이브리드 발전시스템
개발 및 실증 403
(1) 필요성 403
(2) 연구목표 403
(3) 기타 지원 요건 404
(4) 지원기간/추진체계 404
2) 초경량 연료전지 시스템 기술 개발 405
(1) 필요성 405
(2) 연구목표 405
(3) 기타 지원 요건 406
(4) 지원기간/추진체계 406
3) 연료전지 시스템의 내구성 향상을 위한 스마트 진단 및 유지관리 기술 개발 406
(1) 지원필요성 406
(2) 품목정의 407
(3) 지원기간/추진체계 407
4) 중저온용 SOFC의 생산성/경제성 향상을 위한 전단유기 적층공정
핵심기술 개발 408
(1) 지원필요성 408
(2) 품목정의 408
(3) 지원기간/추진체계 408
5) 금속지지체형 SOFC 원천 기술 개발 409
(1) 지원필요성 409
(2) 품목정의 409
(3) 지원기간/추진체계 410
6) 저온용 프로톤 전도성 SOFC 셀 원천 기술 개발 410
(1) 지원필요성 410
(2) 품목정의 411
(3) 지원기간/추진체계 411
7)연료전지 기반 전기/열/수소 생산 시스템 개발 및 실증 411
(1) 필요성 411
(2) 연구목표 412
(3) 기타 지원 요건 413
(4) 지원기간/추진체계 413
8) 건물용 연료전지용 탄화수소계 고분자 막-전극 접합체 내구성
향상 기술 개발 413
(1) 필요성 413
(2) 연구목표 413
(3) 기타 지원 요건 414
(4) 지원기간/추진체계 등 414
9) 연료전지 촉매층 구조설계를 통한 성능 및 내구성 향상기술 개발 415
(1) 지원필요성 415
(2) 품목정의 415
(3) 지원기간/추진체계 등 416
10) kW급 건물용 SOFC 시스템 실증 416
(1) 필요성 416
(2) 연구목표 416
(3) 기타 지원 요건 417
(4) 지원기간/추진체계 등 417
1-5. 수소 분야 418
1) 수소충전소용 대용량 수소제조장치 개발 418
(1) 필요성 418
(2) 연구목표 418
(3) 지원기간/추진체계 419
2) 고신뢰성 초고압 수소가스 압축기 개발 419
(1) 지원필요성 419
(2) 품목정의 420
(3) 지원기간/추진체계 420
3) 수소충전소 부품 국산화 기술 개발 420
(1) 지원필요성 420
(2) 품목정의 421
(3) 지원기간/추진체계 421
1-6. 바이오 분야 422
1) RPS 보일러용 합성가스 고온정제 및 연소기술 실증 422
(1) 필요성 422
(2) 연구목표 422
(3) 기타 지원 요건 423
(4) 지원기간/추진체계 423
2) 혐기성소화 안정화제 생산기술 및 통합관리 인공지능 체계 개발 423
(1) 지원필요성 423
(2) 품목정의 424
(3) 지원기간/추진체계 425
3) 20T/D급 열분해 오일 생산 실증 및 이용기술 개발 425
(1) 지원필요성 425
(2) 품목정의 425
(3) 지원기간/추진체계 426
4) 바이오매스 고품위화를 위한 고효율 반탄화 기술 실증 426
(1) 지원필요성 426
(2) 품목정의 426
(3) 지원기간/추진체계 427
5) 폐바이오매스 바이오가스화 공정 기반 산업부문 배출가스 활용
수송연료 생산 기술 개발 427
(1) 지원필요성 427
(2) 품목정의 428
(3) 지원기간/추진체계 429
6) 바이오가스 또는 합성가스를 이용한 바이오 알콜 생산 기술 개발 429
(1) 지원필요성 429
(2) 품목정의 430
(3) 지원기간/추진체계 430
7) 국내 가용 초본계 비식용 바이오매스를 활용한 탄소중립형 C4급
바이오연료 생산 기술 430
(1) 필요성 430
(2) 연구목표 430
(3) 기타 지원 요건 431
(4) 지원기간/추진체계 431
8) 유기성 폐자원 유래 바이오수소 생산 및 수송연료 적용성 기술 개발 432
(1) 필요성 432
(2) 연구목표 432
(3) 기타 지원 요건 433
(4) 지원기간/추진체계 433
1-7. 직류송배전 분야 434
1) DC ±200kV급 전압형 MMC 개발 및 운영/실증 434
(1) 필요성 434
(2) 연구목표 434
(3) 기타 지원 요건 436
(4) 지원기간/추진체계 436
2) 전압형 HVDC용 전력기기 감시진단 기술 개발 436
(1) 필요성 436
(2) 연구목표 437
(3) 기타 지원 요건 438
(4) 지원기간/추진체계 438
3) HVDC 200kV급 Converter Valve 절연물 개발(실증) 439
(1) 필요성 439
(2) 연구목표 439
(3) 기타 지원 요건 440
(4) 지원기간/추진체계 440
4) DC ±200kV급 전압형 MMC 개발 및 운영/실증 441
(1) 필요성 441
(2) 연구목표 441
(3) 기타 지원 요건 443
(4) 지원기간/추진체계 443
5) 전압형 HVDC용 전력기기 감시진단 기술 개발(실증) 443
(1) 필요성 443
(2) 연구목표 444
(3) 기타 지원 요건 445
(4) 지원기간/추진체계 445
6) HVDC 200kV급 Converter Valve 절연물 개발(실증) 446
(1) 필요성 446
(2) 연구목표 446
(3) 기타 지원 요건 447
(4) 지원기간/추진체계 447
2. 2016년 에너지기술 개발사업 연구과제 448
2-1. 신재생에너지 관련 연구과제 448
1) 스마트인버터 대응 AC모듈 개발 448
(1) 개념 448
(2) 지원 필요성 448
(3) 지원기간/추진체계 449
2) CIGS 태양전지의 초박막화 기술 개발 449
(1) 개념 449
(2) 지원 필요성 449
(3) 지원기간/추진체계 450
3) 도심 태양광발전을 위한 다기능성 박막 기반 태양전지 핵심기술 개발 450
(1) 개념 450
(2) 지원 필요성 450
(3) 지원기간/추진체계 451
4) 열저장 극대화를 위한 대용량 태양열발전용 흡수기 및 열저장기 개발 451
(1) 개념 451
(2) 지원 필요성 451
(3) 지원기간/추진체계 452
5) 집단주거시설 고밀도 대용량 지열시스템 실현을 위한
수주지열정(SCW) 기술 개발 452
(1) 개념 452
(2) 지원 필요성 453
(3) 지원기간/추진체계 453
6) 인산형 연료전지용 대형 분리판 국산화 기술 개발 453
(1) 필요성 453
(2) 연구목표 454
(3) 기타 지원 요건 455
(4) 지원기간/추진체계 455
7) 원전-신재생연계 복합발전 기반조사 및 단지설계 기술 개발 455
(1) 필요성 455
(2) 연구목표 455
(3) 지원기간/추진체계 456
8) 수출용 대형 풍력발전 요소부품 양산기술 개발 456
(1) 개념 456
(2) 지원 필요성 457
(3) 지원기간/추진체계 457
9) 해외 지역 맞춤형 풍력발전시스템 개발 및 현지 실증 457
(1) 개념 457
(2) 지원 필요성 458
(3) 지원기간/추진체계 458
10) 블레이드의 생산성 및 품질 향상을 위한 소재·공정기술 개발 458
(1) 개념 458
(2) 지원 필요성 459
(3) 지원기간/추진체계 459
11) 해상풍력 장기 환경모니터링시스템 및 해상활동 안전기준 기술 개발 459
(1) 개념 459
(2) 지원 필요성 460
(3) 지원기간/추진체계 460
12) ICT 활용한 풍력발전 상태감시 진단시스템 및 예방정비 기술 개발 460
(1) 개념 460
(2) 지원 필요성 461
(3) 지원기간/추진체계 461
13) 국내외 수용가 맞춤형 수력발전시스템 현대화 기술 개발 및 실증 461
(1) 개념 461
(2) 지원 필요성 462
(3) 지원기간/추진체계 462
14) 신시장창출 위한 대용량양수발전시스템 설계 및 진단원천기술 개발 462
(1) 개념 462
(2) 지원 필요성 463
(3) 지원기간/추진체계 463
15) 저낙차 대유량용 벌브형 수차발전시스템 국산화 개발 463
(1) 개념 463
(2) 지원 필요성 463
(3) 지원기간/추진체계 464
16) 낮은 유속 지역에 적합한 최소 5kw급 수중 조류발전장치 개발 464
(1) 개념 464
(2) 지원 필요성 465
(3) 지원기간/추진체계 465
17) 부유 운동체 배열식 파력발전시스템 개발 465
(1) 개념 465
(2) 지원 필요성 466
(3) 지원기간/추진체계 466
18) IGFC 적용을 위한 합성가스 전환 및 정제 기술 개발 466
(1) 개념 466
(2) 지원 필요성 467
(3) 지원기간/추진체계 467
19) 건식 가스화플랜트용 고압 분체연료 연속 주입기술 개발 467
(1) 개념 467
(2) 지원 필요성 468
(3) 지원기간/추진체계 468
20) 유분 폐기물 FOG의 병합소화를 통한 고효율 바이오가스의 생산 기술 개발 469
(1) 필요성 469
(2) 연구목표 469
(3) 기타 지원 요건 470
(4) 지원기간/추진체계 470
21) 바이오디젤 부산물(저급 글리세린)을 이용한 발전용 바이오중유
생산 기술 개발 471
(1) 필요성 471
(2) 연구목표 471
(3) 기타 지원 요건 472
(4) 지원기간/추진체계 472
22) 현장 적용을 위한 해안 폐기물 연료화 기술 개발 473
(1) 개념 473
(2) 지원 필요성 473
(3) 지원기간/추진체계 473
23) 유기성 폐기물 에너지화를 위한 에너지 저소비형 하이브리드 건조기 개발 474
(1) 개념 474
(2) 지원 필요성 474
(3) 지원기간/추진체계 474
24) 신재생에너지 융합을 통한 에너지 절약형 친환경 하수처리장 모델 개발 475
(1) 개념 475
(2) 지원 필요성 475
(3) 지원기간/추진체계 476
25) 태양에너지-지열 융합 스마트 냉온열전력 생산 시스템 상용화 기술 개발 476
(1) 개념 476
(2) 지원 필요성 477
(3) 지원기간/추진체계 477
26) 발전소 폐열 활용 해양복합온도차 발전 실증 477
(1) 개념 477
(2) 지원 필요성 478
(3) 지원기간/추진체계 478
27) 신재생에너지-물 자립섬 구현을 위한 지능형 플랫폼 구축 478
(1) 개념 478
(2) 지원 필요성 479
(3) 지원기간/추진체계 480
2-2. 에너지 수요관리 관련 연구과제 481
1) LNG 냉열(-100℃이상) 이용 저온 냉동?냉장시스템 핵심기술 개발 481
(1) 개념 481
(2) 지원 필요성 482
(3) 지원기간/추진체계 482
2) 수배관 미활용에너지를 활용한 전력 생산 및 제어 관리시스템 개발 482
(1) 개념 482
(2) 지원 필요성 483
(3) 지원기간/추진체계 483
3) 상변화 또는 화학축열 기반 열저장장치를 활용한 열택배 기술 484
(1) 개념 484
(2) 지원 필요성 484
(3) 지원기간/추진체계 485
4) 복수 수용가 전력서비스 대응용 ESS 기술 개발 485
(1) 개념 485
(2) 지원 필요성 486
(3) 지원기간/추진체계 487
5) Hot-Swap 가능한 수용가용 모듈라 ESS기반 ESS 기술 개발 487
(1) 개념 487
(2) 지원 필요성 488
(3) 지원기간/추진체계 488
6) 차량탑재형 이동형 충전기 상용화 기술 개발 488
(1) 개념 488
(2) 지원 필요성 488
(3) 지원기간/추진체계 489
7) 중소형 상용차용 습식 듀얼 클러치 변속기 기술 개발 489
(1) 필요성 489
(2) 연구목표 490
(3) 기타 지원 요건 490
(4) 지원기간/추진체계 490

Ⅳ. 부록[참고자료] 493
1. 국내 신재생에너지 시장현황 통계 493
1-1. 신재생에너지 현황 493
1) 연도별 신재생에너지 현황 493
2) 지역별 신재생에너지 현황 501
1-2. 발전원별 신재생에너지 현황 513
1) 태양에너지 513
(1) 태양열 513
(2) 태양광 515
2) 풍력 518
3) 수력 520
4) 해양 522
5) 지열 524
6) 수열 526
7) 바이오에너지 528
(1) 바이오가스 528
(2) 매립지가스(LFG) 530
(3) 바이오디젤 532
(4) 우드칩 533
(5) 성형탄 535
(6) 임산연료 536
(7) 목재펠릿 537
(8) 폐목재 539
(9) 흑액 541
(10) 하수슬러지 고형연료 543
(11) Bio-SRF 545
(12) 바이오 중유 547
8) 폐기물에너지 549
(1) 폐가스 549
(2) 산업폐기물 551
(3) 생활폐기물 553
(4) 시멘트킬른 보조연료 555
(5) SRF 557
(6) 정제연료유 559
9) 연료전지 560
10) IGCC 562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