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장 서론
1.1. 연구의 목적과 범위
1.2. 형식의미론과 합성성 원리의 구현: 외연의미론
1.3. 개념론적 입장과 두 층렬 이론, 담화 표상
1.4. 의미 형식 표기에 관한 약정, 논의의 순서
제2장 양상을 중심으로 한 선행 연구와 가능세계 개념의 필요성
2.1. 선행 연구
2.1.1. 국내 연구 현황
2.1.2. 일반언어학에서의 양상, 증거성 연구 현황
2.1.3. 한국어 양상 표현 연구의 문제와 가능세계 개념의 필요성
2.1.4. 한국어 주관성 형용사, 양상 표현, 증거성 표현들의 기술에서 기준 판단자 도입의 의의
2.2. 가능세계 변수에 대한 양화로서의 양상 개념 구현: 내포의미론
제3장 기준 판단자의 도입과 주관성 형용사, 양상, 증거성
3.1. 들어가기
3.2. 주관적 판단 구문에 대한 선행 연구 검토: 주관성 형용사를 중심으로
3.3. 형식의미론 연구와 ‘판단자’ 개념의 등장
3.3.1. 표준적 형식의미론에서의 합성성 원리 구현 방법
3.3.2. 기준 판단자의 도입과 대안집합
3.4. 한국어 주관적 판단 구문에서의 판단자의 역할
3.4.1. 주관성 형용사 구문
3.4.2. 명제태도 동사와 의문형어미
3.4.3. 양상 표현
3.4.4. 증거성 표현
3.5. 마무리
제4장 한국어 양상, 증거성 표현의 통사?의미 분석
4.1. 들어가기
4.2. 양상 의미의 분석 방법
4.2.1. 선행 연구
4.2.2. 한국어 양상 표현들의 형식적 분류
4.2.3. Kratzer(1981, 1991a)의 양상 의미론과 양상의 의미론적 분류
4.3. 한국어 양상 표현들의 통사와 의미
4.3.1. ‘-겠-’과 ‘-을 것이-’의 양상 의미
4.3.2. ‘-더라’, ‘-네’, ‘-구나’, ‘-지’의 양상 의미
4.3.3. ‘-으려고’와 ‘-어야’의 양상 의미
4.3.4. ‘-길래’와 ‘-거든’의 양상 의미
4.3.5. 보조동사 ‘두다, 보다, 버리다’의 양상 의미
4.3.6. ‘-음직’, ‘-을법’, ‘-을만’, ‘-는듯/을듯/은듯’, ‘-을성’, ‘-을수’,‘-는것/을것/은것’
4.4. 마무리
제5장 보조동사 구문, 연결어미 구문에서의 양상 의미 합성
5.1. 들어가기
5.2. 보조동사 구문에서의 양상 의미 합성
5.2.1. 양상 보조동사 구문의 통사구조
5.2.2. ‘(-어야) 하다’ 구문
5.2.3. ‘(-어) 보다/두다/버리다/주다’ 구문과 ‘(-고) 싶다’ 구문
5.2.4. ‘-음직’, ‘-을법’, ‘-을만’
5.2.5. ‘-는듯/을듯/은듯’, ‘-던듯’, ‘-을성’
5.3. 양상 보조동사 구문의 몇 가지 문제
5.3.1. 양상 의미의 변이와 양상기반, 순서근거
5.3.2. ‘-어 버리-’의 추가적 양상 의미
5.3.3. 또 하나의 양상 표현 보조동사: ‘-을뻔 하-’
5.4. 연결어미 구문에서의 양상 의미 합성
5.4.1. 조건 연결어미들의 양상 의미: ‘-으면’, ‘-었더라면’, ‘-거든’
5.4.2. 양보 연결어미들의 양상 의미: ‘-더라도’, ‘-을지라도’, ‘-을망정’, ‘-을지언정’, ‘-기로서니’, ‘-은들’, ‘-어도’
5.4.3. 이유·원인 연결어미들의 양상 의미: ‘-길래’, ‘-으니까’
5.4.4. 양상 연결어미들 요약
5.5. 공범주 대명사와 흔적 ‘t’: 통사?의미 합성 규칙의 재정리
5.5.1. 공범주 대명사와 판단자
5.5.2. 흔적의 해석과 통사·의미 합성 규칙의 재정리
5.6. 마무리
제6장 맥락과 판단자와 담화 의미의 표상
6.1. 들어가기
6.2. 주관적 판단의 문법과 합성성
6.2.1. 맥락 개념의 필요성
6.2.2. 맥락주의와 상대주의의 논쟁
6.2.3. 상대주의의 두 접근 방안과 판단자 매개변수의 필요성
6.2.4. 맥락, 판단자의 표시와 종결어미, 인용동사
6.2.5. 주관성 형용사 구문과 맥락, 판단자의 역할
6.2.6. 기타 양상 표현의 통사?의미적 처리와 맥락, 판단자의 역할
6.2.7. 주관적 판단 구문과 합성성: 6.2절 마무리
6.3. 개념구조의 대수 체계와 두 층렬 이론
6.3.1. 개념구조의 대수 체계
6.3.2. 두 층렬 이론과 정보구조의 표상
6.4. 맥락, 판단자, 그리고 담화 표상
6.4.1. 전제 의미의 합성과 담화 표상
6.4.2. 의문문과 대답, 주장과 반대 주장
6.4.3. 화행 의미와 진리조건적 의미의 상호작용
6.4.4. 기술층렬 의미와 지시층렬 의미의 상호작용
6.5. 마무리
제7장 결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