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편 미래 에너지정책과 신재생에너지 현황분석
제 1장 국내외 에너지정책 현황과 원자력산업 동향
1. 국내외 에너지구조 현황과 정책동향
1) 국내
(1) 신정부의 에너지 정책
가. 친환경 미래에너지 발굴·육성
나. 미세먼지 걱정 없는 쾌적한 대기환경 조성
다. 탈원전 정책으로 안정하고 깨끗한 에너지로 전환
라. 신기후체제에 대한 견실한 이행체계 구축
(2) 제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가. 8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초안
나. 전기차 보급 영향 제한적
(3) 신재생 에너지 확대 영향
가. 신재생 3020, 투자 촉진 매커니즘 필요
나. 수요반응(Demand Side Response)
다. 신재생 확대와 계통안정
라. 전력시장 변화 전망
2) 국외
(1) 독일 에너지전환 정책
가. 독일 에너지 정책 변화 추이
나. 에너지전환 정책의 주요 성과
다. 에너지전환 정책의 딜레마
라. 에너지전환 정책의 개선방향
(2) 영국 스마트 에너지(전력) 혁명
가. 에너지효율성, 에너지 및 전력 관련 최근 동향
나. 영국 스마트 에너지(전력) 혁명의 추진 전략
(3) 미국 신행정부의 에너지 및 기후정책 변화
가. 미국최우선에너지계획
A) 미국 내 화석연료 개발 확대와 에너지독립 추구
B) 에너지산업 관련 규제 해소
C) 에너지정책과 환경정책의 동반추진
나. 에너지분야 행정명령 등 대통령 직권 조치와 의미
A) 에너지독립과 경제성장에 관한 행정명령
B) 에너지인프라와 관련한 직권조치
다. 에너지 관련 연방정부 부처 인선 및 예산안
A) 에너지관련 부처 인선
B) 에너지관련 주요 부처 예산안
(4) 러시아 ‘에너지전략 2035’ 추진동향
가. ‘에너지전략 2035’
나. 러시아 원유 및 가스 발전 전략
(5) 일본 에너지 정책 전망
가. 전력 · 가스시장 자유화
나. 원전 재가동 및 해외 수출 가속화
다. 기후변화정책
라. 재생에너지 지원제도 개편
마. 정유업계 재편
바. 안정적인 해외 자원 확보
(6) 중국 에너지믹스 개편과 석탄의존도 감축정책
가. 중국 에너지정책 방향
나. 중국의 주요 에너지계획
다. 석탄의존도 감축정책
A) 석탄의존도 감축 배경 및 13.5계획의 석탄산업 구조조정 계획
B) 발전부문 전원구성 개편 및 규제 강화(전력부분 13.5계획)
2. 주요국 원자력산업현황과 탈원전(탈핵) 대응방안
1) 국내 원자력산업 주요현황
(1) 국내 핵발전 현황
(2) 국내 원전관리 현황
가. 후쿠시마 사고 이전의 중대사고 규제
나. 후쿠시마 사고 후속조치
A) 후쿠시마 후속조치
B) 문제점
다. 사고관리계획서의 제출
A) 원자력안전법의 개정 (2015.6.22.)
B) 사고관리계획서의 주요 내용
라. 문제점
(3) 국내 원전 주요 고려사항
가. 국제 동향
나. 국민 수용성
다. 기술 현황
(4) 국내 원전 안전설비 보강 방안
가. 심층방어
나. 다중방벽의 보호
A) 핵연료
B) 원자로용기
C) 격납건물
다. 핵심대응설비 보완
A) 핵연료 비상냉각수 주입
B) 격납건물 비상살수
C) 소내 비상대응 시설
D) 비상전원 설비
E) 종합평가
(5) 정부의 선택과 탈핵의 경로
가. 국내 현황
나. 신고리 5·6호기 건설 재개 방침과 에너지전환(탈원전) 로드맵 확정
2) 국가별 원자력 주요동향
(1) 원전 확대 또는 유지 국가
가. 미국
A) 의회 입법 활동
B) 미국 에너지부 동향
C) 예산
D) 웨스팅하우스社 파산보호 신청
E) 원전 조기 폐로
F) 유카마운틴 프로젝트
나. 프랑스
A) 신정부 출범과 원자력 정책
B) 원자력안전 규제
다. 영국
라. 일본
A) 가동 중 원전 현황
B) 재가동 원전 현황
C) 신규 원전 현황
D) 향후 원전 용량 추정치
마. 중국
A) 원전 가동 현황
B) 산업체 합병
(2) 축소 또는 폐지 국가
가. 스위스
나. 독일
A) 독일의 탈원전 정책
B) 탈원전 정책의 영향
다. 대만
(3) 기타
가. 남아프리카공화국
나. IAEA
다. 사우디아라비아
라. 아르헨티나
마. 인도
제 2장 국내외 신재생에너지 주요현황
1. 미래사회 에너지 혁신전망
1) 미래 에너지 이용개발 환경
(1) 에너지 수요량의 지속적 증가
(2) 신기후체제 발효에 따른 저탄소 및 저소비 에너지시대 개막
(3) 과학기술혁신으로 에너지시스템의 경쟁구조 변화
2) 미래 에너지 혁신 방향
(1) 단기 전망
(2) 중장기 전망
2.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산업 주요이슈와 지원제도 동향
1) 한국
(1) 신재생에너지 중심 에너지정책
가. 국내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
나. 신재생 3020 이행계획
(2) 신재생 3020 정책 방향성
가. 민간자본 유치
나. FIT 재도입 및 발전원별 일부 REC 가중치 상향
다. 계획입지제도 도입
라. 연구개발을 통한 신규 복합 단지 조성 및 투자 비용 절감
마. 제도변경
바. 신재생에너지 공급자의 의무 확대
2) 미국
(1) 트럼프 행정부 이후 정책 리스크 확대
3) 중국
(1) 신규 발전소 설치 제한 및 보조금 축소
4) 일본
(1) FIT제도 개선 배경
(2) FIT제도 개선 내용
가. 인가제도 개선
나. 효율적이고 균형 잡힌 재생에너지 전원 개발
다. 향후 FIT제도 개선 방향성
5) EU
(1)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목표
가. EU의 신재생에너지 공급목표
나. EU의 신재생에너지 보급 확대를 위한 법적 체계
다. EU 의회・집행위원회 역할 및 결정의 구속력
라. 주요 EU국가의 신재생에너지 공급목표
(2) 신재생에너지 보급 촉진 지원제도 유형
(3) 독일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제도
가. 발전차액지원제도(FIT)
나. FIP(Feed-in Premium)제도
다. 직접 거래제도
라. 기술개발 지원정책 및 조세・재정정책(ITC 및 PTC 등)
(4) 프랑스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제도
가. 프랑스의 FIT 및 FIP 제도 유형
나. 프랑스 FIT 및 FIP 적용 대상
다. 기술개발 지원정책 및 조세・재정정책(ITC 및 PTC 등)
(5) 영국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제도
가. 재생에너지 공급의무제도(Renewable Obligation, RO)
나. 장기차액거래 제도(Contract for Difference, CfD)
다. 영국의 FIT제도
라. 기술개발 지원정책 및 조세・재정정책(ITC 및 PTC 등)
(6) 스웨덴의 신재생에너지 지원제도
가. 전력인증제도(Electricity Certificate System)
나. 국가 간 전력시장 연계
다. 기술개발 지원정책 및 조세・재정정책(ITC 및 PTC 등)
6) 아세안
(1) ASEAN의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목표
가. ASEAN의 REmap 목표 및 신재생에너지 기여도 전망
나. 발전부문 전원구성
다. 산업 및 빌딩부문
라. 수송부문
(2) ASEAN 국가의 신재생에너지 활용 목표 및 지원제도
가. ASEAN 회원국별 신재생에너지 보급・확대 목표
나. ASEAN 국가별 신재생에너지 지원제도
A) 태국
B) 인도네시아
C) 말레이시아
D) 필리핀
E) 베트남
3. 수소에너지 산업 주요동향
1) 수소에너지의 가치사슬 및 산업전망
(1) 수소에너지 가치사슬 구조
(2) 수소에너지의 전망
2) 주요국의 수소산업 현황 및 발전전략
(1) 미국
(2) 독일
(3) 일본
(4) 한국
가. 국내 수소산업의 현황분석
A) 연료전지
B) FCEV
C) 인프라
나. 국내 수소산업의 발전전략
3) 국내외 수소에너지 시장동향 및 전망
4) 수소에너지 기술개발현황 및 보급현황
(1) 미국
가. 기술개발 현황
나. 보급현황
(2) 일본
가. 기술개발 현황
나. 보급현황
(3) 독일
가. 기술개발 현황
나. 보급현황
(4) 영국
(5) 한국
가. 기술개발 현황
A) 미래창조과학부 사업
B) 산업통상자원부 수소연료전지사업단 및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C) 원자력 수소사업
D) 해양과학기술원(KIOST),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KIMST)
E) 산업체 및 지자체
나. 보급현황
5) 수소에너지 표준화 동향
4. 풍력발전 산업 주요동향
1) 풍력발전 효율성
(1) 경제성
(2) 효율성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및 업체동향
(1) 풍력 로터허브
가. 기술개발 트렌드
A) 제품의 고신뢰성의 요구
B) 정밀가공장비의 대형화
C) 경량화 및 구조설계기술
D) 가격경쟁력확보 및 중형풍력터빈 기술요구
나. 해외업체 기술개발동향
다. 국내업체 기술개발동향
라. 기술인프라 현황
(2) 소형풍력발전기
가. 기술개발 트렌드
A) 상업발전용 소형 풍력터빈 기술 및 저가화
B) 소형 풍력터빈의 독립형기술 및 융복합기술
C) 소형 풍력 최적화 엔지니어링 기술개발
나. 해외업체 기술개발동향
다. 국내업체 기술개발동향
라. 기술인프라 현황
(3) 해상풍력발전
가. 국외 기술개발동향
A) 유럽 해상풍력발전 현황
B) 그 외 국가 해상풍력발전 현황
나. 국내 기술개발동향
3) 국내외 풍력산업 현황
(1) 세계 산업 현황
(2) 국내 풍력산업 동향
4) 국내외 풍력산업 시장동향과 전망
(1) 세계 시장
(2) 국내 시장
5. 태양광발전 산업 주요동향
1) 태양광발전 기술개발 동향
(1) 태양광 기술개발의 필요성
(2) 기술개발 트렌드
가. 태양광 발전시스템
A) 독립계통형 태양광 모듈 어레이 최적화 설계 기술
B) 고효율화 태양전지 전력변환 제어시스템
C) 태양광발전시스템의 전력변환기기의 국산화
D) 지역 및 환경 맞춤형 태양광발전시스템 발굴
나. 태양광 공정장비
A) 저가격화(cost down) 태양전지 제조 장비
B) 태양광 공정장비 국산화
C) 관련 반도체, 디스플레이 등 우수한 기술 활용 가능
(3) 주요업체별 기술개발동향
가. 해외업체동향
나. 국내업체동향
(4) 국내 기술 인프라현황
(5) 페로브스카이트 태양전지 핵심기술 동향
가. 고효율화 기술
나. 소자구조 기술
A) 감응형 구조 (Sensitized Structure)
B) 메조 구조 (Meso-Superstructure)
C) 이중층 구조 (Bi-layer structure)
D) p-i-n 소자 구조
다. 박막 제어기술
라. 페로브스카이트 광흡수층 물질제어 기술
마. 안정성 확보기술
A) 수분 안정성
B) 광 안정성
C) 열 안정성
바. 대면적화 기술
사. 친환경 소재기술
아. 플렉서블화 기술
3) 국내외 태양광산업 동향
(1) 세계 태양광시장 동향
가. 중국
나. 미국
다. 신흥시장
(2) 태양광 제품 가격 동향
가. 폴리실리콘
나. 웨이퍼 & 태양전지
다. 모듈
(3) 태양광 발전단가
가. 미국
나. 영국
다. 독일
라. 중국
마. 인도
(4) 국내 태양광산업 동향
(5) 중장기 태양광 시장전망
6. 주요국 신재생에너지 관련 특허동향 분석
1) 특허청별 출원 동향
2) 기술 경쟁력 동향
(1) 전체 관점
(2) 한국 관점
3) 기술별 주요 출원인 점유율 분석
(1) 신재생에너지 분야 주요출원인별 보유특허 포트폴리오 현황
(2)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구간별 출원동향
(3) 신재생에너지 분야 상위 출원인별 출원동향
(4) 신재생에너지 분야 한국출원인 현황
제 2편 에너지효율화 분야별 동향분석
제 1장 국내외 에너지효율화 정책 및 소재산업 동향
1. 세계 에너지효율 주요동향
1) 세계 에너지효율 현황
(1) 최근 에너지효율 동향
(2) 부문별 에너지원단위 개선 성과
2) 에너지효율 개선 성과의 요인
(1) 국내외 에너지 효율 정책
가. 한국
A) 에너지기본계획
B) 에너지기술개발 계획
C) 에너지이용 합리화 기본계획
나. 미국
A) Building America
B) Solid-state Lighting(SSL) Research and Development
C) Advanced Manufacturing Office(AMO)
다. 일본
A) New Sunshine Project
B) Cool Earth 50 프로그램
C) Energy Conservation Technology Strategy(ECTS)
라. EU
A) Strategic Energy Technology Plan
B) Energy Efficiency Directive(EED)
C) 2030 Energy Strategy
(2) 에너지효율 규제
가. 수송부문
나. 건물부문
다. 산업부문
3) 국내외 에너지 효율 R&D 투자동향 및 시장진화 방향
(1) 주요국 R&D 투자 지출 동향 및 비교
(2) 부문별・기술별 주요국 에너지 효율 R&D 지출 현황
가. 주요국의 부문별 에너지 효율 R&D 현황
나. 주요국의 세부 기술별 에너지 효율 R&D 현황
(3) 세계 에너지효율 시장 투자 증가
(4) 에너지효율 시장 다각화
4) 세계 에너지효율 분야별 전망
(1) 에너지효율 잠재량
(2) 부문별 에너지효율 전망
가. 건물부문
나. 수송부문
다. 산업부문
(3) CO2 감축량
(4) 투자
5) 국내 에너지효율 시장(Energy Efficiency) 시범사업
(1) 사업목적
(2) 사업개요
가. 사업 대상
나. 사업규모 및 분야
다. 사업분야
(3) 사업절차
(4) 사업구도(안)
(5) 사업계약 및 투자비 상환
(6) 사업 참여조건
(7) 기본금 및 성과금 지급 기준
가. 지급금액(대기업 기준)
나. 지급금액(대기업 외 사업장 및 계량전송장치 사전설치 사업장 기준)
6) 에너지자원 및 에너지 효율화 관련 특허동향 분석
(1) 특허청별 출원동향
(2) 기술 경쟁력 동향
가. 특허 활동 지표
A) 전체 관점
B) 한국 관점
C) 요약
나. 주요시장 확보 지표
A) 전체 관점
B) 한국 관점
C) 요약
다. 기술별 주요 출원인 점유율 분석
A) 전체관점
B) 한국관점
2. 에너지효율화⦁경량화소재 산업 주요동향
1) 에너지 다소비산업의 재료효율성
(1) 방법론
(2) 에너지 다소비부문의 영향
(3) 정책 제안 및 비용
2) 차세대 석탄화력 발전플랜트 소재 주요동향
(1) 석탄화력 발전플랜트 소재 연구개발 동향
가. 국내 동향
나. 해외 동향
A) 미국
B) 일본
C) 유럽
다. 국내외 선도기관
(2) 산업 및 시장동향
가.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나. 국내 기업현황
다. 해외 시장규모 및 전망
A) 석탄화력 발전플랜트 시장
B) 내열소재 시장
라. 해외 기업현황
3) 수송기기용 경량화 소재 주요동향
(1) 자동차 경량화 소재 연구개발 동향
가. 국내 기술개발 동향
A) 알루미늄 주조재 및 주조 부품 개발 현황
B) 자동차용 알루미늄 압출재 및 판재 기술 개발 동향
C) 자동차용 마그네슘 압출재 및 판재 기술 개발 동향
D) 자동차 경량화관련 기술 지원현황
나. 해외 자동차 경량화관련 지원 프로그램
A) 미국
B) 일본
C) 유럽
(2) 항공기용 경량소재 연구개발 현황
가. 국내외 기술 개발 동향
나. 항공기용 알루미늄 합금기술
다. 항공기용 타이타늄 합금기술
라. 미래 항공기 개발을 위한 경량소재개발 동향
A) 알루미늄-리튬합금의 개발
B) 초고강도 7XXX계 합금의 개발
C) 초소성 성형용 타이타늄 판재
D) 3D 프린팅을 이용한 타이타늄 부품 제조
(3) 기타 수송기기 경량화 기술동향
가. 철도 차량의 경량화
나. 선박의 경량화
(4) 국내외 선도기관
(5) 산업 및 시장 동향
가. 국내 시장규모 및 전망
나. 국내 기업동향
다. 해외 시장규모 및 전망
라. 해외 기업 동향
4) 핵융합 소재 주요동향
(1) 핵융합 소재 연구개발 동향
가. EU
나. 일본
다. 미국
라. 기타국가(중국, 인도, 한국)
(2) 국내외 선도기관
(3) 산업 및 시장 동향
(4) 미래의 연구방향 및 정책 제언
제 2장 에너지효율화 기술 분야별 주요동향
중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