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바구니 담기 close

장바구니에 상품을 담았습니다.

조선시대 유학자 불교와의 교섭 양상

조선시대 유학자 불교와의 교섭 양상

  • 김종수
  • |
  • 서강대학교출판부
  • |
  • 2017-12-20 출간
  • |
  • 497페이지
  • |
  • 163 X 231 X 33 mm /848g
  • |
  • ISBN 9788972733416
판매가

29,000원

즉시할인가

28,130

배송비

2,300원

(제주/도서산간 배송 추가비용:3,000원)

수량
+ -
총주문금액
28,130

※ 스프링제본 상품은 반품/교환/환불이 불가능하므로 신중하게 선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출판사서평

저자는 수년 동안에 걸쳐 경향의 대학에서 다양한 강의를 진행하는 한편, 동양철학이나 한국철학을 구성하는 세부 영역들인 유학·불교·도가의 텍스트 독해력 함양에도 동시에 주력해 온 학자다. 『조선시대 유학자 불교와의 교섭 양상』은 이 같은 저자의 풍부한 이론적 무장과 원전 해독 역량이 종교 간 대화의 문제라는 작금의 시대적 화두와 결합하게 되면서, 가시적인 결실로 이어진 비교종교철학의 성격을 띤 연구서다. 특히 저자는 종교적 중층 인구의 수효가 실제 국민 인구를 훨씬 상회하는 대한민국이나, 혹은 극단적인 근본주의 성향으로 인해 정경(正經)의 가르침 너머에서 늘상 피비린내를 동반하곤 하는 일부 고등종교들이 관용(寬容)의 미덕을 제대로 발휘하지 못하는 이유를 탐색하기 위한 차원에서 이 책의 저술을 구상하게 되었노라고 밝히고 있다.
이에 『조선시대 유학자 불교와의 교섭 양상』에서는 선초(鮮初)인 15세기에서 조선후기 무렵인 18세기에 이르기까지의 유학자들인 괴애 김수온·일두 정여창·갈천 임훈·서계 박세당·임호 박수검·학고 김이만 등과 같은 6인의 인물들이 남긴 유학과 불교 사이의 다채로운 교섭 양상에 예의 주목하게 되었다. 또한 저자는 당초의 연구 목적인 유(儒)·불(佛) 간의 교섭 양상을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방편상, 이들 6인의 유학자들이 선보인 불교의 교학체계 전반에 걸친 지적 소양 정도와 주변 승려들과의 의미 있는 교유 양상, 그리고 ‘좌선(坐禪)·정좌(靜坐)·가부좌(跏趺坐)’ 등으로 대변되는 실참 수행에의 몰입 정도라는 세 가지 분석틀을 연구 방법론으로 설정하는 이론적 조처를 취하였다. 나아가 저자는 6인의 유학자들이 보여준 특별한 심리적 성향인 염리심(厭離心)과 강한 산수 취향, 그리고 영혼의 트라우마 현상 등과 같은 내용들을 세심하게 취급함으로써, 유·불 교섭 행위의 이면에 가로놓인 배경에 대한 이해를 적극 도모하기도 하였다.
그 결과 이 책에서는 6인의 유학자들이 각인각색 격의 교섭 양상을 선보인 사실을 뚜렷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 우선, 선초의 고승인 신미의 아우인 김수온의 경우 려말 이후로 실체가 모호해져만 갔던 이른바 ‘거사불교’의 길을 평생토록 영위한 인물로 재규명되었다. 다만, 고관대작을 역임했던 김수온은 그가 추구한 거사로서의 구도적 삶에 오롯이 몰입하지 못했던 까닭에, 일평생 배회하고 방황해야만 하는 정신적 고통을 감내할 수밖에 없었다. 그런 점에서 김수온이 영위한 거사불교의 길은 그의 인생 구도에서 차선의 의미를 지니는 것이었다. 괴애의 뒤를 이은 사림파의 영수 정여창은 메타적 회통론자인 나말 고운 최치원의 진정한 계승론자로 전면적인 재해석이 이뤄졌다. 그리하여 정여창이 남긴 유·불 교섭에의 자취가 한국사상사의 자기 전개 과정에서 보기 드문 회통론자의 위상을 구축한 것으로 새롭게 자리 매김하게 되었다. 뿐만 아니라 정여창이 생전에 선정(禪定) 삼매(三昧)의 경지에 자주 접어들곤 했던 사실은 지금껏 세상에 그리 잘 알려져 있지 않은 내용에 해당한다.
김수온·정여창에 비해 근본 유자로서의 이념적·사상적 정체성을 탈각시키지 않았던 임훈과 김이만의 경우는 부분적·제한적 교섭론자로 평가되나, 두 사람이 남긴 교섭 양상은 각기 상이한 양태를 취하고 있었다. 우선, 임훈의 경우 불교교학과 선불교 방면에 대해서는 매우 비판적이었지만, 통상 유(儒)·석(釋) 교유로 지칭되는 승려와의 교류 면에서는 하나의 전범을 개척하는 식의 이채를 연출하였음을 조명하였다. 반면에 의미 있는 유·석 교유가 결여되었던 김이만은 부분적으로 불교의 공관(空觀)을 수용하거나, 정좌 수행에 심취하는 등의 교섭 행위를 통해서 애초 그가 떠안았던 심리적 트라우마 증상이 차츰 치유되는 국면으로 이행한 특징이 포착되었다. 결과적으로 두 사람 모두 불교와의 부분적인 교섭 과정을 경유하면서, 애초 그들이 간직한 트라우마를 치유하는 데 긍정적인 결과로 이어졌음이 주목된다.
한편 이단적 사유체계를 대표하는 노장철학과 불교 방면에 대해 동시적인 교섭 활동을 전개했던 박세당은 진정한 교섭론자로 평할 만한 사상가였다. 비록 박세당도 정통 유학의 진리론이나 공부론에 배치되는 반야공관과 선불교에 대해 비판적 인식을 드러내 보였지만, 공관의 독자적 진리치를 긍정하였고 몸소 참선 수행의 묘미를 체득하기 위한 노력을 노년에 이르도록 진지하게 경주하였기 때문이다. 박세당이 유지한 고승·대덕과의 교분도 이 같은 토대 위해서 수행된 것이다. 본서의 제6장을 장식한 박수검의 경우 전근대 시기에서 선보인 유·불 교섭의 극점을 제시한 희유한 인물에 해당한다. 물론 그 이면에는 연원 깊은 심리적 트라우마의 문제가 자리하고 있었는데, 박수검은 실존적 인간이 직면한 구원에의 처방이 상대적으로 빈약한 유학의 가르침 너머에서 불자로의 종교적 ‘전향’을 전격 감행하였기 때문이다. 그러나 박수검의 경우 임종을 전후로 한 무렵에도 그가 떠안은 트라우마를 해소·치유하지는 못했다. 이 같은 정황은 박수검이 시도한 종교적 전향 행위를 ‘개종’의 맥락까지를 내포하는 계기적 사건으로 단정하기 어려운 이유로 작용했다.
이상에서 소개한 6인의 유학자들 모두 모태종교 격인 유학[혹은 정주학]적 기반 위에서 불교와의 유의미한 교섭 활동을 전개하였으며, 이들의 경우 강한 도통 담론과 벽이단론을 개진하지 않은 묘한 특징이 발견된다. 이 점 6인의 유학자들이 각기 전면적·부분적 차원에서의 교섭 노력을 펼칠 수 있었던 구체적인 이유와도 직접 맞닿아 있다. 동시에 이들 6인은 애당초 견지했던 유학자로서의 사상적·이념적 정체성을 결코 각하하거나 이완시키지는 않았다. 그런 점에서 이 책은 종교 간 대화에서 요청되는 ‘관용’의 미덕이란 그 어떤 확고한 실체성을 담지한 개념이라기보다는, 오히려 인내(忍耐)라는 덕목과 보다 친연성의 관계를 지닌 단어일 것임을 성찰할 만한 중요한 계기를 제공해 주고 있다.

목차

책머리에
1장 서론
1. 연구 범위와 방법론
2. 내용 개관과 구성체계
1) 특징적 내용의 개관
2) 본서의 구성체계

2장 선초(鮮初) 괴애(乖崖) 김수온(金守溫)의 거사불교(居士佛敎) 신행
1. 문제의 제기
2. 거사의식(居士意識)과 승려(僧侶) 호칭법
1) 괴애의 거사의식
2) 승려에 대한 호칭법
3. 승려와의 교유 양상
1) 시축(詩軸)·시권(詩卷)을 매개로 한 교유
2) 사승관계(師承關係)에 대한 식견
3) 사찰(寺刹)에의 유숙(留宿)
4. 맺음말

3장 15~16세기 사림파의 영수 일두 정여창(鄭汝昌)의 불교적 혐의와 유불(儒佛) 회통론(會通論)
1. 문제의 제기
2. 학문[學]·도덕[行]과 사후(死後) 평가
3. 염리심(厭離心)과 강한 산수 취향
4. 불교적 혐의점들에 대한 재검토와 해명
1) 불교교학(佛敎敎學) 이해
2) 승려와의 교유와 실참(實參) 수행(修行)
(1) 승려와의 교유 양상
(2) 실참 수행: ‘사도(思道)의 공(功)’
5. 최치원(崔致遠)의 진감선사탑비(眞鑑禪師塔碑)와 일두의 유·불 회통론
6. 맺음말

4장 16세기 경상우도(慶尙右道) 안음현(安陰縣)의 재야(在野) 유학자 갈천(葛川) 임훈(林薰)의 불교인식
1. 들면서
2. 임훈의 도통(道統) 담론과 벽이단론(闢異端論)
3. 염리심과 산수벽(山水癖), 무위유학(無爲儒學)
4. 불교인식의 세 국면
1) 불교 교학적 소양
2) 좌선(坐禪) 수행법 비판
3) 비구승 도징(道澄)과 임훈: 유(儒)·석(釋) 교유의 한 전범
5. 맺음말

5장 17세기 소론계의 지성 서계(西溪) 박세당(朴世堂)의 ‘삼소철학(三笑哲學)’과 유(儒)·불(佛) 교섭
1. 문제의 제기
2. 퇴은(退隱)과 연찬(硏鑽), 이상사회적 전망 모색
1) 퇴은과 천화, 그리고 실존적 되물음
2) 호계삼소(虎溪三笑)와 포괄주의적(包括主義的) 진리론
3) 진리론과 황극론(皇極論)의 관계
3. 서계의 유·불 교섭 노력
1) 불교교학 이해와 승려와의 교유
2) 공관(空觀) 인식
3) 선불교(禪佛敎)에 대한 태도
4. 맺음말 -종교 간 대화의 문제-

6장 17세기 노론계 정주학자(程朱學者) 임호(林湖) 박수검(朴守儉) 불교로의 전향(轉向) 사례
1. 들면서
2. 정주학자의 좌절과 트라우마
1) 유자(儒者)로의 정향(定向)과 정주학풍(程朱學風)
2) 갖은 앙화(殃禍)와 실존적 공허감
3. 불교로의 전향: ‘만곡(晩谷) 우파색(優婆塞)’[upasaka, 우바새]
1) 불교교학에 대한 소양
2) 승려와의 교유 양상
3) 정좌(靜坐) 수행에의 몰입
4. 맺음말

7장 18세기 남인계 관인(官人)·유자(儒者) 학고(鶴皐) 김이만(金履萬)의 사암(寺庵) 탐방과 불교인식의 변화
1. 드는 말
2. 관직생활과 당쟁(黨爭), 정치적 피해의식과 좌절감
3. 사찰·암자 탐방(探訪)과 불교인식의 변화
1) 탐방 기록과 승려(僧侶)·승단(僧團) 인식
2) 불교교학 이해
3) 정좌(靜坐) 수행
4. 맺음말

참고문헌
찾아보기

교환 및 환불안내

도서교환 및 환불
  • ㆍ배송기간은 평일 기준 1~3일 정도 소요됩니다.(스프링 분철은 1일 정도 시간이 더 소요됩니다.)
  • ㆍ상품불량 및 오배송등의 이유로 반품하실 경우, 반품배송비는 무료입니다.
  • ㆍ고객님의 변심에 의한 반품,환불,교환시 택배비는 본인 부담입니다.
  • ㆍ상담원과의 상담없이 교환 및 반품으로 반송된 물품은 책임지지 않습니다.
  • ㆍ이미 발송된 상품의 취소 및 반품, 교환요청시 배송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ㆍ반품신청시 반송된 상품의 수령후 환불처리됩니다.(카드사 사정에 따라 카드취소는 시일이 3~5일이 소요될 수 있습니다.)
  • ㆍ주문하신 상품의 반품,교환은 상품수령일로 부터 7일이내에 신청하실 수 있습니다.
  • ㆍ상품이 훼손된 경우 반품 및 교환,환불이 불가능합니다.
  • ㆍ반품/교환시 고객님 귀책사유로 인해 수거가 지연될 경우에는 반품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 ㆍ스프링제본 상품은 교환 및 환불이 불가능 합니다.
  • ㆍ군부대(사서함) 및 해외배송은 불가능합니다.
  • ㆍ오후 3시 이후 상담원과 통화되지 않은 취소건에 대해서는 고객 반품비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반품안내
  • 마이페이지 > 나의상담 > 1 : 1 문의하기 게시판 또는 고객센터 1800-7327
교환/반품주소
  • 경기도 파주시 문발로 211 1층 / (주)북채널 / 전화 : 1800-7327
  • 택배안내 : CJ대한통운(1588-1255)
  • 고객님 변심으로 인한 교환 또는 반품시 왕복 배송비 5,000원을 부담하셔야 하며, 제품 불량 또는 오 배송시에는 전액을 당사에서부담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