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농부 이재관의 그림일기

농부 이재관의 그림일기

  • 이재관
  • |
  • 고인돌
  • |
  • 2018-01-01 출간
  • |
  • 248페이지
  • |
  • 149 X 210 X 19 mm /426g
  • |
  • ISBN 9788994372884
★★★★★ 평점(10/10) | 리뷰(62)
판매가

14,500원

즉시할인가

13,050

배송비

무료배송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13,05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우리 모두 이재관 님을 따라 제멋대로 자기만의 예술가가 되자.”

지은이 이재관은 전문 화가나 글 작가가 아니다. 예술 하는 사람이 아니다. 농민이다. 책을 몇 권 쓰기는 했으나 활동과 체험의 열매이지 전문 작가는 아니다. 쪽지에 그리고 쓴 그림일기를 자신이 카페지기로 있는 귀농정보 관련 네이버 카페/블로그 ‘이야기가 있는 산골’에 올리면 열렬한 환영을 받았다. SNS에 올리면 좋다고 퍼 갔다.
이제 글 쓰고 그림 그리는 일은 전문가 타이틀을 지닌 사람들 차지가 아니다. 생활인이면 누구나 만들고 누리는 시대이다.

「야생초 편지」의 저자 황대권은

“여기 생활예술의 달인 이재관 님의 그림일기를 보라.
얼마나 자유롭고 사랑스러우며 유쾌한가!
물론 그는 일반 사람들보다 잘 그리는 편이지만, 전문가의 눈으로 보면
여전히 삐뚤빼뚤 제멋대로이다. 생태주의 시대는 소비자가 곧 생산자가 되는 시대라고 한다. 예술도 그러해야 한다. 우리 모두 이재관 님을 따라 제멋대로 자기만의 예술가가 되자.”

라고 추천사에서 밝혔다.
이 책의 정곡을 찌른 말씀이다. 이제 예술은 소비자가 곧 생산자인 시대이다. 이 점에서 이재관은 선구자이다. 이 책은 독자들에게 그런 자신감을, 표현하고 싶은 억제할 수 없는 창작열을 준다. 원래 농민은 30여 가지의 재능을 타고난다고 한다. 산업화와 기계화 시대에는 공장 제품을 쓰지만 예전 자급자족 농경 사회에서는 스스로 만들어 쓰지 않으면 밥 굶기 일쑤였다. 이재관 농부가 자급자족 친환경 생태 농업에 매달리는 것은 생활 예술인으로서 즐거움을 누리자는 것 아닌가. 이 책은 농부의 삶이 얼마나 다양하고 풍부한가를 생생한 그림일기로 보여준다.

이 책은 독자들을 유혹한다.
농촌으로 자연의 품으로 오시라.
농촌과 자연은 생활예술의 바탕이 되는 무궁한 창작의 보고이다.
이 책을 보면, 누구나 ‘나도 그리고 싶다’는 마음이 일 것이다. 종이와 펜을 쥐자.

도구는 인간의 건강한 노동으로 살아 숨 쉬는 생명체가 된다.

지은이 이재관은 끊임없이 움직이고 뭔가 만들기를 좋아한다. 특히 땔감으로 쓰일 나무들로 생활목공을 즐긴다. 그 가운데서도 압권은 수제 도장 새기기이다. (p60~64, [도장을 새기다], [도장 하나 새기려면] 참조)
이재관 손도장은 어느새 명품으로 소문이 자자하다. 숲 가꾸기로 잘려나간 나무로 수제도장을 새기고 도장 새기기 강좌도 연다. 버려진 나무들로 다탁이나 의자, 도마 따위를 만들어 도시 사는 벗들과 나눈다. 생활목공을 하는 셈이다. 지은이는 생활 목공 도구들-짜구, 끌, 톱, 나무망치 따위들, 농사 도구들-작은 낫, 예초기, 그리고 옛 생활 도구들-재봉틀, 망태기, 원형탈곡기, 똥장군 따위들에 무한한 애정을 품고 산다. 그 이야기들이 그림일기로 태어났다. 도구들은 농부 이재관을 만나면 귀한 대접받으며 귀중한 보물로 살아 숨 쉬는 생명체가 된다.

학습된 그림이 아닌 진솔한 자기다운 그림

농부 이재관은 나무와 꽃을 좋아한다. 집 앞 텃밭에 150여 종류의 나무와 100여 종류의 꽃을 가꾼다. 이 책에는 나무와 꽃을 그린 그림일기가 많다. [명자] [ 두근두근 복사꽃] [꽃길 따라서] [무심히 툭… 능소화] [상사화 1, 2] [탱자나무 꽃] 따위들.
학습된 그림이 아닌 진솔한 자기다운 그림인 것이 더 정겹다. 자연에 밀착해서 생활 속에서 그린 꽃들이 생생하게 와 닿으며 가슴속에 걸린 생채기가 싹 가신다. 꽃들이, “나 좀 봐 주세요.” 한다. 이재관의 꽃 그림을 보면, 독자들도 ‘나도 그리고 싶다’는 마음에 종이와 펜을 쥐게 될 것이다. 꽃은 어디에도 피지 않는가.

마을을 행복하게 하는 게 진보다.

지은이 이재관은 나이 마흔 되던 해 귀농해 시골 마을에 터를 잡았다. 지금 육십을 바라보는 나이에도 여전히 마을의 젊은이(?)이다. 농촌은 거의 다 노인들이 마을을 지키고 있다. 당연지사 이재관 젊은이는 노인들이 어렵지 않게 아쉬운 소리를 할 수 있는 만만한 일꾼이요, 당당한 머슴이다. 보일러나 세탁기, TV가 고장 나고 대문짝이 덜렁거리고 경운기 발통이 빠지면 출동한다. 이재관 농부가 마을에 자리 잡으면서 마을은 행복해져 간다.
이 책은 농촌 마을의 기록이고 증언이다. 이 책에 나오는 [폴더폰 허리] [마을 외식] [가뭄]을 보라. 천형처럼 농사일을 묵묵하게 하는 마을 노인들 한 명 한 명이 인간문화재이다. 농부 이재관은 그림일기로 그것을 기록하고 증언한다. 딱딱한 학술논문이 아니라 가슴 미어지고 정겨운 손글씨와 그림으로 마을 이웃들 삶을 담아냈다.
지은이 이재관은 8,90년대 울산 현대중공업 노동자로 일했다. 노동조합에서 편집과 홍보 책임자로 일하며 세상을 변혁하는 노동운동의 중심에 있었다. 그 당시 지은이가 노조소식지와 노보에 실은 만평은 핵심을 찌르는 감동으로 노동자 인권과 권리 향상에 선도 구실을 했다. 이재관이 펴낸 만평집 세 권은 전국 노동현장에서 쓸모 있는 투쟁도구로 쓰였다. 이런 내공으로 97년에는 감옥소설 [왈왈이들의 합창]으로 제7회 전태일 문학상을 받기도 했다. 그러나 노동조합의 무력화로 어용노조가 들어서고 노동자들은 뿔뿔이 흩어지는 현장에서 홀로 투쟁하는 일이 쉽지 않았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산업재해를 입어 목뼈 수술까지 받았다. 회사 쪽에서는 노동력 저하를 이유로 들어 눈엣가시 같은 이재관의 복직을 막았다. 이재관은 서른 중반부터 꿈꿔왔던 귀농을 했다. 어릴 적 자신을 키워 준 농촌으로 삶의 무대를 옮겼다. 이재관에게는 투쟁이 따라다녔다. 첫 귀농지 부안에서는 군민들과 3년 가까이 핵폐기장 반대투쟁에 매달렸고, 곡성에서는 마을에 들어오려던 오리농장과 돌파쇄공장 진입을 막았다. 그동안 곡성지역 17개 마을 벽화 작업을 했다. 2009년 귀농인구 유입과 행복마을 조성에 기여했다는 공로로 도지사 표창을 받았다. 2013년 마을 벗들과 항꾸네 협동조합을 만들고 이사장을 지냈다. 에너지 적정기술을 익히면서 보급하고 교육하는 일도 한다. 2015년 군정발전 공로로 곡성군수상을 받았다. 농부 이재관은 세상을 바르고 밝게 만드는 길, 농촌 마을이 행복해지는 길이라면 열 일 제쳐 두고 달려간다. 행복한 마을 만드는 이야기가 이 책 곳곳에 숨어 있다. 마을을 행복하게 하는 게 진보다.

목차

5 추천사_여기 생활예술의 달인 이재관 님의 그림일기를 보라

8 명자 (2011.12.12)
10 겨울 봄동 (2012.1.21)
12 봄배추 싹 (2016.3.11)
14 두근두근 복사꽃 (2009.4.8)
16 꽃길 따라서 (2017.4.13)
18 나들이 (2013.4.29)
22 물꼬 (2017.6.30)
24 콩밭 매다가 (2017.9.4)
26 꼬부라진 허리 (2017.8.14)
28 깨 솎는 할매 손 (2017.6.15)
30 수국 꽃송이 (2017.8.4)
32 무심히 툭… 능소화 (2017.7.30)
34 상사화 1, 2 (2017.8.7)
36 작지만 큰 일꾼 호미 (2013.1.5)
38 호미농사 (2011.4.5)
40 장군장군 똥장군 (2016.6.5)
42 마을 외식하고 오다가 (2008.5.8)
46 칡 바구니 (2014.11.20)
48 얼음땡 놀이 (2017.8.11)
50 닭 대장 찬이 (2011.12.17)
52 엄니와 딸기 (2009.5.7)
56 짜구질 (2006.1.21)
58 나무망치 (2015.8.12)
60 도장을 새기다 (2011.1.14)
62 도장 하나 새기려면 (2011.1.14)
64 탱자나무 꽃 (2017.4.20)
67 작은 낫 (2014.4.2)
68 예초기 (2017.7.8)
70 나무이사 계획 (2017.3.31)
72 고재 다탁 다리 (2014.6.9)
76 주걱 (2009.7.10)
78 구유 (2011.3.4)
80 쟁반 하나 (2014.12.22)
82 재봉틀 (2017.7.4)
85 실패와 실타래 (2012.1.20)
87 삼태기 (2017.7.10)
88 숯다리미 (2017.7.12)
90 숫돌 잔 갖고 오니라 (2014.10.13)
92 풍로 (2009.10.2)
94 재떨이 (2017.7.3)
96 달걀말이 (2017.8.24)
98 못줄의 추억 (2017.6.8)
100 하 요시키 봐라? (2017.3.27)
102 장독화분 (2017.7.11)
104 단호박 (2017.8.4)
106 나무 옮겨심기 (2017.4.6)
108 아… 세월호 (2017.4.18)
110 갤리그래피 (2014.2.1)
112 콩밭 앞에서 (2017.8.29)
114 여름 마당의 마술 (2017.8.4)
116 비도 오고… (2012.1.21)
118 박재동 선생 (2017.7.5)
120 가뭄 (2017.6.29)
122 스쿠터 (2017.3.6)
124 솔찬히 따숩재라? (2015.2.3)
126 개미가 문다 (2017.8.25)
128 폴더폰 허리 (2017.3.16)
130 모기향 (2015.8.16)
132 돌 나르기 (2017.3.23)
134 밭고랑에서 (2012.3.16)
136 감자밭에서 (2016.6.25)
138 오일장에서 (2017.6.8)
140 시골길도 예외는 아니다-로드킬(2015.6.29)
142 게으른 놈이 (2012.2.24)
144 오이의 생존전략 (2009.8.13)
146 자귀나무 (2012.1.1)
148 부탁하마 (2014.1.17)
150 햇빛건조기 (2012.9.11)
152 생태 뒷간 (2011.4.13)
154 흙-생명을 키우는 (2009.6.14)
156 돌 줍기 (2010.5.12)
158 봄볕 아래 지게질 (2017.3.15)
160 아구구 부항 (2017.3.24)
162 내 아부지 같은 (2014.2.18)
164 두 날 쇠스랑 (2017.8.30)
166 전기톱 (2017.3.8)
168 고무신도 쉬고 (2017.8.15)
170 목 꺾인 선풍기 (2008.9.12)
172 불 잔 붙여봤는디 (2015.9.15)
174 불? 그 까이 거 뭐 대충 (2015.9.15)
176 낡은 신발 (2017.8.14)
178 또록또록 옥수수 (2006.1.20)
180 몹시 달달한 (2011.7.26)
182 수박 (2017.7.20)
184 개 덥다! (2017.8.11)
186 뒷간에서 (2017.8.31)
188 뒤집으면 되지 (2017.7.7)
190 헌 차 새 발통 (2015.9.14)
192 힘내라 (2017.4.26)
194 버들아 부탁하마 (2017.5.10)
196 달집을 세우다 (2013.2.24)
198 다시 족제비다 (2017.3.27)
200 장화꽂이 (2010.5.2)
202 달걀 (2017.8.16)
204 같이 태어나면 좀 좋으니? (2017.8.12)
206 삼순이 (2017.7.22)
208 참 이쁘다 (2015.4.22)
210 미안해 (2015.2.16)
212 코뚜레 (2009.9.8)
214 엄니 손 (2017.6.11)
216 고향 집 (2017.8.1)
218 엄니, 잘 계시지라? (2017.1.12)
220 메주콩 삶다가 (2011.12.14)
222 메주콩 찧는 한결이 (2009.1.4)
224 모다 보소 (2017.4.3)
226 닭장으로 간 바랭이 (2015.6.9)
228 우리 집 나무 1호 팽나무 (2017.3.20)
230 봄 내음 (2017.3.5)
232 수수빗자루 매기(2013.3.19)
234 꼬마 도마 (2017.7.9)
236 재봉틀 의자 (2008.2.28)
238 쥐 나겠다 (2017.8.14)
240 낫걸이 (2015.6.5)
242 모루 (2013.2.22)
244 끌 뭉치 (2017.8.16)
246 만만한 생활목공 (2015.7.20

도서소개

농촌에서 보내온 그림 쪽지 『농부 이재관의 그림일기』. 현대중공업 노동자로 일하다가 전남 곡성 시골로 귀농해서 터 잡고 농사지으며 자연에 기대 사는 지은이가 열두 해 동안 쪽지에 그리고 쓴 그림일기를 묶었다. 책을 펼치면 장 왼쪽에 글 일기 113개, 오른쪽에 그림일기 117개가 있다. 굳이 글 일기와 그림일기를 구분하는 것은 그림일기의 남다른 점 때문이다. 그림일기는 쪽지에 그림을 그리고 손글씨를 써넣었다. 독자는 한 꼭지에 글 일기도 보고 그림에 곁들여진 짧은 손글씨 글도 볼 수 있다. 손글씨도 그림으로 읽힌다. 그림에 곁들여진 예쁜 손글씨는 컴퓨터 자판 글씨체와 다르게 정이 뚝뚝 묻어나서 따뜻하다. 지은이의 체온이 그림에 스며 숨 쉰다. 

이 책은 농사짓는 이야기, 마을 이웃들과 지내는 이야기, 나무와 꽃 이야기, 여러 가지 농사 도구와 생활목공 이야기, 그리움을 자아내는 사라져 가는 옛것들에 대한 이야기, 식구들과 살아가는 이야기 들이 담겨 있다. 캠퍼스 화폭에 시간을 들여 그린 화가의 그림이 아니라, 생활하면서 그때그때 쪽지에 그리고 쓴 그림일기는 소박하고 정직하다. 학습된 그림이 아닌 진솔한 자기다운 그림인 것이 더 정겹다. 쪽지에 담아낸 그림일기는 도시 사람들을 그리움의 끝자락으로 이끌어 상처받고 피폐해진 가슴을 어루만져 주며 아련한 향수에 빠지게 한다. 농촌 사람들에게는 자기 얼굴을 거울에 비추어 보며 감상하게 하는 즐거움을 준다. 생활 예술의 즐거움과 아름다움을 준다. 귀농과 귀촌을 꿈꾸는 사람들에게 희망의 씨앗을 준다.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