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길규
한양대학교 법학과 졸업. 한양대학교대학원 법학석사, 고려대학교대학원 문학석사, 한양대학교대학원 정치학박사. 서울과학종합대학원대학교 부교수, 성균관대학교 국가전략대학원 겸임교수 역임. 현재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특임교수, 한반도미래연구원 연구위원, 방위사업청 기술보호심사위원, 한국국가정보학회 부회장. 주요 저서로『국가정보학』(2013 박영사),『산업보안학』(2012 박영사),『정보분석의 역사와 도전』(번역서, 2015, 박영사),『구조화 분석기법』(번역서, 2016, 박영사),『정보분석 사례연구』(번역서, 2017, 박영사)가 있으며, “국가정보의 개념에 관한 소고”, “미국의 국가산업보안 프로그램 연구”, “개인정보보호법 시행과 산업보안”, “최근 한반도정세와 대북정책 추진방향”, “외국의 공개정보 수집활용 실태와 시사점” 등의 논문이 있다.
김병남
한국외국어대학교 문학사, 정치학 석사, 국제관계학 박사. 스페인 마드리드대학교 수학. 베네수엘라 주재 한국대사관 참사관,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연구위원, 정부업무평가 전문위원 등을 역임. 현재 원광대학교 초빙교수. 주요 저서로『안보란 무엇인가』(2011), 주요 논문으로 "아프가니스탄 이슬람반군 지원 미국의 공격적 비밀공작 분석"(2013), 번역서(공역)로『정보분석의 역사와 도전』(2015),『구조화 분석기법』(2016),『정보분석 사례연구』(2017) 등이 있다.
김유은
한양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졸업. 한양대학교 정치학 박사. 영국 케임브리지대학교 국제문제연구소 방문연구원. 일본 와세다대학교 아시아태평양대학원 교환교수, 일본국제교류기금 일본연구 특별연구원. 현재 한양대학교 국제학대학원 교수. 주요 논저로『국제레짐이란 무엇인가』,『동아시아 공동체: 비전과 전망』(공저),『글로벌 거버넌스와 한국』(공저),『한국의 동아시아 미래전략』(공저),『정보분석의 역사와 도전』(공역),『구조화 분석기법』(공역),『정보분석 사례연구』(공역), “해외정보활동에 있어 윤리성의 개념 및 효율성과의 관계,” “동아시아 지역주의에 있어 중.일의 리더십 경쟁과 전망,” “푸틴의 공세적 외교정책과 러시아의 동북아다자안보에 대한 입장,” “동북아 안보공동체를 위한 시론: 구성주의적 시각을 중심으로,” “동북아 안보공동체 추진전략,” “신국제정치경제 질서의 특징과 한국의 대응” 등이 있다.
허태회
현재 선문대학교 국제관계학과 교수 겸 국제평화대학 학장. 건국대 정외과 학사, 미국 워싱턴 주립대 정치학 석사, 덴버대학 국제정치학 박사학위 취득 후, 2000년까지 한국정치사회연구소와 국가정보원 전문위원 등을 역임. 이후 선문대 입학처장, 대외협력처장, 중앙도서관장, 동북아 역사재단 자문위원, 대통령 직속 사회통합위원회 이념분과 위원 등을 역임. 관심 연구분야는 미국외교정책과 동북아 정치 및 통일문제, 국가정보 등이며 주요 저서로는『한반도 통일론』(2000),『지속가능 통일론』(2012),『통일시대 국가이념 및 비전연구』(2012),『사회과학 통계분석』(2010),『국가정보학』(2013),『21세기 국가방첩』(2014),『구조화 분석기법』(2016) 등이 있으며 논문으로는 “위기관리이론과 사이버안보”(2005), “동북아안보지형의 변화와 국가정보”(2013), “선진 방첩이론의 적용과 국가정보 효율성”(2014) 등 50여편이 있다.