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을 시작하며 60점짜리 아빠, 100점짜리 역사 ‘선생님’
이 책을 추천하며 역사 공부의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는 책
교과서보다 더 교과서 같은 중학교 역사 지침서
Ⅴ. 우리 민족 문화가 활짝 피다 : 조선의 성립과 발전
16 유교 국가 조선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 조선 통치 체제의 확립
조선은 왜 한양을 수도로 정했을까?ㆍ조선 건국과 한양 천도|태종이 호패법을 실시한 까닭은?ㆍ조선의 국가 기틀 확립|왕은 왜 신하들과 토론을 벌였을까?ㆍ통치 체제 정비 : 중앙 및 지방 조직|농민도 과거 시험을 볼 수 있었을까?ㆍ군사 조직, 조세 제도 및 관리 선발 제도|여자도 부모의 재산을 물려받았다고?ㆍ《경국대전》에 나타난 조선 사회|세종, 일본에 삼포를 개항하다ㆍ조선의 외교 정책 및 대외 교류
History Mind Map _ 조선 초기의 중앙 정부 조직 / 조선의 행정 구역
17 가장 독창적인 언어를 만들다 : 조선 시대 민족 문화의 발달
세종은 왜 세자에게 섭정을 맡겼을까?ㆍ훈민정음 창제|실록을 만든 후 사초를 폐기한 까닭은?ㆍ다양한 서적의 편찬|세종과 장영실이 만든 과학 강국ㆍ조선 전기의 과학 발전|세종 시기를 조선의 르네상스라 부르는 까닭ㆍ조선 전기의 예술 발전
History Mind Map _ 전 세계가 인정한 ‘대왕’ 세종 The Great
18 모든 백성은 성리학 질서를 따르라 : 사림의 성장과 붕당 정치의 대두
숨죽였던 사림, 중앙 정계로 진출하다ㆍ사림의 등장|연산군은 왜 군(君)으로 강등되었을까?ㆍ훈구와 사림의 갈등과 4대 사화|성리학에서는 왜 여자와 남자가 동등하지 않을까?ㆍ성리학 질서의 확산|사림은 어떻게 동인과 서인으로 분열했을까?ㆍ사림의 집권과 붕당 정치의 시작|일본인들이 이황을 추종하는 이유ㆍ성리학을 둘러싼 논쟁
History Mind Map _ 조선 전기 성리학자들의 세력 변화
19 전쟁의 시대, 어떻게 이겨냈을까? : 왜란과 호란의 발발 및 조선 사회의 변화
일본은 왜 정명가도를 요구했는가?ㆍ임진왜란의 발발과 전개|일본이 정유재란을 일으킨 까닭은?ㆍ조선의 반격과 임진왜란의 종결|광해군은 왜 대동법을 실시했을까?ㆍ임진왜란 이후 조선의 변화|광해군이 ‘중립 외교’를 편 까닭ㆍ병자호란의 발발|조총 부대를 양성한 효종ㆍ북벌의 추진과 결과
History Mind Map _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과정
Ⅵ. 조선을 개혁하라! : 조선 후기 사회의 변동
20 붕당 폐해를 어떻게 바로잡을까? : 조선 후기 정치 변화와 영·정조의 개혁
병조가 국방 업무를 실제로 총괄하지 못한 까닭은?ㆍ조세 제도와 통치 조직의 변화|상복 입는 기간이 왜 그리 중요했을까?ㆍ예송과 붕당 정치의 변질|숙종은 왜 집권 붕당을 수시로 바꾸었을까?ㆍ숙종의 환국 정치|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는 것이 군자의 마음ㆍ영조의 탕평 개혁|정조, 조선 후기 르네상스 이끌다ㆍ정조의 정치 개혁
History Mind Map _ 조선 후기의 붕당과 환국
21 실학이 조선 사회를 어떻게 바꾸었을까? : 조선 후기의 사회 개혁 움직임
쇠붙이 동전으로 물건을 살 수 있다고?ㆍ상품 화폐 경제의 발전|정부가 공명첩을 판 까닭은?ㆍ양반의 몰락과 신분제의 동요|실학이 등장한 배경은 뭘까?ㆍ실학의 발전|실학은 왜 현실에 적용되지 않았을까?ㆍ실학의 의의 및 영향
History Mind Map _ 조선 후기 사회의 모습
22 서민 문화가 활짝 피어나다 : 조선 후기의 변화 및 사회 개혁 움직임
조선 전기에 발해를 연구하지 않은 까닭은?ㆍ국학의 발달과 백과사전의 편찬|서양 지도가 중국 중심의 세계관을 바꾸다ㆍ과학의 발전|왜 민화에는 호랑이가 많이 등장할까?ㆍ서민 문화의 발달|허생이 번 돈을 모두 버린 이유는?ㆍ조선 후기의 문학과 예술
History Mind Map _ 지도와 새로운 문물에 따른 인식의 변화
23 조선 후기 농민 봉기는 왜 일어났을까? : 농민 의식의 성장과 봉기
강화도 나무꾼은 어떻게 왕이 되었나?ㆍ세도 정치의 성립과 전개|진산 선비가 조상의 신주를 태운 까닭은?ㆍ천주교의 확산과 박해|최제우는 왜 동학을 창시했을까?ㆍ삼정의 문란과 동학의 확산|홍경래, 반란을 일으키다ㆍ홍경래의 난과 임술 농민 봉기
History Mind Map _ 세도 정치의 발생과 폐해
Ⅶ. 문명에서 제국이 싹트다 : 통일 제국의 등장
24 중국, 지구 밖에서도 보이는 성을 쌓다 : 진·한 제국의 성립과 발전
와신상담이란 한자성어가 탄생한 배경은?ㆍ춘추 전국 시대의 전개|어지러운 세상 속에서 철학과 학문이 발달하다ㆍ제자백가의 활약|진시황은 왜 책을 불살랐을까?ㆍ진의 중국 통일과 멸망|한이 실크로드를 개척한 이유ㆍ한의 성립과 발전|한자라는 말은 어디에서 유래했을까?ㆍ후한의 흥망과 한 문화의 발달
History Mind Map _ 고대 중국 국가의 계보
25 불교가 탄생하고 성장한 인도 : 인도의 통일과 여러 왕조의 발전
석가는 왜 왕이 되기를 포기했을까?ㆍ불교의 탄생|아소카왕은 왜 전쟁을 포기했을까?ㆍ마우리아 왕조의 인도 통일|인도의 불상은 왜 서양 사람을 닮았을까?ㆍ쿠샨 왕조와 간다라 미술|인도 중부와 남부는 마이너 리그ㆍ인도 중부와 남부의 변천
History Mind Map _ 문화의 용광로, 인도
26 관용의 통치를 한 페르시아 : 서아시아의 통일과 국제적 문화의 발전
페르시아는 왜 관용 정책을 폈을까?ㆍ아시리아와 페르시아의 서아시아 통일|페르시아엔 불멸의 부대가 있었다ㆍ페르시아의 체제 정비와 다리우스 1세의 활약|42킬로미터를 내달린 그리스 병사ㆍ페르시아 전쟁의 발발과 결과|로마와 페르시아가 싸우면 누가 이길까?ㆍ사산 왕조 페르시아의 흥망|현대 종교의 기원은 페르시아에서 나왔다ㆍ페르시아의 문화 발전
History Mind Map _ 페르시아 왕자의 나라, 이란
27 모든 길은 로마로 통한다 : 그리스 폴리스와 로마 제국의 발전
아크로폴리스와 아고라의 차이는 무엇일까?ㆍ에게 문명의 발전과 그리스 폴리스의 형성|아테네와 스파르타의 대결, 누가 승리했을까?ㆍ폴리스의 발전과 그리스 내전|알렉산드로스는 왜 페르시아 여성과 결혼했을까?ㆍ헬레니즘 세계의 탄생|그리스인들은 왜 사람과 똑같이 신을 만들었을까?ㆍ그리스 문화의 시대별 특징|로마 평민들은 왜 로마를 탈출했을까?ㆍ로마의 성립과 발전|황제의 어원은 로마에서 나왔다ㆍ로마 제국의 탄생|로마 제국이 로마를 떠난 까닭은?ㆍ서로마 제국의 멸망|네로는 왜 크리스트교를 박해했을까?ㆍ로마 문화의 특징과 크리스트교 공인
History Mind Map _ 고대 그리스 약사(略史) / 그리스의 의미
Ⅷ. 전 세계가 각자의 문화권을 만들다 : 지역 세계의 형성과 발전
28 동아시아, 중국 문화를 받아들이며 성장하다 : 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과 발전
《삼국지연의》는 왜 유비 중심으로 이야기가 전개되었을까?ㆍ위·촉·오의 대결과 진의 건국|위진 남북조의 혼란 덕분에 고구려가 급성장했다?ㆍ북방 민족의 중국 진출|북조 불상의 얼굴은 황제의 얼굴을 본떴다?ㆍ위진 남북조 시대의 문화|수가 대운하를 만든 까닭은?ㆍ수의 통일과 당의 재통일|당 태종은 왜 메뚜기를 삼켰을까?ㆍ당의 발전과 멸망|당삼채가 서역 상인과 낙타의 모양새를 한 까닭은?ㆍ당의 귀족 문화 발전과 교역 확대|일본 아스카 문화의 ‘원본’은 한반도에서 따왔다?ㆍ일본 고대 국가의 성립과 발전|한중일의 공통점은 무엇일까?ㆍ동아시아 문화권의 형성
History Mind Map _ 후한 이후 중국의 국가들 / 고대 일본의 약사(略史)
29 여러 종교가 어우러진 인도 : 인도와 동남아시아 세계의 발전
아라비아 숫자의 기원은 인도ㆍ굽타 왕조의 성립과 인도 전통 문화의 발전|인도에는 12억의 신이 있다ㆍ힌두교의 성립과 발전|인도인들이 이슬람교로 개종한 까닭은?ㆍ인도 이슬람 왕조의 성립|베트남 남부와 북부는 완전히 다른 민족이었다ㆍ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발전
History Mind Map _ 아시아의 지역 구분
30 새로운 종교가 서아시아를 뒤흔들다 : 이슬람 세계의 성립과 이슬람 제국의 발전
메카가 왜 갑자기 떠올랐을까?ㆍ이슬람교의 성립과 이슬람 공동체 건설|이슬람이 수니파와 시아파가 분열한 까닭은?ㆍ정통 칼리프 시대와 시아파의 등장|우마이야 왕조, 100년 만에 멸망하다ㆍ우마이야 왕조의 흥망과 이슬람교의 교리|왜 이슬람 국가들은 아바스 왕조를 멸망시키지 않았을까?ㆍ아바스 왕조와 이슬람 분열|아라비안나이트를 ‘천일야화’라고 하는 이유ㆍ동서 교역 확대와 이슬람 문화권의 형성
History Mind Map _ 초기 이슬람 세계 정리
31 봉건제와 크리스트교가 지배한 대륙 : 중세 유럽 세계의 형성과 발전
로마 교회는 왜 프랑크 왕국을 지지했을까?ㆍ게르만족의 이동과 프랑크 왕국의 건국|프랑크 왕국이 분열한 까닭은 무엇일가?ㆍ프랑크 왕국의 분열과 로마 제국의 부활|중세 유럽의 농민을 왜 농노라 부를까?ㆍ중세 유럽 봉건제의 특징|크리스트교는 왜 분열했을까?ㆍ비잔티움 제국의 흥망과 동유럽 문화권의 성립|황제는 왜 교황에게 용서를 빌었을까?ㆍ중세 크리스트교 문화의 발달|십자군은 왜 같은 편인 비잔티움 제국을 공격했을까?ㆍ십자군 전쟁과 장원 경제의 몰락|백년 전쟁에서 기사들이 몰락한 이유ㆍ중앙 집권 국가 등장
History Mind Map _ 로마 제국의 변화 / 유럽의 지역 구분
Ⅸ. 서로 다른 문화가 충돌하다 : 전통 사회의 발전과 변모
32 몽골, 세계를 제패하다 : 동아시아 세계의 발전
서양을 발전시킨 것은 송의 발명품이었다?ㆍ송의 흥망과 경제·문화 발전|송이 왜 요와 금 사이에서 오락가락했을까?ㆍ북방 민족의 중국 진출과 정복 왕조의 성립|칭기즈 칸이 중국을 정복하지 않은 까닭은?ㆍ몽골의 세계 제국 건설|원은 왜 100여 년 만에 멸망했을까?ㆍ원의 멸망과 명의 건국|명이 해외 개척을 중단한 이유ㆍ남해 원정과 명의 흥망|청이 공행 제도를 도입한 까닭은?ㆍ청의 건국과 발전|일본이 네덜란드에만 항구를 개방한 까닭은?ㆍ일본, 무사 정권 시대 성립
History Mind Map _ 당 이후의 중국 약사(略史)
33 몽골을 계승한 인도의 제국 : 인도와 동남아시아 세계의 발전
마라타족이 무굴 제국과 내분을 벌인 까닭은?ㆍ무굴 제국의 성립과 발전|타지마할은 종교 융합의 상징ㆍ무굴 제국의 경제와 문화 발전|동남아시아를 왜 ‘종교의 용광로’라고 할까?ㆍ동남아시아 국가들의 발전
History Mind Map _ 동남아시아의 나라들
34 이슬람 세계의 새 강자가 등장하다 : 서아시아 이슬람 세계의 발전
터키의 나라 이름은 민족 이름에서 따왔다?ㆍ셀주크 튀르크의 발전과 몰락|티무르는 칭기즈 칸의 후손일까?ㆍ일한국과 티무르 왕조의 발전|오스만 병사들이 함대를 등에 지고 산을 넘은 까닭은?ㆍ오스만 제국의 성립과 발전|오스만 제국에서는 왜 커피가 유행했을까?ㆍ오스만 제국의 경제와 문화 발전
History Mind Map _ 튀르크족은 누구?
35 유럽이 세계를 주도하기 시작하다 : 중세에서 근대로 이행하는 유럽 세계
유럽은 왜 그리스·로마 문화를 되살리려 했을까?ㆍ르네상스의 시작과 확산|헨리 8세는 왜 로마 가톨릭을 버렸을까?ㆍ종교 개혁 열풍|포르투갈 선박은 왜 아프리카를 빙 돌아서 인도에 갔을까?ㆍ신항로 개척 시대 개막|가격 혁명과 상업 혁명은 왜 일어났나?ㆍ신항로 개척이 바꾼 세계 역사|관료제와 상비군이 도입된 까닭은?ㆍ절대 왕정의 성립|만유인력 발견이 과학 혁명을 이끌다ㆍ17~18세기 유럽의 과학과 문화
History Mind Map _ 넓어지는 세계, 점점 커지는 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